本稿에서는 태초에 독립적인 여신으로서 창조의 과업을 수행하다가 후대에 남신 伏羲와 결합하여 配偶神으로 격하된 女媧 본래의 자료적 樣相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女媧의 神話的 原型意味 및 그것의 후대 문학에 미친 영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전제로, 제Ⅰ장 서론에서는 그간의 女媧神話 연구를 槪觀해보았으며 이어서 本稿의 연구 목적과 방법을 제시하고 검토할 자료의 범위를 정하였다.
제Ⅱ장에서는 우선 女媧神話에 관한 문헌자료들을 先秦時期, 漢代~魏晋南北朝, 唐宋時期 및 그 以後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先秦時期의 자료는 비교적 女媧神話의 原型을 보존하고 있지만 문헌의 성격, 저자의 성분과 계층, 집필목적 등에 따라 전승양상이 다름을 확인하였다. 漢代 이후 女媧神話는 구체적인 묘사와 설명을 갖추게 되고 다른 신화와 결합하기도 하며 이데올로기의 영향을 받기도 한다. 동시에 민간 생활과 신앙에 적극 수용되기도 한다. 唐宋時期 이후의 문헌자료는 이전시대로부터 지속되어온 민간에서의 女媧 숭배와 관련된 것이 대부분이다.
계속해서 논의는 관련 문헌자료들의 검토를 통해 확인한 女媧神話의 原型을 바탕으로 袁珂의 『中國神話傳說』에서 재구성된 女媧神話에 대한 비판적 고찰로 이어진다. 袁珂가 재구성한 女媧神話에 대한 세부적인 재검토를 통해 袁珂의 廣義神話論과 중국신화를 체계화하고자 하는 강한 열망이 女媧神話의 原型을 변질시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Ⅲ장에서는 제Ⅱ장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女媧의 神格을 創造神, 地母神, 文化英雄으로 구분하여 그 神話的 原型意味를 논의하였다. 創造神은 女媧의 대표적인 神格으로, 문자학적인 분석, 人首蛇身의 형상에 관한 고찰 등을 통해 女媧의 창조능력이 여성의 원초적 생명력과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자료에 대한 분석을 통해 地母神과 文化英雄의 神格 역시 女媧의 무궁한 창조능력에서 비롯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Ⅳ장에서는 지금까지의 논의를 통해 확인한 女媧의 神話的 原型意味가 ...
本稿에서는 태초에 독립적인 여신으로서 창조의 과업을 수행하다가 후대에 남신 伏羲와 결합하여 配偶神으로 격하된 女媧 본래의 자료적 樣相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女媧의 神話的 原型意味 및 그것의 후대 문학에 미친 영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전제로, 제Ⅰ장 서론에서는 그간의 女媧神話 연구를 槪觀해보았으며 이어서 本稿의 연구 목적과 방법을 제시하고 검토할 자료의 범위를 정하였다.
제Ⅱ장에서는 우선 女媧神話에 관한 문헌자료들을 先秦時期, 漢代~魏晋南北朝, 唐宋時期 및 그 以後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先秦時期의 자료는 비교적 女媧神話의 原型을 보존하고 있지만 문헌의 성격, 저자의 성분과 계층, 집필목적 등에 따라 전승양상이 다름을 확인하였다. 漢代 이후 女媧神話는 구체적인 묘사와 설명을 갖추게 되고 다른 신화와 결합하기도 하며 이데올로기의 영향을 받기도 한다. 동시에 민간 생활과 신앙에 적극 수용되기도 한다. 唐宋時期 이후의 문헌자료는 이전시대로부터 지속되어온 민간에서의 女媧 숭배와 관련된 것이 대부분이다.
계속해서 논의는 관련 문헌자료들의 검토를 통해 확인한 女媧神話의 原型을 바탕으로 袁珂의 『中國神話傳說』에서 재구성된 女媧神話에 대한 비판적 고찰로 이어진다. 袁珂가 재구성한 女媧神話에 대한 세부적인 재검토를 통해 袁珂의 廣義神話論과 중국신화를 체계화하고자 하는 강한 열망이 女媧神話의 原型을 변질시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Ⅲ장에서는 제Ⅱ장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女媧의 神格을 創造神, 地母神, 文化英雄으로 구분하여 그 神話的 原型意味를 논의하였다. 創造神은 女媧의 대표적인 神格으로, 문자학적인 분석, 人首蛇身의 형상에 관한 고찰 등을 통해 女媧의 창조능력이 여성의 원초적 생명력과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자료에 대한 분석을 통해 地母神과 文化英雄의 神格 역시 女媧의 무궁한 창조능력에서 비롯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Ⅳ장에서는 지금까지의 논의를 통해 확인한 女媧의 神話的 原型意味가 중국문학과 한국문학에서 어떻게 수용되어 왔는가에 대해 고찰을 시도해보았다. 우선 중국문학에서는 古典詩歌, 古典小說, 現 ․ 當代文學으로 구분하여 女媧神話의 수용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중국문학에서 女媧神話의 수용은 매우 오래전부터 이루어졌으며 오늘날까지 시대, 장르, 작품의 주제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용되어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문학에서는 女媧神話가 본격적으로 수용된 양상을 찾아보기 힘들며 간단히 언급되거나 의미 구성의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本稿에서는 아직까지 국내에서 女媧神話硏究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한 현실에 착안하여 기초적, 전면적인 관점에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本稿에서 얻어진 여신 女媧 본래의 모습 그리고 神話的 原型意味가 국내의 女媧 연구에 대해 토대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여성주의, 에코페미니즘, 생태주의 등과 같은 현대의 사상에 풍부한 滋養을 제공할 수 있기를 소망하며 論考를 마치고자 한다.
本稿에서는 태초에 독립적인 여신으로서 창조의 과업을 수행하다가 후대에 남신 伏羲와 결합하여 配偶神으로 격하된 女媧 본래의 자료적 樣相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女媧의 神話的 原型意味 및 그것의 후대 문학에 미친 영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전제로, 제Ⅰ장 서론에서는 그간의 女媧神話 연구를 槪觀해보았으며 이어서 本稿의 연구 목적과 방법을 제시하고 검토할 자료의 범위를 정하였다.
제Ⅱ장에서는 우선 女媧神話에 관한 문헌자료들을 先秦時期, 漢代~魏晋南北朝, 唐宋時期 및 그 以後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先秦時期의 자료는 비교적 女媧神話의 原型을 보존하고 있지만 문헌의 성격, 저자의 성분과 계층, 집필목적 등에 따라 전승양상이 다름을 확인하였다. 漢代 이후 女媧神話는 구체적인 묘사와 설명을 갖추게 되고 다른 신화와 결합하기도 하며 이데올로기의 영향을 받기도 한다. 동시에 민간 생활과 신앙에 적극 수용되기도 한다. 唐宋時期 이후의 문헌자료는 이전시대로부터 지속되어온 민간에서의 女媧 숭배와 관련된 것이 대부분이다.
계속해서 논의는 관련 문헌자료들의 검토를 통해 확인한 女媧神話의 原型을 바탕으로 袁珂의 『中國神話傳說』에서 재구성된 女媧神話에 대한 비판적 고찰로 이어진다. 袁珂가 재구성한 女媧神話에 대한 세부적인 재검토를 통해 袁珂의 廣義神話論과 중국신화를 체계화하고자 하는 강한 열망이 女媧神話의 原型을 변질시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Ⅲ장에서는 제Ⅱ장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女媧의 神格을 創造神, 地母神, 文化英雄으로 구분하여 그 神話的 原型意味를 논의하였다. 創造神은 女媧의 대표적인 神格으로, 문자학적인 분석, 人首蛇身의 형상에 관한 고찰 등을 통해 女媧의 창조능력이 여성의 원초적 생명력과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자료에 대한 분석을 통해 地母神과 文化英雄의 神格 역시 女媧의 무궁한 창조능력에서 비롯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Ⅳ장에서는 지금까지의 논의를 통해 확인한 女媧의 神話的 原型意味가 중국문학과 한국문학에서 어떻게 수용되어 왔는가에 대해 고찰을 시도해보았다. 우선 중국문학에서는 古典詩歌, 古典小說, 現 ․ 當代文學으로 구분하여 女媧神話의 수용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중국문학에서 女媧神話의 수용은 매우 오래전부터 이루어졌으며 오늘날까지 시대, 장르, 작품의 주제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용되어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문학에서는 女媧神話가 본격적으로 수용된 양상을 찾아보기 힘들며 간단히 언급되거나 의미 구성의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本稿에서는 아직까지 국내에서 女媧神話硏究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한 현실에 착안하여 기초적, 전면적인 관점에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本稿에서 얻어진 여신 女媧 본래의 모습 그리고 神話的 原型意味가 국내의 女媧 연구에 대해 토대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여성주의, 에코페미니즘, 생태주의 등과 같은 현대의 사상에 풍부한 滋養을 제공할 수 있기를 소망하며 論考를 마치고자 한다.
This study has looked into the original feature and meaning of Nüwa(女媧), who carried out the task of creation as the independent goddess and was degraded to the spouse god(配偶神) by getting together with Fuxi(伏羲), and through this, looked into the archetypical meaning of Nüwa myth and...
This study has looked into the original feature and meaning of Nüwa(女媧), who carried out the task of creation as the independent goddess and was degraded to the spouse god(配偶神) by getting together with Fuxi(伏羲), and through this, looked into the archetypical meaning of Nüwa myth and its effect on the literature of later times. In addition, it has contemplated how that the archetypical meaning has been accepted into literary works in the later times.
By this premise of study purpose, in the introduction of chapter Ⅰ, I looked into the study of Nüwa myth, which has progressed in the mean time, and presented a purpose and a method of study and set the scope of examining data.
In chapter Ⅱ, I looked into literature data about Nüwa myth by dividing them into Xianqin period(先秦時期), Han dynasty (漢代)~ Weijinnanbeichao(魏晋南北朝), Tangsong period(唐宋時期) and the period after that. Through this, the data of Xianqin period preserves the archetype of Nüwa myth relatively, but I could see the differences of traditional form by a characteristic of literature, a characteristic and class of writer, a purpose of writing, and so on. After Han dynasty, Nüwa myth went thr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explanation and combined with other myth, and was influenced by an ideology. At the same time, it tended to be accepted to a private life and a faith positively. Most of literature data after Tangsong period is related to Nüwa worship of private which has been continued from the previous period.
Continuously, this discussion goes to a critical consideration about Nüwa which was reconstructed from Chinese Mythology and Legend(中國神話傳說) of Yuanke(袁珂) on the basis of the archetype of Nüwa confirmed by the examination of related literature data. By detailed reexamination of Nüwa reconstructed by Yuanke, I could see that a theory on broad sense of mythology(廣義神話論) of Yuanke and a fervent desire that systematizes the Chinese myth was changing the archetype of Nüwa.
In chapter Ⅲ,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study in chapter Ⅱ, I divided a divinity of Nüwa into Creation God(創造神), Earth God(地母神) and Cultural Hero(文化英雄), and discussed the mythical meaning of archetype. Creation God is a representative divinity of Nüwa, and I could see that the capability of creation of Nüwa was related to basic vital power of female by the consideration about the graphonomy analysis and the form of a snake's body with human's head(人首蛇身). And also, I could see that the divinity of Earth God and Culture Hero were from the eternal capability of creation by analysis of various data.
In chapter Ⅳ, I tried to consider how the mythical meaning of archetype of Nüwa, which has been confirmed by the discussion so far, was accepted to Chinese literature and Korean literature. First of all, I looked into an accepting aspect of Nüwa by dividing into classical poems and songs, classical novels, modern and contemporary literature in Chinese literature. Through this, I could see that the acceptance of Nüwa in Chinese literature has been carried out for a long time and has been modified variously by an age, a genre, a subject of work, and so on until today. In Korean literature, I could barely see the accepting aspect of Nüwa in earnest, and mostly, it was just mentioned simply or, just a supportive role.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by a basic and entire point of view even though the study of Nüwa myth has not been carried out in Korea so far. I hope that the original feature of Nüwa and the archetypical meaning of Nüwa myth from this study provide a basis to the Nüwa study of Korea. And also, I would like to finish this study and hope that it gives a lot of nourishments to modern theories such as a feminism, an ecofeminism, an ecologism, and so on.
This study has looked into the original feature and meaning of Nüwa(女媧), who carried out the task of creation as the independent goddess and was degraded to the spouse god(配偶神) by getting together with Fuxi(伏羲), and through this, looked into the archetypical meaning of Nüwa myth and its effect on the literature of later times. In addition, it has contemplated how that the archetypical meaning has been accepted into literary works in the later times.
By this premise of study purpose, in the introduction of chapter Ⅰ, I looked into the study of Nüwa myth, which has progressed in the mean time, and presented a purpose and a method of study and set the scope of examining data.
In chapter Ⅱ, I looked into literature data about Nüwa myth by dividing them into Xianqin period(先秦時期), Han dynasty (漢代)~ Weijinnanbeichao(魏晋南北朝), Tangsong period(唐宋時期) and the period after that. Through this, the data of Xianqin period preserves the archetype of Nüwa myth relatively, but I could see the differences of traditional form by a characteristic of literature, a characteristic and class of writer, a purpose of writing, and so on. After Han dynasty, Nüwa myth went thr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explanation and combined with other myth, and was influenced by an ideology. At the same time, it tended to be accepted to a private life and a faith positively. Most of literature data after Tangsong period is related to Nüwa worship of private which has been continued from the previous period.
Continuously, this discussion goes to a critical consideration about Nüwa which was reconstructed from Chinese Mythology and Legend(中國神話傳說) of Yuanke(袁珂) on the basis of the archetype of Nüwa confirmed by the examination of related literature data. By detailed reexamination of Nüwa reconstructed by Yuanke, I could see that a theory on broad sense of mythology(廣義神話論) of Yuanke and a fervent desire that systematizes the Chinese myth was changing the archetype of Nüwa.
In chapter Ⅲ,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study in chapter Ⅱ, I divided a divinity of Nüwa into Creation God(創造神), Earth God(地母神) and Cultural Hero(文化英雄), and discussed the mythical meaning of archetype. Creation God is a representative divinity of Nüwa, and I could see that the capability of creation of Nüwa was related to basic vital power of female by the consideration about the graphonomy analysis and the form of a snake's body with human's head(人首蛇身). And also, I could see that the divinity of Earth God and Culture Hero were from the eternal capability of creation by analysis of various data.
In chapter Ⅳ, I tried to consider how the mythical meaning of archetype of Nüwa, which has been confirmed by the discussion so far, was accepted to Chinese literature and Korean literature. First of all, I looked into an accepting aspect of Nüwa by dividing into classical poems and songs, classical novels, modern and contemporary literature in Chinese literature. Through this, I could see that the acceptance of Nüwa in Chinese literature has been carried out for a long time and has been modified variously by an age, a genre, a subject of work, and so on until today. In Korean literature, I could barely see the accepting aspect of Nüwa in earnest, and mostly, it was just mentioned simply or, just a supportive role.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by a basic and entire point of view even though the study of Nüwa myth has not been carried out in Korea so far. I hope that the original feature of Nüwa and the archetypical meaning of Nüwa myth from this study provide a basis to the Nüwa study of Korea. And also, I would like to finish this study and hope that it gives a lot of nourishments to modern theories such as a feminism, an ecofeminism, an ecologism, and so 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