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본 연구는 시험불안, 학업적 자아개념,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이 성별, 학년별, 부모의 학력, 학업성취에 따라 어떤 차이가 나는지 살펴보고 각각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여 학교에서 상담의 자료로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가설은 첫째 중학생의 시험불안, 학업적 자아개념,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수준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학년에 따라 시험불안, 학업적 자아개념, 학업성취압력수준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셋째, 부모의 학력에 따라 시험불안, 학업적 자아개념, 학업성취압력수준은 차이가 있을 ...
<국문초록> 본 연구는 시험불안, 학업적 자아개념,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이 성별, 학년별, 부모의 학력, 학업성취에 따라 어떤 차이가 나는지 살펴보고 각각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여 학교에서 상담의 자료로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가설은 첫째 중학생의 시험불안, 학업적 자아개념,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수준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학년에 따라 시험불안, 학업적 자아개념, 학업성취압력수준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셋째, 부모의 학력에 따라 시험불안, 학업적 자아개념, 학업성취압력수준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넷째, 학업 성적에 따라 시험불안, 학업적 자아개념, 학업성취압력수준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다섯째, 시험불안과 학업적 성취압력과 학업적 자아개념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일 것이다. 목포 시내 두개 중학교 1, 2, 3학년 여학생과 남학생 총 401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업성취압력 검사, 학업적 자아개념검사, 시험불안 검사를 실시하였는데 이와 같은 절차로 진행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라 시험불안, 학업적 자아개념은 차이가 없었고 학업성취압력의 하위변인인 부모님의 성적압력과 진로에의 관심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게 지각했다. 둘째, 학년별에 따라 시험불안, 학업적 자아개념은 차이가 없었고 성취압력 하위변인인 부모님의 학습개입을 1학년이 가장 높게 지각했고 3학년이 가장 낮게 지각했다. 셋째, 부(父) 학력에 따라 시험불안, 학업적 자아개념은 차이가 없었고 성취압력의 하위변인인 학습개입은 성적압력과 진로에 대한 관심에서 학력이 낮은 집단(고졸, 중졸) 보다 높은 집단(대학원, 대졸) 의 자녀가 성적압력이나 진로의 관심을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업성취에 따라 시험불안은 차이가 없었고, 학업성취가 높을수록 학업적 자아개념은 높았으며 부모님의 학습개입도 더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 시험불안, 학업적 자아개념, 부모의 성취압력의 관계를 규명한 결과는 첫째,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성취압력과 시험불안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학업적 자아개념과 시험불안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성취압력과 학업적 자아개념과의 관계는 성취압력의 하위변인인 학습에의 개입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부모의 성취압력이 높을수록 시험불안이 높고 부모님의 학습 개입이 많으면 학업적 자아개념이 긍정적으로 형성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런 결과는 시험불안이나 학업적 자아개념이 약한 학생들의 상담과 부모상담의 자료로, 교사는 시험불안을 일으키는 학생을 이해하는 자료로 도움이 될 것이다.
<국문초록> 본 연구는 시험불안, 학업적 자아개념,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이 성별, 학년별, 부모의 학력, 학업성취에 따라 어떤 차이가 나는지 살펴보고 각각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여 학교에서 상담의 자료로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가설은 첫째 중학생의 시험불안, 학업적 자아개념,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수준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학년에 따라 시험불안, 학업적 자아개념, 학업성취압력수준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셋째, 부모의 학력에 따라 시험불안, 학업적 자아개념, 학업성취압력수준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넷째, 학업 성적에 따라 시험불안, 학업적 자아개념, 학업성취압력수준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다섯째, 시험불안과 학업적 성취압력과 학업적 자아개념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일 것이다. 목포 시내 두개 중학교 1, 2, 3학년 여학생과 남학생 총 401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업성취압력 검사, 학업적 자아개념검사, 시험불안 검사를 실시하였는데 이와 같은 절차로 진행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라 시험불안, 학업적 자아개념은 차이가 없었고 학업성취압력의 하위변인인 부모님의 성적압력과 진로에의 관심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게 지각했다. 둘째, 학년별에 따라 시험불안, 학업적 자아개념은 차이가 없었고 성취압력 하위변인인 부모님의 학습개입을 1학년이 가장 높게 지각했고 3학년이 가장 낮게 지각했다. 셋째, 부(父) 학력에 따라 시험불안, 학업적 자아개념은 차이가 없었고 성취압력의 하위변인인 학습개입은 성적압력과 진로에 대한 관심에서 학력이 낮은 집단(고졸, 중졸) 보다 높은 집단(대학원, 대졸) 의 자녀가 성적압력이나 진로의 관심을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업성취에 따라 시험불안은 차이가 없었고, 학업성취가 높을수록 학업적 자아개념은 높았으며 부모님의 학습개입도 더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 시험불안, 학업적 자아개념, 부모의 성취압력의 관계를 규명한 결과는 첫째,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성취압력과 시험불안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학업적 자아개념과 시험불안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성취압력과 학업적 자아개념과의 관계는 성취압력의 하위변인인 학습에의 개입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부모의 성취압력이 높을수록 시험불안이 높고 부모님의 학습 개입이 많으면 학업적 자아개념이 긍정적으로 형성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런 결과는 시험불안이나 학업적 자아개념이 약한 학생들의 상담과 부모상담의 자료로, 교사는 시험불안을 일으키는 학생을 이해하는 자료로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study intended to provide teachers with counseling data on students. So it investigated how the scholastic achievement pressure, test anxiety and academic self-concept differentiate according to the academic grade,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and scholastic achievement of students. Finally...
This study intended to provide teachers with counseling data on students. So it investigated how the scholastic achievement pressure, test anxiety and academic self-concept differentiate according to the academic grade,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and scholastic achievement of students. Finally, it examined the correlations among these variables. Under this purpose, the following assumptions were examined. First, students' test anxiety, academic self-concept, scholastic achievement pressure levels will show variations according to the sex. Second, students' test anxiety, academic self-concept, scholastic achievement pressure levels will show variations according to the academic grade. Third, students' test anxiety, academic self-concept, scholastic achievement pressure levels will show variations according to the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Fourth, students' test anxiety, academic self-concept, scholastic achievement pressure levels will show variations according to the scholarly attainment of students. Fifth, students' test anxiety, academic self-concept, scholastic achievement pressure will show positive correlations. For this study, the samples, comprised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Mokpo city, were given the parents' scholastic achievement pressure scale, the academic self-concept scale and the test anxiety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sex,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test anxiety and academic self-concept. But boys perceived higher than girls parents' scholastic achievement pressure and interest for college. Second, according to each grade,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test anxiety and academic self-concept. But parents' involvement was perceived highest by the first year student and lowest by the third year student. Third, according to fathers' educational background,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test anxiety and academic self-concept. Fourth, according to scholastic achievement,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test anxiety. But the academic self-concept and parents' involvement in learning differentiated significantly. The following is the result to clarify correlations among test anxiety, academic self-concept, parents' scholastic achievement pressure. First, parents' scholastic achievement pressure and test anxiety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In other words, the more the parent's scholastic achievement pressure was perceived by their children, the more the children had test anxiety. Second, academic self-concept and test anxiety didn't show significant correlations. Third,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parents' scholastic achievement pressure, that is parents' involvement in learning, and academic self-concept. The students whose parents involved in learning of their children showed more positive academic self-concept. These results will be useful for counseling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with test anxiety and their parents.
This study intended to provide teachers with counseling data on students. So it investigated how the scholastic achievement pressure, test anxiety and academic self-concept differentiate according to the academic grade,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and scholastic achievement of students. Finally, it examined the correlations among these variables. Under this purpose, the following assumptions were examined. First, students' test anxiety, academic self-concept, scholastic achievement pressure levels will show variations according to the sex. Second, students' test anxiety, academic self-concept, scholastic achievement pressure levels will show variations according to the academic grade. Third, students' test anxiety, academic self-concept, scholastic achievement pressure levels will show variations according to the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Fourth, students' test anxiety, academic self-concept, scholastic achievement pressure levels will show variations according to the scholarly attainment of students. Fifth, students' test anxiety, academic self-concept, scholastic achievement pressure will show positive correlations. For this study, the samples, comprised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Mokpo city, were given the parents' scholastic achievement pressure scale, the academic self-concept scale and the test anxiety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sex,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test anxiety and academic self-concept. But boys perceived higher than girls parents' scholastic achievement pressure and interest for college. Second, according to each grade,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test anxiety and academic self-concept. But parents' involvement was perceived highest by the first year student and lowest by the third year student. Third, according to fathers' educational background,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test anxiety and academic self-concept. Fourth, according to scholastic achievement,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test anxiety. But the academic self-concept and parents' involvement in learning differentiated significantly. The following is the result to clarify correlations among test anxiety, academic self-concept, parents' scholastic achievement pressure. First, parents' scholastic achievement pressure and test anxiety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In other words, the more the parent's scholastic achievement pressure was perceived by their children, the more the children had test anxiety. Second, academic self-concept and test anxiety didn't show significant correlations. Third,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parents' scholastic achievement pressure, that is parents' involvement in learning, and academic self-concept. The students whose parents involved in learning of their children showed more positive academic self-concept. These results will be useful for counseling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with test anxiety and their parent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