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우리나라 식생활 양상이 경제성장과 더불어 서구화, 기호성향의 변화에 따라 육류를 비롯한 인스턴트 식품과 패스트푸드의 소비증가로 지질 식품의 섭취가 급증하고 있다 . 따라서 항산화능이 높고 안전성이 확보된 천연항산화제에 대한 많은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시마 용매 추출물의 항산화력과 다시마 분말을 첨가한 매작과의 저장과정 중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여 기능성식품개발과 효율성 증대를 모색하고자 한다. 다시마는 건조품을 구입하고 실험용 유지는 순수 정제 대두유를 사용하며, ...
<국문초록> 우리나라 식생활 양상이 경제성장과 더불어 서구화, 기호성향의 변화에 따라 육류를 비롯한 인스턴트 식품과 패스트푸드의 소비증가로 지질 식품의 섭취가 급증하고 있다 . 따라서 항산화능이 높고 안전성이 확보된 천연항산화제에 대한 많은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시마 용매 추출물의 항산화력과 다시마 분말을 첨가한 매작과의 저장과정 중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여 기능성식품개발과 효율성 증대를 모색하고자 한다. 다시마는 건조품을 구입하고 실험용 유지는 순수 정제 대두유를 사용하며, 항산화제로 BHT와 α-Tocopherol을 사용하고 추출용매인 methanol (MeOH), ethanol (EtOH), ethyl acete (EA) 및 petroleum ether (PE)를 사용하였다. 다시마 추출물을 첨가한 식용대두유의 제조와 항산화력 측정은 Oven법과 Rancimat 방법으로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다시마 분말을 첨가한 매작과의 유지 추출 및 항산화력 측정은 Folch법에 의하여 유지를 추출하고 시료유의 산가(acid value, AV)는 유지시험분석법, 과산화물가(peroxide value,POV) 는 AOAC 방법으로 측정하며. TBA가(thiobarbituric acid value, TBA)는 Tarladgis등의 수증기 증류법에 따라 실험한다. oven법으로 항산화 효과를 살펴본 결과 산과의 경우, 대부분의 시료가 대조구보다 높은 항산화 효과를 보였으며, TBA 가는 다시마 용매추출물이 대조군과 PE에 비해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Rancimat방법으로 다시마 용매추출물의 유도기간을 측정 결과 MeOH군과 BHT군은 EtOH 첨가군에 비해 항산화 효과가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다시마 분말을 첨가한 매작과의 저장기간에 따른 산가는 모든 실험군에서 증가하였고, 대조군보다 다시마 첨가군에서 더 낮아 산화를 지연시킴을 알 수 있었다. 과산화물가는 저장 30일까지 급격히 증가한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TBA가는 구기자 3%, 9% 첨가군은 대조구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 지방의 산화를 지연시켰으나 15% 첨가군 에서는 오히려 대조구보다 높아 산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문초록> 우리나라 식생활 양상이 경제성장과 더불어 서구화, 기호성향의 변화에 따라 육류를 비롯한 인스턴트 식품과 패스트푸드의 소비증가로 지질 식품의 섭취가 급증하고 있다 . 따라서 항산화능이 높고 안전성이 확보된 천연항산화제에 대한 많은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시마 용매 추출물의 항산화력과 다시마 분말을 첨가한 매작과의 저장과정 중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여 기능성식품개발과 효율성 증대를 모색하고자 한다. 다시마는 건조품을 구입하고 실험용 유지는 순수 정제 대두유를 사용하며, 항산화제로 BHT와 α-Tocopherol을 사용하고 추출용매인 methanol (MeOH), ethanol (EtOH), ethyl acete (EA) 및 petroleum ether (PE)를 사용하였다. 다시마 추출물을 첨가한 식용대두유의 제조와 항산화력 측정은 Oven법과 Rancimat 방법으로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다시마 분말을 첨가한 매작과의 유지 추출 및 항산화력 측정은 Folch법에 의하여 유지를 추출하고 시료유의 산가(acid value, AV)는 유지시험분석법, 과산화물가(peroxide value,POV) 는 AOAC 방법으로 측정하며. TBA가(thiobarbituric acid value, TBA)는 Tarladgis등의 수증기 증류법에 따라 실험한다. oven법으로 항산화 효과를 살펴본 결과 산과의 경우, 대부분의 시료가 대조구보다 높은 항산화 효과를 보였으며, TBA 가는 다시마 용매추출물이 대조군과 PE에 비해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Rancimat방법으로 다시마 용매추출물의 유도기간을 측정 결과 MeOH군과 BHT군은 EtOH 첨가군에 비해 항산화 효과가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다시마 분말을 첨가한 매작과의 저장기간에 따른 산가는 모든 실험군에서 증가하였고, 대조군보다 다시마 첨가군에서 더 낮아 산화를 지연시킴을 알 수 있었다. 과산화물가는 저장 30일까지 급격히 증가한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TBA가는 구기자 3%, 9% 첨가군은 대조구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 지방의 산화를 지연시켰으나 15% 첨가군 에서는 오히려 대조구보다 높아 산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Sea tangle powder(STP) solvent extracted from Maejakgwa made up with STP. The solvent which is extracted from STP were added to soybean oil in the quantity of 0.05%. The solvents were used methanol, ethanol, ethyl acetate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Sea tangle powder(STP) solvent extracted from Maejakgwa made up with STP. The solvent which is extracted from STP were added to soybean oil in the quantity of 0.05%. The solvents were used methanol, ethanol, ethyl acetate and petroleum. Soybean oil without the addition of STP was used as a negative control. Soybean oil with 0.02% butylated hydroxy toluene (BHT) and α-tocopherol were used as positive controls. Each sample was stored at 50℃ for 30 days. The oxidation level of these samples wa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acid value, peroxide value and thiobarbituric acid (TBA) value. The oxidation level of solvent extracts of 0.05% STP was lower than both the negative control and α-tocopherol. Especially, methanol extract of 0.05% STP was the lowest. The methanol extract (320min) and ethanol extract (316min) demonstrated longer induction periods, compared to the control (253min), α-tocopherol (255min) and BHT (309min) by Rancimat method. Acid value of Maejakgwa was increased during the storage time, but it was lower in Maejakgwa made up with STP than in the control group. Peroxide value was increased rapidly for 30 days and then decreased. TBA value was lower in Maejakgwa made up with 3, 9% STP than in those made with 15% STP and the contro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Sea tangle powder(STP) solvent extracted from Maejakgwa made up with STP. The solvent which is extracted from STP were added to soybean oil in the quantity of 0.05%. The solvents were used methanol, ethanol, ethyl acetate and petroleum. Soybean oil without the addition of STP was used as a negative control. Soybean oil with 0.02% butylated hydroxy toluene (BHT) and α-tocopherol were used as positive controls. Each sample was stored at 50℃ for 30 days. The oxidation level of these samples wa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acid value, peroxide value and thiobarbituric acid (TBA) value. The oxidation level of solvent extracts of 0.05% STP was lower than both the negative control and α-tocopherol. Especially, methanol extract of 0.05% STP was the lowest. The methanol extract (320min) and ethanol extract (316min) demonstrated longer induction periods, compared to the control (253min), α-tocopherol (255min) and BHT (309min) by Rancimat method. Acid value of Maejakgwa was increased during the storage time, but it was lower in Maejakgwa made up with STP than in the control group. Peroxide value was increased rapidly for 30 days and then decreased. TBA value was lower in Maejakgwa made up with 3, 9% STP than in those made with 15% STP and the control.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