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개인특성, 관계특성, 혁신행동 및 혁신성과 간의 관계 : 다차원적 혁신행동을 중심으로 Individual characteristics,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Innovative Behaviors, and Innovation Performance원문보기
개인수준 혁신행동에 관한 연구들의 대다수는 혁신행동을 단일차원에서 파악하고 있다. 그렇지만 혁신행동이라는 개념은 다차원적 현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Kleysen & Street, 2001). 본 연구에서는 혁신행동을 혁신창조, 혁신전파 및 혁신적용이라는 세 차원으로 구분하여 측정한 후 변수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혁신행동의 다차원성을 고려한 후, 개인특성, 관계특성, 혁신행동 및 혁신성과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함이다. 혁신행동의 선행요인을 개인특성과 관계특성으로 분류하였다. 창의성, 성취욕구 및 조직기반자긍심을 개인특성으로, ...
개인수준 혁신행동에 관한 연구들의 대다수는 혁신행동을 단일차원에서 파악하고 있다. 그렇지만 혁신행동이라는 개념은 다차원적 현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Kleysen & Street, 2001). 본 연구에서는 혁신행동을 혁신창조, 혁신전파 및 혁신적용이라는 세 차원으로 구분하여 측정한 후 변수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혁신행동의 다차원성을 고려한 후, 개인특성, 관계특성, 혁신행동 및 혁신성과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함이다. 혁신행동의 선행요인을 개인특성과 관계특성으로 분류하였다. 창의성, 성취욕구 및 조직기반자긍심을 개인특성으로, 리더-구성원 교환관계, 팀-구성원 교환관계 및 조직지원인식을 관계특성의 하위 개념으로 파악하였다. 필요한 자료는 다양한 조직의 구성원 1,060명으로부터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하였다. 연구모형의 적합도와 변수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AMO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공분산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변수들 간의 관계를 추론하는데 적정한 것으로 판단된다. 변수들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창의성, 성취욕구 및 팀-구성원 교환관계는 혁신행동의 세 차원 모두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관계를, 조직기반자긍심과 조직지원인식은 혁신행동의 두 차원(혁신전파와 혁신적용)과 유의한 정(+)의 관계를, 혁신창조와 혁신적용이라는 혁신행동의 두 차원은 혁신성과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지만 리더-구성원 교환관계는 혁신행동의 세 차원 모두와 유의한 관계를 갖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혁신행동에 관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연구결과를 통해 구성원들의 충원, 교육훈련, 리더십, 조직개발 등과 관련된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개인수준 혁신행동에 관한 연구들의 대다수는 혁신행동을 단일차원에서 파악하고 있다. 그렇지만 혁신행동이라는 개념은 다차원적 현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Kleysen & Street, 2001). 본 연구에서는 혁신행동을 혁신창조, 혁신전파 및 혁신적용이라는 세 차원으로 구분하여 측정한 후 변수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혁신행동의 다차원성을 고려한 후, 개인특성, 관계특성, 혁신행동 및 혁신성과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함이다. 혁신행동의 선행요인을 개인특성과 관계특성으로 분류하였다. 창의성, 성취욕구 및 조직기반자긍심을 개인특성으로, 리더-구성원 교환관계, 팀-구성원 교환관계 및 조직지원인식을 관계특성의 하위 개념으로 파악하였다. 필요한 자료는 다양한 조직의 구성원 1,060명으로부터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하였다. 연구모형의 적합도와 변수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AMO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공분산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변수들 간의 관계를 추론하는데 적정한 것으로 판단된다. 변수들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창의성, 성취욕구 및 팀-구성원 교환관계는 혁신행동의 세 차원 모두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관계를, 조직기반자긍심과 조직지원인식은 혁신행동의 두 차원(혁신전파와 혁신적용)과 유의한 정(+)의 관계를, 혁신창조와 혁신적용이라는 혁신행동의 두 차원은 혁신성과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지만 리더-구성원 교환관계는 혁신행동의 세 차원 모두와 유의한 관계를 갖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혁신행동에 관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연구결과를 통해 구성원들의 충원, 교육훈련, 리더십, 조직개발 등과 관련된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Innovative behavior studies often assess only one dimension of innovative behavior. As such, they do not sufficiently capture the richness of the construct of innovative behavior(Kleysen & Street, 2001). Measures and tests a multi-dimensional measure of innovative behaviors(generativity, championing...
Innovative behavior studies often assess only one dimension of innovative behavior. As such, they do not sufficiently capture the richness of the construct of innovative behavior(Kleysen & Street, 2001). Measures and tests a multi-dimensional measure of innovative behaviors(generativity, championing, and applic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characteristics,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innovative behaviors, and innovation performance. The determinants of innovative behavior are represented by two dimension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Creativity, needs for achievement, and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are consider important aspect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leader-member exchange, team-member exchange,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re consider important aspects of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Generativity, championing, and application are identified as the dimensions of innovative behaviors. In order to analyze the fitness of the research model and to test the hypotheses, the data are collected from 1,060 members in various organizations through the administration of structured questionnaires. A series of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is performed by the AMOS package. The goodness of fit indices indicate that the fit of the model to the data is generally good. The results reveals that (1) creativity, needs for achievement, and team-member exchange has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with innovative behaviors(generativity, championing, and application), (2)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s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with innovative behaviors(championing and application), (3) innovative behaviors(generativity and application) has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with innovation performance, (4)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leader-member exchange and innovative behaviors(generativity, championing, and appl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for both theory of innovative behavior and management practice.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provide some guidance to making decision on staffing, training,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development.
Innovative behavior studies often assess only one dimension of innovative behavior. As such, they do not sufficiently capture the richness of the construct of innovative behavior(Kleysen & Street, 2001). Measures and tests a multi-dimensional measure of innovative behaviors(generativity, championing, and applic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characteristics,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innovative behaviors, and innovation performance. The determinants of innovative behavior are represented by two dimension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Creativity, needs for achievement, and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are consider important aspect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leader-member exchange, team-member exchange,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re consider important aspects of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Generativity, championing, and application are identified as the dimensions of innovative behaviors. In order to analyze the fitness of the research model and to test the hypotheses, the data are collected from 1,060 members in various organizations through the administration of structured questionnaires. A series of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is performed by the AMOS package. The goodness of fit indices indicate that the fit of the model to the data is generally good. The results reveals that (1) creativity, needs for achievement, and team-member exchange has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with innovative behaviors(generativity, championing, and application), (2)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s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with innovative behaviors(championing and application), (3) innovative behaviors(generativity and application) has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with innovation performance, (4)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leader-member exchange and innovative behaviors(generativity, championing, and appl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for both theory of innovative behavior and management practice.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provide some guidance to making decision on staffing, training,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development.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