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공동주택에서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이 범죄인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 design on the perception of crime in apartment housing원문보기
본 연구는 최근 국내·외에서 범죄예방의 수단으로 각광 받고 있는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CPTED)과 범죄경험정도 및 범죄안전인식과의 관계를 공동주택 주민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동안 CPTED에 대한 연구는 주로 건축학분야에서 다루어져 왔으나 CPTED의 기본적 목표가 범죄예방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이는 분명 경호학의 영역이다. 본 연구는 범죄예방을 위한 환경적 설계가 공동주택 주민들의 범죄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공동주택에 적용되고 있는 CPTED 요소들과 범죄유형별 관계를 밝히고, 현재 공동주택에 적용되고 있는 CPTED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도출하여, 효율적인 범죄예방수단으로서의 CPTED방안을 제안할 목적으로, 연구는 실증조사방식에 따라 아래와 같은 절차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
본 연구는 최근 국내·외에서 범죄예방의 수단으로 각광 받고 있는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CPTED)과 범죄경험정도 및 범죄안전인식과의 관계를 공동주택 주민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동안 CPTED에 대한 연구는 주로 건축학분야에서 다루어져 왔으나 CPTED의 기본적 목표가 범죄예방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이는 분명 경호학의 영역이다. 본 연구는 범죄예방을 위한 환경적 설계가 공동주택 주민들의 범죄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공동주택에 적용되고 있는 CPTED 요소들과 범죄유형별 관계를 밝히고, 현재 공동주택에 적용되고 있는 CPTED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도출하여, 효율적인 범죄예방수단으로서의 CPTED방안을 제안할 목적으로, 연구는 실증조사방식에 따라 아래와 같은 절차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모집단은 2008년 수도권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주민들이며,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표본추출을 위해 비확률 표집방법(Non Probability Sampling) 중 유의표집법(Judgmental Sampling)을 이용하였다. 표본의 정확성을 위해 경찰청(2005)의 범죄예방을 위한 설계지침과 Crowe(2000)의 CPTED설계 개념을 토대로 1·2차(1차-자연적 접근통제, 자연적 감시, 2차-기계적 접근통제, 조직적 접근통제, 기계적 감시, 조직적 감시)가 적용된 공동주택은 High로, 2차(기계적 접근통제, 조직적 접근통제, 기계적 감시, 조직적 감시)만 적용된 공동주택은 Low로 분류하여 각 3개씩을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표본의 충분한 수집을 위해 200가구 이상이 거주하는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보다 신뢰성 있는 자료를 얻기 위해 각 가구의 가장 또는 주부로 응답자를 구성하였다. CPTED의 구성요소의 측정변수들을 보면 먼저 접근통제의 측정변수는 Crowe(2000), Newman(1972), Furstenberg(1972), 조세현(2002), 경찰청(2005)의 범죄예방 설계(CPTED)지침, 김영제(2007), 임창주(2003), 원선영 외 등(2008), 최열 외(2003), 최열 외(2007), 표창원(2003)의 연구들을 수정·보완하여, 기계적 접근통제, 조직적 접근통제, 자연적 접근통제의 세 개 차원에 각 6개씩의 항목으로 총 18개의 문항을 구성하였다. 감시의 측정변수는 Brown(1995), Crowe(2000), Kaniasty(1992), Short & Ditton(1995), Newman(1972), Norris & Skinns(1998), Squires(1998), 경찰청(2005)의 범죄예방 설계(CPTED)지침, 김대진 외(2008), 박성민 외(2006), 이효창(2007), 이만형(2007), 이유미(2008), 이은혜 외(2008), 임창주(2003), 장동국(2004), 최열 외(2007), 표창원(2003)의 연구를 수정·보완하여 기계적 감시, 조직적 감시, 자연적 감시의 세 개 차원에 6개씩의 측정항목으로 구성하였다. 강화의 측정변수는 Altman(1975), Blakely & Snyder(1999), Crowe(2000), Norris & Kaniasty(1992), Wilson(1978), 경찰청(2005) 범죄예방을 위한 설계(CPTED)지침, 김광복 외(2004), 김석경(2007), 강석진 외(2007), 이만형 외(2007)의 연구들을 토대로 본 연구의 목적과 대상에 적합하도록 일부 문항의 내용을 재수정·보완하여 영역성 강화와 근린 강화의 두 개 차원에 각 6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범죄경험정도와 범죄위험인식 측정항목은 경찰청(2007)의 범죄발생 장소와 수법별 통계자료, 강석진 외(2007), 김영재(2007), 이유미(2007), 최열 외(2003)의 연구들을 수정, 보완하여 각 7개의 범죄유형으로 구성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SPSS 15.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였으며, 모집단으로부터 표본을 추출하고, 자료의 배포, 수집 및 코딩 후 데이터탐색과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성분석을 실시하여 척도를 정교화하였다. 연구목적과 관련된 6개의 연구가설을 설정하여 이를 실증적으로 검정하였다. 가설의 검증은 Two-way ANOVA분석과 단순 및 다중회귀분석(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CPTED의 측정변수는 척도의 신뢰성, 타당성이 확보되었다. 둘째, CPTED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은 CPTED의 적용수준 집단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이 밝혀졌다. 셋째, CPTED의 만족도에 대한 인식은 CPTED의 적용수준 집단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모든 차원에서 1. 2차 적용집단(HL)에서 높게 나타났다. 넷째, CPTED의 적용수준 집단별 범죄경험 정도는 2차 적용집단(LL)에서 높으며, 범죄경험정도가 CPTED의 중요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역시 이들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CPTED의 적용수준에 따른 집단별 만족도가 범죄안전인식에 미치는 영향은 HL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범죄 유형과 CPTED의 설계요소간에는 유의미한 관계들이 있음이 밝혀졌다. 일곱째, CPTED의 설계요소의 만족도와 특정 범죄유형으로부터의 안전인식간에는 유의미한 관계들이 있음이 밝혀졌다. 이상의 분석결과들을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를 학문적인 측면과 실무적인 측면에서 제시한다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학문적 의의로는 경호학에서 CPTED의 구성차원에 대한 측정변수들을 도출하고, 요인분석과 신뢰성분석을 통해 적합성을 검증함으로써 그동안 개념적 체계가 확립되지 않았던 CPTED의 구성차원과 측정변수들을 일반화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했다는 점이다. 실무적인 측면에서는 범죄 유형과 CPTED의 설계요소간의 유의미한 관계들을 밝혀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는 특정 범죄유형과 관련하여 이를 예방하기 위해 중점을 두어야 하는 CPTED의 설계요소를 제시함으로써, 본 연구결과가 향후 공동주택에 CPTED를 적용하는데 있어 보다 효율적인 설계방안의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최근 국내·외에서 범죄예방의 수단으로 각광 받고 있는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CPTED)과 범죄경험정도 및 범죄안전인식과의 관계를 공동주택 주민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동안 CPTED에 대한 연구는 주로 건축학분야에서 다루어져 왔으나 CPTED의 기본적 목표가 범죄예방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이는 분명 경호학의 영역이다. 본 연구는 범죄예방을 위한 환경적 설계가 공동주택 주민들의 범죄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공동주택에 적용되고 있는 CPTED 요소들과 범죄유형별 관계를 밝히고, 현재 공동주택에 적용되고 있는 CPTED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도출하여, 효율적인 범죄예방수단으로서의 CPTED방안을 제안할 목적으로, 연구는 실증조사방식에 따라 아래와 같은 절차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모집단은 2008년 수도권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주민들이며,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표본추출을 위해 비확률 표집방법(Non Probability Sampling) 중 유의표집법(Judgmental Sampling)을 이용하였다. 표본의 정확성을 위해 경찰청(2005)의 범죄예방을 위한 설계지침과 Crowe(2000)의 CPTED설계 개념을 토대로 1·2차(1차-자연적 접근통제, 자연적 감시, 2차-기계적 접근통제, 조직적 접근통제, 기계적 감시, 조직적 감시)가 적용된 공동주택은 High로, 2차(기계적 접근통제, 조직적 접근통제, 기계적 감시, 조직적 감시)만 적용된 공동주택은 Low로 분류하여 각 3개씩을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표본의 충분한 수집을 위해 200가구 이상이 거주하는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보다 신뢰성 있는 자료를 얻기 위해 각 가구의 가장 또는 주부로 응답자를 구성하였다. CPTED의 구성요소의 측정변수들을 보면 먼저 접근통제의 측정변수는 Crowe(2000), Newman(1972), Furstenberg(1972), 조세현(2002), 경찰청(2005)의 범죄예방 설계(CPTED)지침, 김영제(2007), 임창주(2003), 원선영 외 등(2008), 최열 외(2003), 최열 외(2007), 표창원(2003)의 연구들을 수정·보완하여, 기계적 접근통제, 조직적 접근통제, 자연적 접근통제의 세 개 차원에 각 6개씩의 항목으로 총 18개의 문항을 구성하였다. 감시의 측정변수는 Brown(1995), Crowe(2000), Kaniasty(1992), Short & Ditton(1995), Newman(1972), Norris & Skinns(1998), Squires(1998), 경찰청(2005)의 범죄예방 설계(CPTED)지침, 김대진 외(2008), 박성민 외(2006), 이효창(2007), 이만형(2007), 이유미(2008), 이은혜 외(2008), 임창주(2003), 장동국(2004), 최열 외(2007), 표창원(2003)의 연구를 수정·보완하여 기계적 감시, 조직적 감시, 자연적 감시의 세 개 차원에 6개씩의 측정항목으로 구성하였다. 강화의 측정변수는 Altman(1975), Blakely & Snyder(1999), Crowe(2000), Norris & Kaniasty(1992), Wilson(1978), 경찰청(2005) 범죄예방을 위한 설계(CPTED)지침, 김광복 외(2004), 김석경(2007), 강석진 외(2007), 이만형 외(2007)의 연구들을 토대로 본 연구의 목적과 대상에 적합하도록 일부 문항의 내용을 재수정·보완하여 영역성 강화와 근린 강화의 두 개 차원에 각 6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범죄경험정도와 범죄위험인식 측정항목은 경찰청(2007)의 범죄발생 장소와 수법별 통계자료, 강석진 외(2007), 김영재(2007), 이유미(2007), 최열 외(2003)의 연구들을 수정, 보완하여 각 7개의 범죄유형으로 구성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SPSS 15.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였으며, 모집단으로부터 표본을 추출하고, 자료의 배포, 수집 및 코딩 후 데이터탐색과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성분석을 실시하여 척도를 정교화하였다. 연구목적과 관련된 6개의 연구가설을 설정하여 이를 실증적으로 검정하였다. 가설의 검증은 Two-way ANOVA분석과 단순 및 다중회귀분석(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CPTED의 측정변수는 척도의 신뢰성, 타당성이 확보되었다. 둘째, CPTED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은 CPTED의 적용수준 집단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이 밝혀졌다. 셋째, CPTED의 만족도에 대한 인식은 CPTED의 적용수준 집단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모든 차원에서 1. 2차 적용집단(HL)에서 높게 나타났다. 넷째, CPTED의 적용수준 집단별 범죄경험 정도는 2차 적용집단(LL)에서 높으며, 범죄경험정도가 CPTED의 중요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역시 이들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CPTED의 적용수준에 따른 집단별 만족도가 범죄안전인식에 미치는 영향은 HL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범죄 유형과 CPTED의 설계요소간에는 유의미한 관계들이 있음이 밝혀졌다. 일곱째, CPTED의 설계요소의 만족도와 특정 범죄유형으로부터의 안전인식간에는 유의미한 관계들이 있음이 밝혀졌다. 이상의 분석결과들을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를 학문적인 측면과 실무적인 측면에서 제시한다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학문적 의의로는 경호학에서 CPTED의 구성차원에 대한 측정변수들을 도출하고, 요인분석과 신뢰성분석을 통해 적합성을 검증함으로써 그동안 개념적 체계가 확립되지 않았던 CPTED의 구성차원과 측정변수들을 일반화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했다는 점이다. 실무적인 측면에서는 범죄 유형과 CPTED의 설계요소간의 유의미한 관계들을 밝혀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는 특정 범죄유형과 관련하여 이를 예방하기 위해 중점을 두어야 하는 CPTED의 설계요소를 제시함으로써, 본 연구결과가 향후 공동주택에 CPTED를 적용하는데 있어 보다 효율적인 설계방안의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to examine CPTED(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which is in the limelight as a way to prevent crime from home and abroad, crime estimates and understanding over crime and security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 housing residents. So far, many researches on CPTED have be...
This study is to examine CPTED(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which is in the limelight as a way to prevent crime from home and abroad, crime estimates and understanding over crime and security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 housing residents. So far, many researches on CPTED have been dealt with just in the architecture. Given that the basic objective of CPTED is crime prevention, however, it should be in the field of private securi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like these: looking carefully at an influence environmental design has made on residents' understanding over how dangerous the potential crime is, revea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of CPTED and the types of crimes, coming up with drawbacks of CPTED and its solutions, and making a concrete application of CPTED as the key to safe places with effective natural surveillance. For this the research is experimented empirically as follows. The population in this study consists of public housing residents in the capital city in 2008 and judgmental sampling out of non probability sampling is selected. Based on the Police Crime Prevention design guidelines and Crowe' CPTED design concept the public housing i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One is classified as High that involves the primary and secondary(the primary-natural access control, natural surveillance, the secondary- mechanical access control, systematic access control, mechanical surveillance, systematic surveillance) and the other as Low that involves the secondary only and with this each three objects are chosen in this experiment. The subjects are over 200 families public housings for a good sampling and also breadwinner or housekeepers of each family are respondents for more credible materials. Measurement variables of CPTED elements are like these: measurement variables in access control consist of total 18 questions including each 6 items in mechanic access control, systematic access control, natural access control by referring Crowe(2000), Nowman(1972), Furstenberg(1972), Chosehyun(2002), Choiyeol·LimhaGyung(2005), the Police Crime Prevention design guidelines(2005) and revising and supplementing papers by Kimyoungje(2007), Limchangju(2003), Wonsunyoung et al (2008), Choiyeol et al(2007), Pyochangwon(2003). Measurement variables in surveillance are composed of 6 items respectively in mechanic access control, systematic access control, and natural access control by revising and supplementing studies by Brown(1995), Crowe(2000), Nowman(1972), Norris & Kaniasty(1992), Short & Ditton(1995), Skinns(1998), Squires(1998), the Police Crime Prevention design guidelines(2005), Kimdaejin et al(2008), Parksungmin et al(2006), Leehyochang(2007), Leemanhyung(2007), LeeYumi(2008), Leeeunhye et al(2008), Limchangju(2003), Jangdongkuk(2004), Choiyeol et al(2007), Pyochangwon(2003). Measurement variables in reinforcement are based on researches by Altman(1975), Blakely & Snyder(1999), Crowe(2000), Norris & Kaniasty(1992), Wilson(1978), the Police Crime Prevention design guidelines(2005), Kimgwangbok et al(2004), Kimseokgyung(2007), Kangsungjin at al(2007), Leemanhyung et al(2007) and they are composed of 6 items respectively in domain and vicinity intensification so as to be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wo measurement items, crime estimates and understanding over crime and security consist of each 7 crime types by revising and making up for statistics on places where the crime occurred and modus operandi by National Police Agency(2007) and researches by Kangsukjin et al(2007), Kimyoungjae(2007), Leeyumi(2007), Choiyeol et al(2003). SPSS 15.0 is adapted for practicability analysis and through population sampling distribution, collection and coding of related materials, data search,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re carried out and based on this measures get more elaborated. For this 6 research hypotheses related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set up and tested positively. Two-way ANOVA analysis and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s also adapted for a hypothesis testing and its analysis is summarized below. First, measurement variables in CPTED suggested in this study turn out to have reliability and validity as a criterion. Second, it turns out that there are not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importance of CPTED by each group of CPTED. Thir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satisfaction of CPTED by each group of CPTED and it is especially noticeable in the primary and secondary groups(HL). Fourth, the rate of crime experience is high in the Low level group and also this group shows that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rate of crime experience and its influence on CPTED. Fifth, it is discovered that the influence each group's satisfaction of CPTED has on awareness of crime and safety is outstanding in High and Low group all. Sixth, it turns out that there is an actual difference between crime types and design elements of CPTED. Last,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of design elements of CPTED and safety awareness of specific crime types. On the basis of analyses deducted from above academic and practical significances in this study it could be presented as follow. Most of all academic significance is like this: it provides the foundation for generalizing components of CPTED and its measurement variables which have not been dealt with by anyone from now on with the process of extracting measurement variables of CPTED in the field of private security and verifying its appropriateness b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In addition, this study reveals that there is a high correlation between crime types and design elements of CPTED in terms of practice. Accordingly the result from this study could be foundation for more effective design in applying CPTED to the public housing in the near future by offering design elements of CPTED which should focus on the prevention of specific crime types.
This study is to examine CPTED(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which is in the limelight as a way to prevent crime from home and abroad, crime estimates and understanding over crime and security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 housing residents. So far, many researches on CPTED have been dealt with just in the architecture. Given that the basic objective of CPTED is crime prevention, however, it should be in the field of private securi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like these: looking carefully at an influence environmental design has made on residents' understanding over how dangerous the potential crime is, revea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of CPTED and the types of crimes, coming up with drawbacks of CPTED and its solutions, and making a concrete application of CPTED as the key to safe places with effective natural surveillance. For this the research is experimented empirically as follows. The population in this study consists of public housing residents in the capital city in 2008 and judgmental sampling out of non probability sampling is selected. Based on the Police Crime Prevention design guidelines and Crowe' CPTED design concept the public housing i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One is classified as High that involves the primary and secondary(the primary-natural access control, natural surveillance, the secondary- mechanical access control, systematic access control, mechanical surveillance, systematic surveillance) and the other as Low that involves the secondary only and with this each three objects are chosen in this experiment. The subjects are over 200 families public housings for a good sampling and also breadwinner or housekeepers of each family are respondents for more credible materials. Measurement variables of CPTED elements are like these: measurement variables in access control consist of total 18 questions including each 6 items in mechanic access control, systematic access control, natural access control by referring Crowe(2000), Nowman(1972), Furstenberg(1972), Chosehyun(2002), Choiyeol·LimhaGyung(2005), the Police Crime Prevention design guidelines(2005) and revising and supplementing papers by Kimyoungje(2007), Limchangju(2003), Wonsunyoung et al (2008), Choiyeol et al(2007), Pyochangwon(2003). Measurement variables in surveillance are composed of 6 items respectively in mechanic access control, systematic access control, and natural access control by revising and supplementing studies by Brown(1995), Crowe(2000), Nowman(1972), Norris & Kaniasty(1992), Short & Ditton(1995), Skinns(1998), Squires(1998), the Police Crime Prevention design guidelines(2005), Kimdaejin et al(2008), Parksungmin et al(2006), Leehyochang(2007), Leemanhyung(2007), LeeYumi(2008), Leeeunhye et al(2008), Limchangju(2003), Jangdongkuk(2004), Choiyeol et al(2007), Pyochangwon(2003). Measurement variables in reinforcement are based on researches by Altman(1975), Blakely & Snyder(1999), Crowe(2000), Norris & Kaniasty(1992), Wilson(1978), the Police Crime Prevention design guidelines(2005), Kimgwangbok et al(2004), Kimseokgyung(2007), Kangsungjin at al(2007), Leemanhyung et al(2007) and they are composed of 6 items respectively in domain and vicinity intensification so as to be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wo measurement items, crime estimates and understanding over crime and security consist of each 7 crime types by revising and making up for statistics on places where the crime occurred and modus operandi by National Police Agency(2007) and researches by Kangsukjin et al(2007), Kimyoungjae(2007), Leeyumi(2007), Choiyeol et al(2003). SPSS 15.0 is adapted for practicability analysis and through population sampling distribution, collection and coding of related materials, data search,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re carried out and based on this measures get more elaborated. For this 6 research hypotheses related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set up and tested positively. Two-way ANOVA analysis and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s also adapted for a hypothesis testing and its analysis is summarized below. First, measurement variables in CPTED suggested in this study turn out to have reliability and validity as a criterion. Second, it turns out that there are not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importance of CPTED by each group of CPTED. Thir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satisfaction of CPTED by each group of CPTED and it is especially noticeable in the primary and secondary groups(HL). Fourth, the rate of crime experience is high in the Low level group and also this group shows that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rate of crime experience and its influence on CPTED. Fifth, it is discovered that the influence each group's satisfaction of CPTED has on awareness of crime and safety is outstanding in High and Low group all. Sixth, it turns out that there is an actual difference between crime types and design elements of CPTED. Last,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of design elements of CPTED and safety awareness of specific crime types. On the basis of analyses deducted from above academic and practical significances in this study it could be presented as follow. Most of all academic significance is like this: it provides the foundation for generalizing components of CPTED and its measurement variables which have not been dealt with by anyone from now on with the process of extracting measurement variables of CPTED in the field of private security and verifying its appropriateness b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In addition, this study reveals that there is a high correlation between crime types and design elements of CPTED in terms of practice. Accordingly the result from this study could be foundation for more effective design in applying CPTED to the public housing in the near future by offering design elements of CPTED which should focus on the prevention of specific crime type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