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화용 위배 과제를 사용하여 우반구 손상 환자의 담화 이해 능력을 살펴보고, 수정된 틀린 믿음 과제를 사용하여 마음이론 결함이 공간 표상 능력의 결함에 기인된 것인지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마음이론 과제의 성공 여부에 따라 화용 위배 과제의 수행이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우반구 손상 환자 10명과 좌반구 손상 환자 중 실어증 양상이 없는 환자 10명으로 선정하였다. 담화 이해를 평가하기 위한 과제로는 Surian...
본 연구에서는 화용 위배 과제를 사용하여 우반구 손상 환자의 담화 이해 능력을 살펴보고, 수정된 틀린 믿음 과제를 사용하여 마음이론 결함이 공간 표상 능력의 결함에 기인된 것인지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마음이론 과제의 성공 여부에 따라 화용 위배 과제의 수행이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우반구 손상 환자 10명과 좌반구 손상 환자 중 실어증 양상이 없는 환자 10명으로 선정하였다. 담화 이해를 평가하기 위한 과제로는 Surian 등(1996)의 연구에서 사용된 화용위배 과제(Pragmatic Violation Task)를 수정하여 실시하였고, 마음이론을 평가하기 위한 과제로는 Wellman(1988)이 제안한 명시적 틀린 믿음 과제(Explicit false belief task)를 시각 단서 유무에 따라 시·공간 표상이 요구되는 과제 1, 2와 시각 단서 없이 공간 표상이 요구되지 않는 과제 3으로 수정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화용 위배 과제의 수행에 있어서, 우반구 손상 집단이 좌반구 손상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더 많은 오류를 보였다. 영역별로는 관련성, 현실성에 비해 공손성, 정보성, 탈 중복성에서 유의하게 더 많은 오류를 보였다. 2. 마음이론 과제의 수행에 있어서, 우반구 손상 집단이 좌반구 손상 집단에 비해 모든 과제에서 유의미하게 더 저조한 수행을 나냈다. 시·공간 표상을 도와주었을 경우 정반응을 보인 우반구 손상 환자들도 있었지만, 시·공간 표상의 유무와 상관없이 ‘가정하기’의 실패로 모든 과제에서 오반응을 보인 우반구 손상 환자들도 있었다. 3. 화용 위배 과제의 수행에서 있어서, 마음이론 과제를 실패한 우반구 손상 집단은 이 과제를 통과한 우반구 손상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더 저조한 수행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우반구 손상 환자는 담화 이해와 마음이론 모두에서 결함을 가지며, 마음이론 수행이 저조할 경우 화용 위배 과제 수행도 저조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우반구 손상 환자가 마음이론 과제를 수행하는 데에는 ‘시·공간 표상’뿐만 아니라 ‘가정하기’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화용 위배 과제를 사용하여 우반구 손상 환자의 담화 이해 능력을 살펴보고, 수정된 틀린 믿음 과제를 사용하여 마음이론 결함이 공간 표상 능력의 결함에 기인된 것인지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마음이론 과제의 성공 여부에 따라 화용 위배 과제의 수행이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우반구 손상 환자 10명과 좌반구 손상 환자 중 실어증 양상이 없는 환자 10명으로 선정하였다. 담화 이해를 평가하기 위한 과제로는 Surian 등(1996)의 연구에서 사용된 화용위배 과제(Pragmatic Violation Task)를 수정하여 실시하였고, 마음이론을 평가하기 위한 과제로는 Wellman(1988)이 제안한 명시적 틀린 믿음 과제(Explicit false belief task)를 시각 단서 유무에 따라 시·공간 표상이 요구되는 과제 1, 2와 시각 단서 없이 공간 표상이 요구되지 않는 과제 3으로 수정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화용 위배 과제의 수행에 있어서, 우반구 손상 집단이 좌반구 손상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더 많은 오류를 보였다. 영역별로는 관련성, 현실성에 비해 공손성, 정보성, 탈 중복성에서 유의하게 더 많은 오류를 보였다. 2. 마음이론 과제의 수행에 있어서, 우반구 손상 집단이 좌반구 손상 집단에 비해 모든 과제에서 유의미하게 더 저조한 수행을 나냈다. 시·공간 표상을 도와주었을 경우 정반응을 보인 우반구 손상 환자들도 있었지만, 시·공간 표상의 유무와 상관없이 ‘가정하기’의 실패로 모든 과제에서 오반응을 보인 우반구 손상 환자들도 있었다. 3. 화용 위배 과제의 수행에서 있어서, 마음이론 과제를 실패한 우반구 손상 집단은 이 과제를 통과한 우반구 손상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더 저조한 수행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우반구 손상 환자는 담화 이해와 마음이론 모두에서 결함을 가지며, 마음이론 수행이 저조할 경우 화용 위배 과제 수행도 저조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우반구 손상 환자가 마음이론 과제를 수행하는 데에는 ‘시·공간 표상’뿐만 아니라 ‘가정하기’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discourse comprehension and theory of mind in right hemisphere damaged(RHD) patient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o see the performance of a pragmatic violation task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oM tasks. Two groups each including 10 RHD patients and 10 l...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discourse comprehension and theory of mind in right hemisphere damaged(RHD) patient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o see the performance of a pragmatic violation task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oM tasks. Two groups each including 10 RHD patients and 10 left hemisphere-damaged(LHD) patients without aphasia were chosen for comparison to each other. Discourse comprehension was assessed by a modified 'pragmatic violation task'(Surian et al, 1996), in which patients were asked to judge replies in conversation that violated Gricean maxims. ToM was assessed by a modified 'explicit false belief task'(Wellman & Bartsch, 1988). The first part of the task involved spatial representation presented with visual aids. Another part of the task required spatial representation presented only verbally, without visual aids. A third part of the task required visual representation presented verb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found in the pragmatic violation task. The RHD group performed more poorly than the LHD group on the pragmatic violation task. 2.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found in all of the ToM tasks. The RHD group performed more poorly than the LHD group on all the false belief tasks. Some RHD patients performed well on the ToM tasks presented with visual aids. Some RHD patients displayed difficulty with all of the tasks, whether the tasks were presented with visual aids or not, because of inadequate assumptions. 3.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RHD group which passed the ToM task and the RHD group which failed the ToM task were found in the pragmatic violation task. The RHD group which failed the ToM task performed significantly more poorly on the pragmatic violation task than the RHD group which passed the ToM task.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patients with RHD exhibited difficulty with both the pragmatic violation task and the ToM task. In addition, the performance of the pragmatic violation task was poor, as was the performance of the ToM tasks. This study also found that assumptions, as well as spatial representation, play important roles in RHD patients' performance on the ToM task.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discourse comprehension and theory of mind in right hemisphere damaged(RHD) patient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o see the performance of a pragmatic violation task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oM tasks. Two groups each including 10 RHD patients and 10 left hemisphere-damaged(LHD) patients without aphasia were chosen for comparison to each other. Discourse comprehension was assessed by a modified 'pragmatic violation task'(Surian et al, 1996), in which patients were asked to judge replies in conversation that violated Gricean maxims. ToM was assessed by a modified 'explicit false belief task'(Wellman & Bartsch, 1988). The first part of the task involved spatial representation presented with visual aids. Another part of the task required spatial representation presented only verbally, without visual aids. A third part of the task required visual representation presented verb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found in the pragmatic violation task. The RHD group performed more poorly than the LHD group on the pragmatic violation task. 2.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found in all of the ToM tasks. The RHD group performed more poorly than the LHD group on all the false belief tasks. Some RHD patients performed well on the ToM tasks presented with visual aids. Some RHD patients displayed difficulty with all of the tasks, whether the tasks were presented with visual aids or not, because of inadequate assumptions. 3.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RHD group which passed the ToM task and the RHD group which failed the ToM task were found in the pragmatic violation task. The RHD group which failed the ToM task performed significantly more poorly on the pragmatic violation task than the RHD group which passed the ToM task.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patients with RHD exhibited difficulty with both the pragmatic violation task and the ToM task. In addition, the performance of the pragmatic violation task was poor, as was the performance of the ToM tasks. This study also found that assumptions, as well as spatial representation, play important roles in RHD patients' performance on the ToM task.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