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 간 통합교육을 위한 협력실태 및 개선방안 The Actual Conditions Of Cooperation And Improvement-Plans For The Inclusive Education Between Special Class Teachers And Inclusive Class Teachers In The Elementary Schools원문보기
(국문초록)
본 연구는 전라남도지역의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하여 통합교육에서의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 간 협력실태와 개선방안을 보다 구체적으로 탐색해봄으로써 통합교육의 현장적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라남도지역의 특수학급이 설치된 초등학교의 통합학급 교사 106명과 특수학급 교사 82명, 총 18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4.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특수학급 학생의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 간 통합교육을 위한 협력실태는 어느 정도로 이루어지고 있는가?
1-1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학습지도에 대한 협력 실태는 어느 정도로 이루어지고 있는가?
1-2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생활지도에 대한 협력 실태는 어느 정도로 이루어지고 있는가?
1-3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학부모교육에 대한 협력 실태는 어느 정도로 이루어지고 있는가?
둘째, 특수학급 학생의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 간 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개선방안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학습지도 협력실태를 하위영역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 특수학급에의 배치, 좌석배치 및 도우미 활용, 비정기적 의사소통 순으로 높게 응답하였으며, 나머지 10개 요인에서는 ‘보통이다’로 다소 중립적인 응답이 높았다. 교육목표 측면에서 특수학급교사와 통합학급 교사 모두 ‘보통이다’에 가장 많이 응답하였고, 교육활동 측면에서 특수학급교사는 ‘그렇다’, 통합학급교사는 ‘보통이다’에 가장 많이 응답하였으며, 특수학급에의 배치측면에서 특수학급교사와 통합학급교사 모두 ‘그렇다’에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좌석배치 및 도우미 활용측면에서는 특수학급교사는 ‘보통’, 통합학급교사는 ‘그렇다’에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또한 교육과정 수정측면에서는 특수학급교사와 통합학급교사 모두 ‘보통이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평가 내용과 교재 및 교구 측면에서 협력실태를 보면 두 집단 교사 모두 ‘보통이다’라는 응답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정기적인 의사소통에서 협력실태도 특수학급교사와 통합학급교사 모두 ‘보통이다’와 ‘그렇다’라는 응답을 가장 많이 하였다. 그리고 비정기적인 의사소통은 특수학급교사, 통합학급교사 모두 ‘그렇다’로 가장 높게 응답하였고, 평가방법, 통합교육계획, 통합교육실천프로그램, 협력프로그램측면에서 협력실태는 특수학급교사와 통합학급교사 모두 ‘보통이다’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들은 모두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생활지도 협력실태를 하위영역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 생활 및 행동양식, 정서적 내용에 대한 평가, 교우관계 요인에서 ‘보통이다’를 가장 높게 답한 것으로 나타났고, 기본생활습관형성은 ‘보통이다’와 ‘그렇다’가 동등하게 나타났으며, 인간관계조성, 장애이해교육, 학교행사참여, 사회성 신장 및 교우관계 신장, 문제행동 중재, 협력지도의 필요성 측면에서는 각각 ‘그렇다’가 가장 높은 응답률로 나타났다. 하위요인 중 인간관계조성과 협력지도의 필요성 등의 두 가지 요인의 경우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나머지 요인들에서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학부모 교육 협력실태를 하위영역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 ...
(국문초록)
본 연구는 전라남도지역의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하여 통합교육에서의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 간 협력실태와 개선방안을 보다 구체적으로 탐색해봄으로써 통합교육의 현장적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라남도지역의 특수학급이 설치된 초등학교의 통합학급 교사 106명과 특수학급 교사 82명, 총 18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4.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특수학급 학생의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 간 통합교육을 위한 협력실태는 어느 정도로 이루어지고 있는가?
1-1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학습지도에 대한 협력 실태는 어느 정도로 이루어지고 있는가?
1-2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생활지도에 대한 협력 실태는 어느 정도로 이루어지고 있는가?
1-3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학부모교육에 대한 협력 실태는 어느 정도로 이루어지고 있는가?
둘째, 특수학급 학생의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 간 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개선방안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학습지도 협력실태를 하위영역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 특수학급에의 배치, 좌석배치 및 도우미 활용, 비정기적 의사소통 순으로 높게 응답하였으며, 나머지 10개 요인에서는 ‘보통이다’로 다소 중립적인 응답이 높았다. 교육목표 측면에서 특수학급교사와 통합학급 교사 모두 ‘보통이다’에 가장 많이 응답하였고, 교육활동 측면에서 특수학급교사는 ‘그렇다’, 통합학급교사는 ‘보통이다’에 가장 많이 응답하였으며, 특수학급에의 배치측면에서 특수학급교사와 통합학급교사 모두 ‘그렇다’에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좌석배치 및 도우미 활용측면에서는 특수학급교사는 ‘보통’, 통합학급교사는 ‘그렇다’에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또한 교육과정 수정측면에서는 특수학급교사와 통합학급교사 모두 ‘보통이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평가 내용과 교재 및 교구 측면에서 협력실태를 보면 두 집단 교사 모두 ‘보통이다’라는 응답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정기적인 의사소통에서 협력실태도 특수학급교사와 통합학급교사 모두 ‘보통이다’와 ‘그렇다’라는 응답을 가장 많이 하였다. 그리고 비정기적인 의사소통은 특수학급교사, 통합학급교사 모두 ‘그렇다’로 가장 높게 응답하였고, 평가방법, 통합교육계획, 통합교육실천프로그램, 협력프로그램측면에서 협력실태는 특수학급교사와 통합학급교사 모두 ‘보통이다’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들은 모두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생활지도 협력실태를 하위영역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 생활 및 행동양식, 정서적 내용에 대한 평가, 교우관계 요인에서 ‘보통이다’를 가장 높게 답한 것으로 나타났고, 기본생활습관형성은 ‘보통이다’와 ‘그렇다’가 동등하게 나타났으며, 인간관계조성, 장애이해교육, 학교행사참여, 사회성 신장 및 교우관계 신장, 문제행동 중재, 협력지도의 필요성 측면에서는 각각 ‘그렇다’가 가장 높은 응답률로 나타났다. 하위요인 중 인간관계조성과 협력지도의 필요성 등의 두 가지 요인의 경우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나머지 요인들에서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학부모 교육 협력실태를 하위영역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 장애아동의 가정학습, 학부모의 학교 참여, 학부모와의 의사소통, 학부모 인식, 자녀에 대한 교육 등 모든 요인에서 ‘보통이다’에 가장 높게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모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특수학급 교사의 통합학급 교사 간 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개선방안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교사 상호활동, 행정적 지원, 협력교수 활동 등의 세 가지 측면에서 현재 수준과 요구 수준으로 구분하여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교사 상호활동의 현재수준을 하위영역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 협력을 위한 연수기회, 특수학급 배치 전 장애아동훈련, 협력교사 간의 상호이해, 정기적인 만남과 정보제공 등 모든 요인에서 ‘보통이다’를 가장 높게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한편,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교사 상호활동의 요구수준을 하위영역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 협력을 위한 연수기회, 특수학급 배치 전 장애아동훈련, 협력교사 간의 상호이해, 정기적인 만남과 정보제공 등 모든 요인에서 ‘조금 더 필요하다’를 가장 높게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행정적 지원의 현재수준을 하위영역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 교수학습 자료의 확충, 학급당 인원수 감축, 보조교사의 배치, 교장, 교감의 통합교육에 대한 이해 정도, 업무량 경감, 교육청의 행정적 지원, 경비지원 등 모든 요인에서 ‘보통이다’를 가장 높게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한편,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행정적 지원의 요구수준을 하위영역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 교수학습 자료의 확충은 ‘조금 더 필요하다’, 학급당 인원수 감축은 ‘매우 필요하다’, 보조교사의 배치는 ‘조금 더 필요하다’, 교장, 교감의 통합교육에 대한 이해 정도는 ‘조금 더 필요하다’, 업무량 경감은 ‘조금 더 필요하다’, 교육청의 행정적 지원은 ‘조금 더 필요하다’ 경비지원은 ‘조금 더 필요하다’에 가장 많은 응답을 하였으나 집단 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협력교수 활동의 현재수준을 하위영역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 철학과 신념의 이해, 교수계획과 평가, 동등한 위상, 통합학급교사와 특수학급교사의 역할책임 등 모든 요인에서 ‘보통이다’를 가장 높게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한편,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협력교수 활동의 요구수준을 하위영역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 철학과 신념의 이해, 교수계획과 평가, 동등한 위상 , 통합학급교사와 특수학급교사의 역할책임 등 모든 요인에서 ‘조금 더 필요하다’를 가장 높게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집단 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문초록)
본 연구는 전라남도지역의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하여 통합교육에서의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 간 협력실태와 개선방안을 보다 구체적으로 탐색해봄으로써 통합교육의 현장적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라남도지역의 특수학급이 설치된 초등학교의 통합학급 교사 106명과 특수학급 교사 82명, 총 18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4.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특수학급 학생의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 간 통합교육을 위한 협력실태는 어느 정도로 이루어지고 있는가?
1-1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학습지도에 대한 협력 실태는 어느 정도로 이루어지고 있는가?
1-2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생활지도에 대한 협력 실태는 어느 정도로 이루어지고 있는가?
1-3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학부모교육에 대한 협력 실태는 어느 정도로 이루어지고 있는가?
둘째, 특수학급 학생의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 간 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개선방안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학습지도 협력실태를 하위영역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 특수학급에의 배치, 좌석배치 및 도우미 활용, 비정기적 의사소통 순으로 높게 응답하였으며, 나머지 10개 요인에서는 ‘보통이다’로 다소 중립적인 응답이 높았다. 교육목표 측면에서 특수학급교사와 통합학급 교사 모두 ‘보통이다’에 가장 많이 응답하였고, 교육활동 측면에서 특수학급교사는 ‘그렇다’, 통합학급교사는 ‘보통이다’에 가장 많이 응답하였으며, 특수학급에의 배치측면에서 특수학급교사와 통합학급교사 모두 ‘그렇다’에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좌석배치 및 도우미 활용측면에서는 특수학급교사는 ‘보통’, 통합학급교사는 ‘그렇다’에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또한 교육과정 수정측면에서는 특수학급교사와 통합학급교사 모두 ‘보통이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평가 내용과 교재 및 교구 측면에서 협력실태를 보면 두 집단 교사 모두 ‘보통이다’라는 응답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정기적인 의사소통에서 협력실태도 특수학급교사와 통합학급교사 모두 ‘보통이다’와 ‘그렇다’라는 응답을 가장 많이 하였다. 그리고 비정기적인 의사소통은 특수학급교사, 통합학급교사 모두 ‘그렇다’로 가장 높게 응답하였고, 평가방법, 통합교육계획, 통합교육실천프로그램, 협력프로그램측면에서 협력실태는 특수학급교사와 통합학급교사 모두 ‘보통이다’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들은 모두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생활지도 협력실태를 하위영역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 생활 및 행동양식, 정서적 내용에 대한 평가, 교우관계 요인에서 ‘보통이다’를 가장 높게 답한 것으로 나타났고, 기본생활습관형성은 ‘보통이다’와 ‘그렇다’가 동등하게 나타났으며, 인간관계조성, 장애이해교육, 학교행사참여, 사회성 신장 및 교우관계 신장, 문제행동 중재, 협력지도의 필요성 측면에서는 각각 ‘그렇다’가 가장 높은 응답률로 나타났다. 하위요인 중 인간관계조성과 협력지도의 필요성 등의 두 가지 요인의 경우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나머지 요인들에서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학부모 교육 협력실태를 하위영역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 장애아동의 가정학습, 학부모의 학교 참여, 학부모와의 의사소통, 학부모 인식, 자녀에 대한 교육 등 모든 요인에서 ‘보통이다’에 가장 높게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모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특수학급 교사의 통합학급 교사 간 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개선방안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교사 상호활동, 행정적 지원, 협력교수 활동 등의 세 가지 측면에서 현재 수준과 요구 수준으로 구분하여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교사 상호활동의 현재수준을 하위영역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 협력을 위한 연수기회, 특수학급 배치 전 장애아동훈련, 협력교사 간의 상호이해, 정기적인 만남과 정보제공 등 모든 요인에서 ‘보통이다’를 가장 높게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한편,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교사 상호활동의 요구수준을 하위영역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 협력을 위한 연수기회, 특수학급 배치 전 장애아동훈련, 협력교사 간의 상호이해, 정기적인 만남과 정보제공 등 모든 요인에서 ‘조금 더 필요하다’를 가장 높게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행정적 지원의 현재수준을 하위영역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 교수학습 자료의 확충, 학급당 인원수 감축, 보조교사의 배치, 교장, 교감의 통합교육에 대한 이해 정도, 업무량 경감, 교육청의 행정적 지원, 경비지원 등 모든 요인에서 ‘보통이다’를 가장 높게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한편,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행정적 지원의 요구수준을 하위영역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 교수학습 자료의 확충은 ‘조금 더 필요하다’, 학급당 인원수 감축은 ‘매우 필요하다’, 보조교사의 배치는 ‘조금 더 필요하다’, 교장, 교감의 통합교육에 대한 이해 정도는 ‘조금 더 필요하다’, 업무량 경감은 ‘조금 더 필요하다’, 교육청의 행정적 지원은 ‘조금 더 필요하다’ 경비지원은 ‘조금 더 필요하다’에 가장 많은 응답을 하였으나 집단 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협력교수 활동의 현재수준을 하위영역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 철학과 신념의 이해, 교수계획과 평가, 동등한 위상, 통합학급교사와 특수학급교사의 역할책임 등 모든 요인에서 ‘보통이다’를 가장 높게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한편,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협력교수 활동의 요구수준을 하위영역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 철학과 신념의 이해, 교수계획과 평가, 동등한 위상 , 통합학급교사와 특수학급교사의 역할책임 등 모든 요인에서 ‘조금 더 필요하다’를 가장 높게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집단 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basic data to enhance the
possibility of integrated education at the elementary schools. For this
purpose, I examined the actual circumstances of cooperation and
improvement-plans for the integrated education between special class
teachers and int...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basic data to enhance the
possibility of integrated education at the elementary schools. For this
purpose, I examined the actual circumstances of cooperation and
improvement-plans for the integrated education between special class
teachers and integrated class teachers of the elementary schools in
Jeollanam-do. This study looked at 106 teachers of integrated schools
and 82 teachers of special class through questionnaire-analysis and SPSS
14.0 PROGRAM.
To achieve the goal of my study, I set up the following topics.
First, How's the actual cooperation between special class teachers and
integrated class teachers for the inclusive education?
1-1 How's the actual conditions of cooperation for teaching between
special class teachers and integrated class teachers?
1-2 How's the actual conditions of cooperation for guidance between
special class teachers and integrated class teachers?
1-3 How's the actual conditions of cooperation for education of students'
parents between special class teachers and integrated class teachers?
Second, What are the improvement-plans to facilitate cooperation
between special class teachers and integrated class teachers?
The results I've found ou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ata are as
follows.
First, in the degree of cooperation for teaching between special class
teachers and integrated class teachers, three subordinate
factors(placement in a special class, arrangement of seats and voluntary
help, irregular communication) had very positive responses from all the
teachers, while there were rather neutral responses 'average' in the
other 10 factors. The results of responses are as followings: In the
teaching aim 'average' is the most answers from all the teachers, in the
teaching activities 'yes' for special class teachers and 'average' for
integrated class teachers, in the placement in a special class 'yes' for
both groups' teachers, and in the arrangement of seat and voluntary help
'average' for special class teachers and 'yes' for integrated class
teachers. And in the correction of curriculum, 'average' is the most
answers for both teachers, in the assessment contents and teaching
materials 'average' for both, in the regular communication 'average' for
both, in the irregular communication 'Yes' for both, and in the assessment
methods, integrated teaching plan, integrated teaching program, and
cooperation programs 'average' are the high choices for both. However,
there are not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degree of cooperation for teaching.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shown in the degree of cooperation for
guidance between special class teachers and integrated class teachers,
respondents chose 'average' highly in the factor of life and behavior
patterns, the assessment of emotion, and classmate relationship. In the
factor of basic habitual behavior 'average' and 'yes' are equally
answered. And also, most teachers said 'yes' in the factor of
relationship acquisition, understandi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participating in the school activities, improving social abilities , settlement
of problems, and the necessity of cooperative teaching respectively. While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factor of
making relationship and the necessities of cooperative teaching, there are
not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other factors.
Third, in the degree of cooperation for education of students' parents
between special class teachers and integrated class teachers, the results
are that most teachers of the both classes chose 'average' in all
factors-home studying of the disabled, parents' participation,
communication with parents, recognition of education, and education of
their kid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are not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degree of cooperation for education of
students' parents.
Fourth, for the improvement-plans to facilitate cooperation between
special class teachers and integrated class teachers, I divided the data
into two levels-current level and required level to examine the three
aspects: interaction of teachers, administrative support and cooperative
teaching-activitie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When I analyzed the current level in the field of 'interaction of
teachers', the respondents said ' average' in all the subordinate factors
-- opportunities for the workshop, training disabled kids before
placement to the special class,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both
groups' teachers, regular meeting and supply of information, and getting
teaching materials. It means that there are not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both groups. On the other hands, When I analyzed the required
level in the field of 'interaction of teachers, most respondents chose
'more necessary' in all the factors. It means that there are not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both groups.
When I examined the current level in the field of 'administrative
support', the respondents said ' average' in all the subordinate factors
--reduction of class size, stationing of assistant teacher, principle's
understanding of integrated education, reducing work, and the support of
the educational office. It means that there are not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both groups. On the other hand, At the required level in the
field of 'interaction of teachers, most respondents chose ' very
necessary' about reducing class size, and they said 'a little more
necessary' about the rest of the factors. It means that there are not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both groups.
Finally, when I analyzed the current level in the field of 'administrative
support', the responses of teachers of both group were ' average' in all
the subordinate factors -- supporting expenses, understanding of
philosophy and confidence, teaching plan and assessments, equalities,
role of both group' teachers etc. It means that there are not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both groups. On the other hand, At the required
level in the field of 'interaction of teachers, most respondents said 'a
little more necessary' about the rest of the factors. It also means that
there are not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both group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basic data to enhance the
possibility of integrated education at the elementary schools. For this
purpose, I examined the actual circumstances of cooperation and
improvement-plans for the integrated education between special class
teachers and integrated class teachers of the elementary schools in
Jeollanam-do. This study looked at 106 teachers of integrated schools
and 82 teachers of special class through questionnaire-analysis and SPSS
14.0 PROGRAM.
To achieve the goal of my study, I set up the following topics.
First, How's the actual cooperation between special class teachers and
integrated class teachers for the inclusive education?
1-1 How's the actual conditions of cooperation for teaching between
special class teachers and integrated class teachers?
1-2 How's the actual conditions of cooperation for guidance between
special class teachers and integrated class teachers?
1-3 How's the actual conditions of cooperation for education of students'
parents between special class teachers and integrated class teachers?
Second, What are the improvement-plans to facilitate cooperation
between special class teachers and integrated class teachers?
The results I've found ou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ata are as
follows.
First, in the degree of cooperation for teaching between special class
teachers and integrated class teachers, three subordinate
factors(placement in a special class, arrangement of seats and voluntary
help, irregular communication) had very positive responses from all the
teachers, while there were rather neutral responses 'average' in the
other 10 factors. The results of responses are as followings: In the
teaching aim 'average' is the most answers from all the teachers, in the
teaching activities 'yes' for special class teachers and 'average' for
integrated class teachers, in the placement in a special class 'yes' for
both groups' teachers, and in the arrangement of seat and voluntary help
'average' for special class teachers and 'yes' for integrated class
teachers. And in the correction of curriculum, 'average' is the most
answers for both teachers, in the assessment contents and teaching
materials 'average' for both, in the regular communication 'average' for
both, in the irregular communication 'Yes' for both, and in the assessment
methods, integrated teaching plan, integrated teaching program, and
cooperation programs 'average' are the high choices for both. However,
there are not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degree of cooperation for teaching.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shown in the degree of cooperation for
guidance between special class teachers and integrated class teachers,
respondents chose 'average' highly in the factor of life and behavior
patterns, the assessment of emotion, and classmate relationship. In the
factor of basic habitual behavior 'average' and 'yes' are equally
answered. And also, most teachers said 'yes' in the factor of
relationship acquisition, understandi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participating in the school activities, improving social abilities , settlement
of problems, and the necessity of cooperative teaching respectively. While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factor of
making relationship and the necessities of cooperative teaching, there are
not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other factors.
Third, in the degree of cooperation for education of students' parents
between special class teachers and integrated class teachers, the results
are that most teachers of the both classes chose 'average' in all
factors-home studying of the disabled, parents' participation,
communication with parents, recognition of education, and education of
their kid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are not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degree of cooperation for education of
students' parents.
Fourth, for the improvement-plans to facilitate cooperation between
special class teachers and integrated class teachers, I divided the data
into two levels-current level and required level to examine the three
aspects: interaction of teachers, administrative support and cooperative
teaching-activitie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When I analyzed the current level in the field of 'interaction of
teachers', the respondents said ' average' in all the subordinate factors
-- opportunities for the workshop, training disabled kids before
placement to the special class,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both
groups' teachers, regular meeting and supply of information, and getting
teaching materials. It means that there are not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both groups. On the other hands, When I analyzed the required
level in the field of 'interaction of teachers, most respondents chose
'more necessary' in all the factors. It means that there are not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both groups.
When I examined the current level in the field of 'administrative
support', the respondents said ' average' in all the subordinate factors
--reduction of class size, stationing of assistant teacher, principle's
understanding of integrated education, reducing work, and the support of
the educational office. It means that there are not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both groups. On the other hand, At the required level in the
field of 'interaction of teachers, most respondents chose ' very
necessary' about reducing class size, and they said 'a little more
necessary' about the rest of the factors. It means that there are not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both groups.
Finally, when I analyzed the current level in the field of 'administrative
support', the responses of teachers of both group were ' average' in all
the subordinate factors -- supporting expenses, understanding of
philosophy and confidence, teaching plan and assessments, equalities,
role of both group' teachers etc. It means that there are not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both groups. On the other hand, At the required
level in the field of 'interaction of teachers, most respondents said 'a
little more necessary' about the rest of the factors. It also means that
there are not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both group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