$\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원문보기


임창옥 (광운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국내석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청소년들의 성의식은 사회의 고정관념으로부터 자유롭고 개방적인 반면, 가정, 학교, 사회에서 바라보는 청소년들에 대한 성의식은 사회의 통념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성에 대한 건강한 가치관을 형성하기 위해 어떻게, 어떤 방법으로 성교육을 실시해야 할지, 먼저 청소년들의 성문화 실태를 살펴보고 학교와 사회단체에서 실시하고 있는 성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 학부모, 교사의 성의식과 성교육 내용을 분석하고자 한다. 학교의 최고 책임자나 학부모들의 반응에 따라 형식적이고 비주도적으로 이루어지는 성교육이 아닌 청소년이 주체가 되어 시대의 흐름에 맞는 실질적인 성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본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의 개념과 청소년의 발달적 특징에 대한 이론을 바탕으로 우리 사회 속에서 존재하는 청소년 성문화 실태와 외국의 성문화․성교육을 비교해 봄으로써 우리의 성교육이 얼마나 현실과 괴리감이 있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둘째, 유치원부터 초․중․고등학교에서 나타나는 계층별 학생․부모․교사의 성교육 및 성의식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셋째, 학교 및 사회단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성교육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성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율적인 적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계층별 성교육 내용․성의식․성경험 실태 등을 분석 하였으며, 논문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이 성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올바른 성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학교와 사회단체가 연계하여 성교육 프로그램을 공유하고, 성교육이 정규교과 과정으로 편성되어 전문성을 지닌 교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성교육이면서 성상담이 될 수 있도록 자연스러운 분위기에서 학생들이 언어로 표현하기 힘든 고민이나 문제 등을 그림으로 형상화하여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 의견을 주고받으며 feed-back을 통해 심리․정서적인 면을 다룰 수 있는 미술치료를 접목시킨 소그룹 단위의 성교육을 지향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자기성찰 및 자기성장을 통해 신체․심리 발달이 조화를 이루는 전인교육으로서의 성교육이 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성교육의 내용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① 긍정적인 자아상으로 ...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general a sexual consciousness of adolescent is relatively free and opening from social stereotypes of sexual attitude than adults'. Home, school, and society are still looking at them with social common notions. It is to grasp the sexual consciousness of pupils, parents and teachers through the ...

학위논문 정보

저자 임창옥
학위수여기관 광운대학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사회복지학과
발행연도 2005
총페이지 x, 120 p.
언어 kor
원문 URL http://www.riss.kr/link?id=T10358144&outLink=K
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