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시마 열수추출물의 성분 및 항산화활성 측정
Contents of Water Extract for Laminaria japonica and its Antioxidant Activity 원문보기

KSBB Journal, v.26 no.2, 2011년, pp.112 - 118  

김윤수 (조선대학교 생명화학공학과) ,  강창오 (조선대학교 생명화학공학과) ,  김미혜 (남부대학교 향장미용학과) ,  차월석 (조선대학교 생명화학공학과) ,  신현재 (조선대학교 생명화학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tents of amino acids, vitamins, and minerals as well as its antioxidant activitiy of Laminaria japonica water extract have been analyzed for preparation of functional foods and cosmetic products. From the analysis of total amino acids, eighteen kinds of amino acids were found in the water extra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시마의 생리활성을 이용한 제품이 소비자의 높은 호응을 얻으면서 다시마의 생산량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32].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표적 다시마 산지인 전라남도 완도의 다시마 열수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암, 혈당 강하, 항산화 및 간 기능 보호와 숙취해소 등이 용이한 기능성 식품과 기능성 화장품의 제조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전단계로서 다양한 형태의 영양성분을 건조 다시마의 영양성분과 [5]비교 및 항산화 활성 확인을 수행하여 열수추출만으로도 쉽게 제품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시마 추출물의 기능성식품으로써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시마를 열수 추출한 결과 발견된 아미노산은 무엇이 있는가?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을 가지고 있는 다시마를 기능성 식품과 기능성 화장품의 제조에 활용하고자, 다시마를 열수추출 하여 아미노산, 비타민, 무기질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총아미노산은 14종, 유리 아미노산은 18종이 발견되었고, 총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lanine, aspartic acid, glycine, valine 순이었고, 유리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proline, aspartic acid, leucine, phenylalanine이 대표적이었다. 비타민은 다시마 열수추출물이 다시마 건조물에 비해 비타민 E 함량이 적었으며, 다른 비타민은 검출되지 않았다.
다시마는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가? 다시마 (Laminaria japonica, Sea tangle)는 수산자원 중 가장 풍부한 해조류 중 하나로 우리나라 전해안에 광범위하게 분포 되어 있는 재료로 독특한 맛과 향으로 기호성이 양호한 편이고 [1], 정미성분이 풍부하여 생식이나 국수, 우동 등의 면류와 각종 국물을 우려내는 조미재료로써 이용하고 있다 [2]. 다시마는 갈조식물군 중 다시마과에 속하며, 동의보감에서는 ‘곤포’라 하여 신체의 저항성을 높여주고, 노폐물의 배설을 촉진하며, 고혈압, 동맥경화, 갑상선종, 신장염에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노화를 예방하는 건강장수식품으로 기록되어 있다 [3].
다시마는 동의보감에 어떻게 기록되어 있는가? 다시마 (Laminaria japonica, Sea tangle)는 수산자원 중 가장 풍부한 해조류 중 하나로 우리나라 전해안에 광범위하게 분포 되어 있는 재료로 독특한 맛과 향으로 기호성이 양호한 편이고 [1], 정미성분이 풍부하여 생식이나 국수, 우동 등의 면류와 각종 국물을 우려내는 조미재료로써 이용하고 있다 [2]. 다시마는 갈조식물군 중 다시마과에 속하며, 동의보감에서는 ‘곤포’라 하여 신체의 저항성을 높여주고, 노폐물의 배설을 촉진하며, 고혈압, 동맥경화, 갑상선종, 신장염에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노화를 예방하는 건강장수식품으로 기록되어 있다 [3]. 실제로 다시마는 칼륨, 나트륨, 칼슘, 마그네슘 등 신체의 생리대사에 관여하는 무기질을 다량 함유하며 갑상선 호르몬의 주성분인 요오드를 4,000 ppm 이상 함유하고 있으며 [4] 육상식물과 동물보다 더 효과적이기 때문에 우리에게 작은 공급물로도 부족한 무기질을 채워줄 수 있다 [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Jung, E. J. and B. H. Bang (2003) The effect on the quality of yogurt added water extract from sea tangle. Korean J. Food & Nutr. 16: 66-71. 

  2. Kim, J. S. and K. J. Kang (1998) Effect of Laminaria addition on the shelf-life and texture of bread. Korean J. Food & Nutr. 11: 556-560. 

  3. Hur, J. (1999) Dong-ui-bo-gam. Bupin Publishing Co. Seoul. 

  4. Kwon, E. A., M. J. Chang, and S. H. Kim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containing Laminaria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406-412. 

  5. Nada, K., V. Luciana, M. Nada, and V. Stocchi (2004) Evaluation of marine algae wakame (Undaria pinnatifida) and kombu (Laminaria digitata japonica) as food supplements. Food Biotechnol. 42: 57-61. 

  6. Jung, Y. K., Y. K. Lee, H. K. No, and S. D. Kim (2006) Effect of sea tangle on ferment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bukjang. Korean J. Food Preserv. 13: 95-101. 

  7. Bae, T. J. and D. S. Kang (2000) Processing of powdered seasoning material from sea tangle. Korean J. Food & Nutr. 13: 521-528. 

  8. Koo, J. G., Y. S. Choi, and J. K. Kwak (2001) Blood-anticoagulant activity of fucoidans from sporophylls of undaria pinnatifida, laminaria religiosa, hizikia fusiforme and sargassum fulvellum in korea. J. Korean Fish. Soc. 34: 515-520. 

  9. Hikaru, O., G. Yasuco, and O. Isao (1967) Pharmacological studies on laminine monocitrate. Yakugku Zasshi. 87: 935-939. 

  10. Lahaye, M. (1991) Marine algae as sources of fibers contents in some sea vegetables. J. Sci. Food Agric. 54: 587-594. 

  11. Park, M. Y., K. H. Kim, K. S. Jeong, and H. A. Kim (2007) Effect of supplementation of dietary sea tangle on the renal oxidative stress in diabetic rats. Korean J. Food Culture 22: 140-148. 

  12. Lee, K. S., J. S. Seo, and Y. S. Choi (1998) Effect of sea tangle and hypoglycemic agent on lipid metabolism in 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960-967. 

  13. Cho, S. H., K. M. Yang, B. S. Bae, S. A. Im, and R. N. Yu (1998) Effect of sea tangle intake on cytokine in macrophage from normal and diabetic m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952-959. 

  14. Jang, M. A., K. S. Lee, J. S. Seo, and Y. S. Choi (2002) Effect of dietary supplement of sea tangle extractions on the excretion of neutral steroids and bile acid in 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819-825. 

  15. Cho, Y. J. and M. A. Bang (2004) Effect of dietary sea tangle on blood glucose, lipid and glutathione enzyme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Food Culture 19: 419-428. 

  16. Penman, A. and G. R. Sanderson (1972) A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uronic acid sequence in alginates. Carbohydrate Res. 25: 273-282. 

  17. Choi, J. H., J. S. Choi, D. S. Byun, and D. S. Yang (1986) Basic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diet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II. Comparison of the inhibitory effect of algae and crude drug component on obesity. Bull. Korean Fish. Soc. 19: 485-492. 

  18. Rue, B. H., D. S. Kim, K. J. Cho, and D. B. Shin (1989) Antitumor activity of seaweeds toward Sarcoma-180.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595-600. 

  19. Oh, C. K., M. C. Oh, S. H. Kim, S. B. Rhim, and S. H. Kim (1998) Antimutagenic and antimicrobial effect of ethanol extracts from sea-mustard and sea tangle. J. Korean Fish. Soc. 31: 90-94. 

  20. Nakashima, H., Y. Kido, N. Kobayashi, N. Motoki, M. Neushal, and N. Yamamoto (1987)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avian Myeloblastosis and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reverse transcriptase inhibitor sulfated polysaccharide extracted from sea tangle. Antimicrob. Agents Chemother. 31: 1524-1530. 

  21. Kim, L. T. and J. H. Oh (2009) Effect of glutathione with sea tangle extract on prevention of selenite-induced cataract formation in Rats. J. Korean Ophthalmol. Soc. 50: 1555-1562. 

  22. Shigeki, I., T. Naoyuki, T. Naoyuki, and I. Satoshi (2010) Suppression of thyroid function by seaweed "Kombu" (Laminaria japonica) supplement seen in a patient with alopecia areata: A case report. The Open Dermatology J. 4: 108-109. 

  23. Luo, Q., J. Liu, J. Yan, and X. Cui (2010) Laminaria japonica polysaccharides on the recovery of rats' spermatogenic function of testis damaged by chronic local ionizing radiation. J. Medicinal Plants Research 4: 1400-1406. 

  24. Bae, T. J. and O. S. Choi (2001) Change of free amino acid compositions and sensory roperties in Kochujang added sea tangle powder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 Nutr. 14: 245-254. 

  25. Jung, Y. H., G .B. Kim, S. N. Choe, and Y. J. Kang (1994) Preparation of mook with sea mustard and sea tangle. J. Korean Soc. Food Nutr. 23: 156-163. 

  26. Baek, S. H., K. H. Kang, and S. N. Choe (1996) Effect of seeweeds added in preparation of tofu. Korean J. Food & Nutr. 9: 529-535. 

  27. Cho, H. S., B. H. Park, K. H. Kim, and H. A. Kim (2006) Antioxidant effec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made with sea tangle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1:541-549. 

  28. Shin, E. S., J. H. Lee, K. T. Park, H. S. Ryu, and D. H. Jang (2004) Optimizing cooking condition of short grain rice containing sea tangle patch.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726-1734. 

  29. Cho, M. S. and J. S. Hong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by the addition of sea tangle.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37-44. 

  30. Ha, J. O. and K. Y. Park (2000) Na-binding capacity of alginate and development of sea tangle added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995-1002. 

  31. Kim, M. L., M. A. Choi, and J. S. Jeong (2008) Development of fermented beverage using the sea tangle extrac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thereof. Korean J. Food Preserv. 15: 21-29. 

  32. Ministry of Marine Affairs & Fisheries (2002) Trend of seaweeds cultivation and production 3: 118. 

  33. Knecht, R. and J. Chang (1986) Liquid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amino acids after gas-phase hydrolysis and derivatization with (dimethylamino) azobenzensulfonyl chloride. Anal. Chem. 58: 2375-2379. 

  34. Waters Associates (1983) Official method of amino acid analysis, p. 33. Amino acid analysis system of operators manual of the Waters Associates, USA. 

  35. Food code (2003) Conduct laboratory testing according to specifications and test methods of the Food code. pp. 894-918,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Moon Yong Press, Seoul, Korea. 

  36. Dewanto, V., X. Wu, K. K. Adom, and R. H. Liu (2002) Thermal processing enhances the nutritional value of tomatoes by increasing total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0: 3010-3014. 

  37. Saeedeh, A. D. and U. Asna (2007) Antioxidant properties of various solvent extracts of mulberry (Morus indica L.) leaves. Food Chem. 102: 1233-1240. 

  38. Gray, J. I. and L. R. Dugan (1975)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 J. Food Sci. 40: 981-984. 

  39.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0. 

  40. Sanchez, S., S. D. Paredes, M. I. Martin, and C. Barriga (2004) Effect of tryptophan administration on circulating levels of melatonin and phagocytic activity. J. Applied Biomedicine 2: 169-177. 

  41. Roomi, M. W., N. Roomi, V. Ivanov, and T. Kalinovsky (2005) Inhibitory effect of a mixture containing ascorbic acid, lysine, proline and green tea extract on critical parameters in angiogenesis. Oncology reports 14: 807-815. 

  42.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2009) chemical composition of marine products in Korea. Second edition 84-85. 

  43. Aoki, Y., Y. Yanagisawa, K. Yazaki, H. Oguchi, K. Kiyosawa, and S. Furuta (1992) Protective effect of vitamin E supplementation on increased thermal stability of collagen in diabetic rats. Diabetology 35: 913-916. 

  44. Halliwell, B. and J. M. Gytterige (1990) Role of free radicals and catalytic metal ions in human disease: an overview. Methods Enzymol. 186: 1-85. 

  45. Blazovics, A., A. Lugasi, K. Szentmihalyi, and A. Kery (2003) Reducing power of the natural polyphenols of Sempervivum tectorum in vitro and in vivo. Acta Biologica Szegediensis 47: 99-102. 

  46. Byers, T. and G. Perry (1992) Dietary carotenes, vitamin C and vitamin E as protective antioxidants in human cancers. Annu. Rev. Nur. 12: 135-139. 

  47. Park, M. J. and J. S. Han (2006) Radical scavenging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fermented Laminaria japonica extract. J. Food Sci. Nutr. 11: 10-16. 

  48. Miladi, S. and M. Damak (2008) In vitro antioxidant activities of Aloe vera leaf skin extracts. Journal de la societe Chimigue de Tunisie 10: 101-1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