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君師 정조의 인재정책에 나타난 리더십 연구 : 규장각 抄啓文臣制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eadership viewed from personnel policies conducted by King Jeongjo, Royal teacher:centering on Gyujanggak Chogyemunsin system원문보기
본 연구는 규장각 초계문신제를 중심으로 조선 정조 임금의 인재정책을 살펴보고, 아울러 인재정책의 추진 과정에 나타난 정조의 리더십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정조는 규장각을 ‘상이극준봉모훈지도(上以極遵奉謨訓之道)’와 ‘하이진작성인재지방(下以盡作成人才之方)’이라는 2대 명분을 살려서 설립하였고, 후자의 일환으로 초계문신제를 추진하였다. 초계문신제 및 인재정책의 추진 과정에서 드러난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벤치마킹을 통해 인재정책을 추진하였다. 규장각의 2대 명분 중에 하나인 위로 성모(聖謀)를 받드는 것은 송나라의 것을 모방하여 당시의 실정에 맞게 적용·운영한 것이고, 다른 하나인 아래로 인재를 기르는 것은 집현전과 독서당을 모방하여 초계문신의 선발에 있어 선발 연령과 품계를 참작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능력을 중시하여 인재를 선발하고 양성하였다. 초계문신을 선발함에 있어서는 자신의 반대 세력인 노론 뿐 아니라 상당수의 남인이나 북인계 인물들을 선발하였으며, 규장각 검서관에 서얼(庶孼) 출신을 임명함으로써 당색·지연·혈연을 탈피하여 능력을 중시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초계문신의 양성과정에서 내려진 책문(策問)은 실무·실사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정밀한 교육과정을 통한 인재양성이 이루어졌다. 정조가 의정(議定)하여 운영의 지침으로 삼은 문신강제절목(文臣講製節目)에는 초계문신의 교육과 관련하여 강(講)할 책명(冊名)과 차례, 분량을 세분하여 규정하고 있다. 또한 강론(講論)은 전교과과정을 100회로 나눈 진행표에 따라 시행되었으며, 평가에 관한 규정도 포함되어 있다. 문신강제절목은 오늘날의 교육과정과 같은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 절목에 따라 인재양성이 이루어졌다. 넷째, 적절한 장려책을 통해 인재양성이 이루어졌다. 초계문신들의 학문을 분발·격려하기 위해 국왕이 친림하는 친시와 친강을 매달 거행하였으며, 교육 결과에 따른 상벌을 명확히 하였다. 또한, 초계문신의 신분 및 경제적 보장 조처가 취해지고, 잡무도 면제되었으며, 몇 가지 특권을 주어 학문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었다. 이러한 장려책은 교육의 성과를 높이기 위한 배려 차원에서 이루어진 것이라 하겠다. 인재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정조 리더십의 특성을 규장각 초계문신제를 중심으로 세 가지로 구분하였다. 첫째, 변화선도와 자기혁신이다. 정조는 자기혁신을 통해 학문적 능력을 갖추고, 이것을 바탕으로 변화선도의 리더십을 발휘하였다고 하겠다. 정조는 학문적 능력과 도덕성을 바탕으로 중병의 환자라는 시대의 진단을 통해 인재 양성이라는 비전을 제시하였으며, 교육이라는 ...
본 연구는 규장각 초계문신제를 중심으로 조선 정조 임금의 인재정책을 살펴보고, 아울러 인재정책의 추진 과정에 나타난 정조의 리더십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정조는 규장각을 ‘상이극준봉모훈지도(上以極遵奉謨訓之道)’와 ‘하이진작성인재지방(下以盡作成人才之方)’이라는 2대 명분을 살려서 설립하였고, 후자의 일환으로 초계문신제를 추진하였다. 초계문신제 및 인재정책의 추진 과정에서 드러난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벤치마킹을 통해 인재정책을 추진하였다. 규장각의 2대 명분 중에 하나인 위로 성모(聖謀)를 받드는 것은 송나라의 것을 모방하여 당시의 실정에 맞게 적용·운영한 것이고, 다른 하나인 아래로 인재를 기르는 것은 집현전과 독서당을 모방하여 초계문신의 선발에 있어 선발 연령과 품계를 참작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능력을 중시하여 인재를 선발하고 양성하였다. 초계문신을 선발함에 있어서는 자신의 반대 세력인 노론 뿐 아니라 상당수의 남인이나 북인계 인물들을 선발하였으며, 규장각 검서관에 서얼(庶孼) 출신을 임명함으로써 당색·지연·혈연을 탈피하여 능력을 중시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초계문신의 양성과정에서 내려진 책문(策問)은 실무·실사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정밀한 교육과정을 통한 인재양성이 이루어졌다. 정조가 의정(議定)하여 운영의 지침으로 삼은 문신강제절목(文臣講製節目)에는 초계문신의 교육과 관련하여 강(講)할 책명(冊名)과 차례, 분량을 세분하여 규정하고 있다. 또한 강론(講論)은 전교과과정을 100회로 나눈 진행표에 따라 시행되었으며, 평가에 관한 규정도 포함되어 있다. 문신강제절목은 오늘날의 교육과정과 같은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 절목에 따라 인재양성이 이루어졌다. 넷째, 적절한 장려책을 통해 인재양성이 이루어졌다. 초계문신들의 학문을 분발·격려하기 위해 국왕이 친림하는 친시와 친강을 매달 거행하였으며, 교육 결과에 따른 상벌을 명확히 하였다. 또한, 초계문신의 신분 및 경제적 보장 조처가 취해지고, 잡무도 면제되었으며, 몇 가지 특권을 주어 학문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었다. 이러한 장려책은 교육의 성과를 높이기 위한 배려 차원에서 이루어진 것이라 하겠다. 인재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정조 리더십의 특성을 규장각 초계문신제를 중심으로 세 가지로 구분하였다. 첫째, 변화선도와 자기혁신이다. 정조는 자기혁신을 통해 학문적 능력을 갖추고, 이것을 바탕으로 변화선도의 리더십을 발휘하였다고 하겠다. 정조는 학문적 능력과 도덕성을 바탕으로 중병의 환자라는 시대의 진단을 통해 인재 양성이라는 비전을 제시하였으며, 교육이라는 해결 방안을 통해 변화를 추구하였다. 둘째, 인간존중과 배려이다. 정조가 발휘한 배려의 리더십은 인간존중을 바탕으로 하여 인재양성이라는 목적 달성을 위해 학문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주고, 초계문신들을 인정하고 격려하기 위한 조치로 여겨진다. 셋째, 솔선수범과 자기희생이다. 정조는 자기희생을 바탕으로 부하들의 학문을 독려하기 위해 솔선수범하였다. 또, 인재의 양성과정에서 열정을 가지고 헌신함으로써 부하들의 모범이 되었다. 정조가 임금이자 스승, 즉 군사(君師)로서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었던 것은 무엇보다도 고도의 학문적 능력과 도덕성을 갖추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리더가 전문적 능력을 갖추고 깨끗한 도덕성을 지녀야 한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오늘날 교육조직의 리더는 학문을 통해 지속적으로 자기혁신을 이루고, 인간애를 바탕으로 한 배려를 실천하며, 개인적인 이익보다는 조직의 안녕과 번영을 우선하는 적극적인 자기희생을 바탕으로 솔선수범함으로써 조직 구성원을 교육하는 진정한 지도자가 되어야 하겠다.
본 연구는 규장각 초계문신제를 중심으로 조선 정조 임금의 인재정책을 살펴보고, 아울러 인재정책의 추진 과정에 나타난 정조의 리더십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정조는 규장각을 ‘상이극준봉모훈지도(上以極遵奉謨訓之道)’와 ‘하이진작성인재지방(下以盡作成人才之方)’이라는 2대 명분을 살려서 설립하였고, 후자의 일환으로 초계문신제를 추진하였다. 초계문신제 및 인재정책의 추진 과정에서 드러난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벤치마킹을 통해 인재정책을 추진하였다. 규장각의 2대 명분 중에 하나인 위로 성모(聖謀)를 받드는 것은 송나라의 것을 모방하여 당시의 실정에 맞게 적용·운영한 것이고, 다른 하나인 아래로 인재를 기르는 것은 집현전과 독서당을 모방하여 초계문신의 선발에 있어 선발 연령과 품계를 참작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능력을 중시하여 인재를 선발하고 양성하였다. 초계문신을 선발함에 있어서는 자신의 반대 세력인 노론 뿐 아니라 상당수의 남인이나 북인계 인물들을 선발하였으며, 규장각 검서관에 서얼(庶孼) 출신을 임명함으로써 당색·지연·혈연을 탈피하여 능력을 중시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초계문신의 양성과정에서 내려진 책문(策問)은 실무·실사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정밀한 교육과정을 통한 인재양성이 이루어졌다. 정조가 의정(議定)하여 운영의 지침으로 삼은 문신강제절목(文臣講製節目)에는 초계문신의 교육과 관련하여 강(講)할 책명(冊名)과 차례, 분량을 세분하여 규정하고 있다. 또한 강론(講論)은 전교과과정을 100회로 나눈 진행표에 따라 시행되었으며, 평가에 관한 규정도 포함되어 있다. 문신강제절목은 오늘날의 교육과정과 같은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 절목에 따라 인재양성이 이루어졌다. 넷째, 적절한 장려책을 통해 인재양성이 이루어졌다. 초계문신들의 학문을 분발·격려하기 위해 국왕이 친림하는 친시와 친강을 매달 거행하였으며, 교육 결과에 따른 상벌을 명확히 하였다. 또한, 초계문신의 신분 및 경제적 보장 조처가 취해지고, 잡무도 면제되었으며, 몇 가지 특권을 주어 학문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었다. 이러한 장려책은 교육의 성과를 높이기 위한 배려 차원에서 이루어진 것이라 하겠다. 인재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정조 리더십의 특성을 규장각 초계문신제를 중심으로 세 가지로 구분하였다. 첫째, 변화선도와 자기혁신이다. 정조는 자기혁신을 통해 학문적 능력을 갖추고, 이것을 바탕으로 변화선도의 리더십을 발휘하였다고 하겠다. 정조는 학문적 능력과 도덕성을 바탕으로 중병의 환자라는 시대의 진단을 통해 인재 양성이라는 비전을 제시하였으며, 교육이라는 해결 방안을 통해 변화를 추구하였다. 둘째, 인간존중과 배려이다. 정조가 발휘한 배려의 리더십은 인간존중을 바탕으로 하여 인재양성이라는 목적 달성을 위해 학문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주고, 초계문신들을 인정하고 격려하기 위한 조치로 여겨진다. 셋째, 솔선수범과 자기희생이다. 정조는 자기희생을 바탕으로 부하들의 학문을 독려하기 위해 솔선수범하였다. 또, 인재의 양성과정에서 열정을 가지고 헌신함으로써 부하들의 모범이 되었다. 정조가 임금이자 스승, 즉 군사(君師)로서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었던 것은 무엇보다도 고도의 학문적 능력과 도덕성을 갖추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리더가 전문적 능력을 갖추고 깨끗한 도덕성을 지녀야 한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오늘날 교육조직의 리더는 학문을 통해 지속적으로 자기혁신을 이루고, 인간애를 바탕으로 한 배려를 실천하며, 개인적인 이익보다는 조직의 안녕과 번영을 우선하는 적극적인 자기희생을 바탕으로 솔선수범함으로써 조직 구성원을 교육하는 진정한 지도자가 되어야 하겠다.
This study aims at looking into the talent policies conducted by King Jeongjo, centering on Gyujanggak Chogyemunsin System, and in addition investigating Jeongjo's leadership characteristics from talent policies. King Jeongjo established Gyujkanggak, emphasizing two justifications, upward to follow ...
This study aims at looking into the talent policies conducted by King Jeongjo, centering on Gyujanggak Chogyemunsin System, and in addition investigating Jeongjo's leadership characteristics from talent policies. King Jeongjo established Gyujkanggak, emphasizing two justifications, upward to follow the teaching of precedent kings and sages sincerely and downward to cultivate talents. Furthermore, King jeongjo conducted Chogyemunsin System to come true the latter. The characteristics exposed from the course of conducting Chogyemunsin System and talent systems are as followings. First, King Jeongjo upward followed sages' teachings, one of two justifications of Gyujanggak, by modeling after Sung and matching the situations at that time. King Jeongjo downward cultivated talents, the other of two justifications of Gyujanggak, to imitate Jipyeonjeon and Dokseodang and consider on age and position when he selected chogyemunsin officers. Second, the selection of talents and the process of cultivation gave an emphasis on ability. When King Jeongjo selected chogyemunsin officers, he selected them, including opposite parties such as Noron Party, Namin Party, and Bukin Party. In addition, he appointed illegal wives' sons as Gyujanggak inspectors. It means that he gave an emphasis on the system apart from party, location, and relatives. The notices announced in the course of cultivation chogyemunsin officers says that he wanted to promote the ability in practical affairs and practical writings. Third, talents were cultivated through a detailed curriculum. Munsingangjejeolmok which King Jeongjo established and applied to a guidance in order to operate the process describes the education of chogyemunsin officers, dividing the guidance into book names, contents, and quantity. The lecture and discussion were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table which divided all subjects into 100 items and included the regulation about appraisal, too. Munsinchogyejeolmok through which talents were cultivated is a curriculum, today. Fourth, talents were cultivated through proper cultivation plans. King Jeongjo lectured and displayed a presentation every month to promote and cheer up chogyemunsin officers' studies by himself and gave prizes and inflicted penalties in accordance with results. In addition, he secured chogyemunsin officers' positional and economic status better, exempted them from trivial affairs and gave some special rights to give attention to studies. The promotion plans were given to promote educational results. King jeongjo's leadership, performed in the course of propelling talent cultivation, is divided into three items, centered on Gyujanggak Chogyemunsin System. First, leading changes and self-innovation. King Jeongjo cultivated academic ability through self-innovation and basing on the ability, displayed leadership for leading changes. He diagnosed the age to be the age of serious disease, basing on academic ability and morality, and pursued changes through a solution, education. Second, human respect and consideration. King Jeongjo displayed a leadership of consideration. It targeted at providing with the circumstances in which persons could give attention to studies to cultivate talents, basing on human respect and to recognize and cheer up chogyemunsin. Third, initiative and self-sacrifice. King Jeongjo put into practice initiative to cheer subordinates' studies, basing on self-sacrifice. In addition he became exemplary to subordinates by contributing to cultivating talents with passion. King Jeongjo could display leadership as a king and teacher, that is a royal teacher because he had academic ability and morality. It is taken for grated that leader should have professional ability and clean morality everytime and everywhere, previous time, present time, East, and West. Nowadays, a leader of a n educational organization has to innovate himself/herself through studies, put into practice consideration, basing on human love, and positive self-sacrifice to think about organization stability and prosperity, and become a true leader who educates organization members.
This study aims at looking into the talent policies conducted by King Jeongjo, centering on Gyujanggak Chogyemunsin System, and in addition investigating Jeongjo's leadership characteristics from talent policies. King Jeongjo established Gyujkanggak, emphasizing two justifications, upward to follow the teaching of precedent kings and sages sincerely and downward to cultivate talents. Furthermore, King jeongjo conducted Chogyemunsin System to come true the latter. The characteristics exposed from the course of conducting Chogyemunsin System and talent systems are as followings. First, King Jeongjo upward followed sages' teachings, one of two justifications of Gyujanggak, by modeling after Sung and matching the situations at that time. King Jeongjo downward cultivated talents, the other of two justifications of Gyujanggak, to imitate Jipyeonjeon and Dokseodang and consider on age and position when he selected chogyemunsin officers. Second, the selection of talents and the process of cultivation gave an emphasis on ability. When King Jeongjo selected chogyemunsin officers, he selected them, including opposite parties such as Noron Party, Namin Party, and Bukin Party. In addition, he appointed illegal wives' sons as Gyujanggak inspectors. It means that he gave an emphasis on the system apart from party, location, and relatives. The notices announced in the course of cultivation chogyemunsin officers says that he wanted to promote the ability in practical affairs and practical writings. Third, talents were cultivated through a detailed curriculum. Munsingangjejeolmok which King Jeongjo established and applied to a guidance in order to operate the process describes the education of chogyemunsin officers, dividing the guidance into book names, contents, and quantity. The lecture and discussion were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table which divided all subjects into 100 items and included the regulation about appraisal, too. Munsinchogyejeolmok through which talents were cultivated is a curriculum, today. Fourth, talents were cultivated through proper cultivation plans. King Jeongjo lectured and displayed a presentation every month to promote and cheer up chogyemunsin officers' studies by himself and gave prizes and inflicted penalties in accordance with results. In addition, he secured chogyemunsin officers' positional and economic status better, exempted them from trivial affairs and gave some special rights to give attention to studies. The promotion plans were given to promote educational results. King jeongjo's leadership, performed in the course of propelling talent cultivation, is divided into three items, centered on Gyujanggak Chogyemunsin System. First, leading changes and self-innovation. King Jeongjo cultivated academic ability through self-innovation and basing on the ability, displayed leadership for leading changes. He diagnosed the age to be the age of serious disease, basing on academic ability and morality, and pursued changes through a solution, education. Second, human respect and consideration. King Jeongjo displayed a leadership of consideration. It targeted at providing with the circumstances in which persons could give attention to studies to cultivate talents, basing on human respect and to recognize and cheer up chogyemunsin. Third, initiative and self-sacrifice. King Jeongjo put into practice initiative to cheer subordinates' studies, basing on self-sacrifice. In addition he became exemplary to subordinates by contributing to cultivating talents with passion. King Jeongjo could display leadership as a king and teacher, that is a royal teacher because he had academic ability and morality. It is taken for grated that leader should have professional ability and clean morality everytime and everywhere, previous time, present time, East, and West. Nowadays, a leader of a n educational organization has to innovate himself/herself through studies, put into practice consideration, basing on human love, and positive self-sacrifice to think about organization stability and prosperity, and become a true leader who educates organization member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