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 이미지를 의미 있는 시각 언어로 보고 학습자들이 시각 이미지를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는 시각적 문해력을 그림동화 읽기를 통해 지도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글과 그림의 독특한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림동화란 텍스트를 제대로 읽기 위해서는 글 뿐만 아니라 그림도 함께 읽어야 하는데, 그림동화의 그림읽기 교수·학습을 통해 시각적 문해력을 지도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시각적 문해력은 시각 이미지를 이해하고 사용하는 능력으로, 이미지나 영상을 뜻하는 시각(visual)과 읽고 쓰는 능력을 의미하는 문해력(literacy)이 결합된 용어이다. 시각적 표현이 넘쳐나는 현대 사회에서는 문자를 읽고 이해하는 것뿐만 아니라 시각적 이미지를 읽고 해석하는 것도 중요한 지적 능력으로 간주되고 있다. 시각적 이미지도 문자 언어처럼 일정한 해석 체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교육을 통해 지도되어야 하는데, 그림동화는 글과 그림이 어우러져 하나의 서사 구조를 만들어내는 짧은 이야기책으로 시각적 문해력 형성을 위한 교육제재로서 교육적 가치를 내포하고 있다. 그림동화에서 그림은 단순히 글의 보조 장치가 아니라 독자적인 풍부함과 구체성을 지니고 있으며 예술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그림동화의 그림읽기는 예술적인 심미안을 길러준다. 또한 그림 속에 숨겨진 작가의 의미를 찾는 활동을 하면서 독자는 그림 안의 시각적 이미지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일에 익숙해지게 되고 그러한 경험은 자연스럽게 시각적 문해력을 형성시켜 일상생활에서 시각적 이미지를 이해하는 것에 도움을 준다. 이러한 그림읽기를 위해서는 그림읽기의 요소에 따라 그림언어의 문법을 체계화하는 일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그림읽기의 유형을 ‘그림 속 이야기에 주목하여 그림읽기, 그림의 의사소통 기법에 주목하여 그림읽기, 회화적 기법에 주목하여 그림읽기’의 세 가지로 분류하고 각각의 유형에 따라 어떤 특성에 주목하여 그림을 읽어야 하는지를 고찰해 보았다. 교사와 학생이 그림읽기를 하기 전에 그림읽기의 요소와 방법을 숙지하고 있다면 깊이 있는 그림읽기가 가능하고 그림 안에 숨은 작가의 메시지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교육을 통해 그림읽기 요소에 따른 그림읽기를 체계적으로 지도해야 한다. 시각적 문해력 형성을 위한 그림동화 읽기 교수·학습 구안을 위한 이론적 기반은 내용과 방법 측면으로 나누어 고찰해 보았다. 내용적 측면의 이론적 기저로는 문학 작품을 읽는 것이 문학 작품을 통한 작가와 독자의 만남이며 대화라는 전제 하에, 문학 텍스트를 매개로 한 작가와 독자의 소통을 강조한 ‘소통 중심 문학교육’과 학습자의 문학경험을 중요시하고 학생들이 문학 텍스트와의 교류를 통해 형성한 생각, 느낌, 감정 등의 반응을 존중하는 ‘반응 중심 문학교육’, 문학 텍스트의 이해와 감상 혹은 의미 구성은 학습자의 주체적인 행위와 다른 사람과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 이미지를 의미 있는 시각 언어로 보고 학습자들이 시각 이미지를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는 시각적 문해력을 그림동화 읽기를 통해 지도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글과 그림의 독특한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림동화란 텍스트를 제대로 읽기 위해서는 글 뿐만 아니라 그림도 함께 읽어야 하는데, 그림동화의 그림읽기 교수·학습을 통해 시각적 문해력을 지도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시각적 문해력은 시각 이미지를 이해하고 사용하는 능력으로, 이미지나 영상을 뜻하는 시각(visual)과 읽고 쓰는 능력을 의미하는 문해력(literacy)이 결합된 용어이다. 시각적 표현이 넘쳐나는 현대 사회에서는 문자를 읽고 이해하는 것뿐만 아니라 시각적 이미지를 읽고 해석하는 것도 중요한 지적 능력으로 간주되고 있다. 시각적 이미지도 문자 언어처럼 일정한 해석 체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교육을 통해 지도되어야 하는데, 그림동화는 글과 그림이 어우러져 하나의 서사 구조를 만들어내는 짧은 이야기책으로 시각적 문해력 형성을 위한 교육제재로서 교육적 가치를 내포하고 있다. 그림동화에서 그림은 단순히 글의 보조 장치가 아니라 독자적인 풍부함과 구체성을 지니고 있으며 예술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그림동화의 그림읽기는 예술적인 심미안을 길러준다. 또한 그림 속에 숨겨진 작가의 의미를 찾는 활동을 하면서 독자는 그림 안의 시각적 이미지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일에 익숙해지게 되고 그러한 경험은 자연스럽게 시각적 문해력을 형성시켜 일상생활에서 시각적 이미지를 이해하는 것에 도움을 준다. 이러한 그림읽기를 위해서는 그림읽기의 요소에 따라 그림언어의 문법을 체계화하는 일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그림읽기의 유형을 ‘그림 속 이야기에 주목하여 그림읽기, 그림의 의사소통 기법에 주목하여 그림읽기, 회화적 기법에 주목하여 그림읽기’의 세 가지로 분류하고 각각의 유형에 따라 어떤 특성에 주목하여 그림을 읽어야 하는지를 고찰해 보았다. 교사와 학생이 그림읽기를 하기 전에 그림읽기의 요소와 방법을 숙지하고 있다면 깊이 있는 그림읽기가 가능하고 그림 안에 숨은 작가의 메시지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교육을 통해 그림읽기 요소에 따른 그림읽기를 체계적으로 지도해야 한다. 시각적 문해력 형성을 위한 그림동화 읽기 교수·학습 구안을 위한 이론적 기반은 내용과 방법 측면으로 나누어 고찰해 보았다. 내용적 측면의 이론적 기저로는 문학 작품을 읽는 것이 문학 작품을 통한 작가와 독자의 만남이며 대화라는 전제 하에, 문학 텍스트를 매개로 한 작가와 독자의 소통을 강조한 ‘소통 중심 문학교육’과 학습자의 문학경험을 중요시하고 학생들이 문학 텍스트와의 교류를 통해 형성한 생각, 느낌, 감정 등의 반응을 존중하는 ‘반응 중심 문학교육’, 문학 텍스트의 이해와 감상 혹은 의미 구성은 학습자의 주체적인 행위와 다른 사람과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밀접한 상관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보는 ‘구성주의’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방법적 측면에서는 교수·학습 상황에서 학생들이 처음 그림동화를 접할 때 교사의 ‘읽어주기’를 통해 스토리를 파악하면서 그림을 ‘직관적’으로 읽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림읽기를 통해 글에서 제시하지 않는 그림의 숨은 의미를 찾는 활동은 ‘공동의 대화’를 함으로써, 학습자들의 개별적인 반응도 존중해 주면서 잘못된 해석과 그릇된 반응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하였다. 내용과 방법 측면의 이론적 기반을 바탕으로 시각적 문해력 형성을 위한 그림동화 읽기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였다. 시각적 문해력 형성을 위한 그림동화 읽기 교수·학습 과정은 “이야기의 공유를 위한 준비 - 직관적 그림 읽기 - 해석적 그림 읽기 - 반응의 확장 심화 - 내면화하기”의 다섯 단계이다. ‘이야기의 공유를 위한 준비’ 에서는 이야기를 읽어 주기 전 책 표지와 제목을 보고 이야기의 내용을 예측하기와 작가에 대해 알아보는 활동을 한다. ‘직관적 그림 읽기’는 교사가 읽어주는 이야기를 들으면서 직관적으로 그림을 보는 것으로 그림에 대한 해석은 하지 않고 그림 안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움직임, 행동, 등장인물의 묘사, 배경, 분위기 등을 보고 느끼는 단계이다. ‘해석적 그림 읽기’는 그림을 자세히 살펴보고 교사와 동료 학습자들과의 공동의 대화를 통해 그림의 의미를 해석하는 단계이다. 학습자의 자유로운 반응을 중요시하며 그림 속의 숨은 이야기를 찾아보고 해석하는 활동을 통해 그림동화를 읽는 즐거움을 배가시키고 시각적 문해력을 기르는 데 목적이 있다. ‘반응의 확장 심화 단계’에서는 작가의 의도가 가장 잘 드러났다고 생각하는 장면을 스스로 선택하고 그 이유에 대해 생각해 보는 활동과 엔딩 장면의 글과 그림을 스스로 구성해 보는 활동을 제안하였다. ‘내면화하기 단계’에서는 활동 내용을 정리하고, 같은 작가의 다른 작품과 비교해 보거나 비슷한 회화적 표현을 사용한 다른 작가의 작품과 비교해 봄으로써 학생들이 향후에 그림동화를 읽을 때 도움을 주도록 하였다. 실제 교수·학습 상황에서는 주어진 시간과 환경을 고려하여 교사가 재량껏 적절한 활동을 선택하고 불필요한 활동은 뺄 수 있다. 구안한 시각적 문해력 형성을 위한 그림동화 읽기 교수·학습 모형을 실제로 적용해 본 결과, 시각적 문해력 형성을 위한 그림동화 읽기 교수·학습을 통하여 교사와 학생 모두 그림이라는 시각적 매체를 바라보고 이해하는 시각적 문해력을 자연스럽게 기를 수 있었다. 또한 그림동화를 읽을 때 글 뿐만 아니라 그림을 자세히 살펴보고 그 안에 숨은 작가의 의도를 이해하는 과정을 통해 교사와 학생들이 그림동화의 가치와 재미에 대해 새롭게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학생들이 그림 안에 숨은 작가의 의도를 생각해 보고, 그 의도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떠올리도록 하는 활동은 학생 자신이 독서의 주체임을 인식하게 하여 독서활동의 자신감을 길러 주었다. 한 번의 수업이었지만 시각적 문해력 형성을 위한 그림동화 읽기 교수·학습은 실제 현장에서 적용했을 때 의미가 있었다. 이미지를 중심으로 한 의사소통이 증가하는 현대사회에서 시각 이미지는 언어 텍스트와 함께 복합적으로 제시되기 때문에 언어적 문해력과 시각적 문해력, 이 두 가지는 현대인에게 동등하게 요구되는 능력이다. 이에 교육현장에서 특히 국어교육에서는 그림동화를 교육제재로 활용하여 학습자가 언어 텍스트와 함께 시각 이미지를 올바르게 해석하고 판단할 수 있는 교육을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시각적 문해력 형성을 위한 그림동화 읽기 교수·학습 모형의 구안과 적용사례를 통해 실제 교육 현장에서 실천 가능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노력하였다. 이 논문은 초등학교 교사들과 학생들에게 그림동화의 그림읽기를 통해 효율적으로 시각적 문해력을 형성하고 체험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 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 이미지를 의미 있는 시각 언어로 보고 학습자들이 시각 이미지를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는 시각적 문해력을 그림동화 읽기를 통해 지도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글과 그림의 독특한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림동화란 텍스트를 제대로 읽기 위해서는 글 뿐만 아니라 그림도 함께 읽어야 하는데, 그림동화의 그림읽기 교수·학습을 통해 시각적 문해력을 지도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시각적 문해력은 시각 이미지를 이해하고 사용하는 능력으로, 이미지나 영상을 뜻하는 시각(visual)과 읽고 쓰는 능력을 의미하는 문해력(literacy)이 결합된 용어이다. 시각적 표현이 넘쳐나는 현대 사회에서는 문자를 읽고 이해하는 것뿐만 아니라 시각적 이미지를 읽고 해석하는 것도 중요한 지적 능력으로 간주되고 있다. 시각적 이미지도 문자 언어처럼 일정한 해석 체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교육을 통해 지도되어야 하는데, 그림동화는 글과 그림이 어우러져 하나의 서사 구조를 만들어내는 짧은 이야기책으로 시각적 문해력 형성을 위한 교육제재로서 교육적 가치를 내포하고 있다. 그림동화에서 그림은 단순히 글의 보조 장치가 아니라 독자적인 풍부함과 구체성을 지니고 있으며 예술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그림동화의 그림읽기는 예술적인 심미안을 길러준다. 또한 그림 속에 숨겨진 작가의 의미를 찾는 활동을 하면서 독자는 그림 안의 시각적 이미지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일에 익숙해지게 되고 그러한 경험은 자연스럽게 시각적 문해력을 형성시켜 일상생활에서 시각적 이미지를 이해하는 것에 도움을 준다. 이러한 그림읽기를 위해서는 그림읽기의 요소에 따라 그림언어의 문법을 체계화하는 일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그림읽기의 유형을 ‘그림 속 이야기에 주목하여 그림읽기, 그림의 의사소통 기법에 주목하여 그림읽기, 회화적 기법에 주목하여 그림읽기’의 세 가지로 분류하고 각각의 유형에 따라 어떤 특성에 주목하여 그림을 읽어야 하는지를 고찰해 보았다. 교사와 학생이 그림읽기를 하기 전에 그림읽기의 요소와 방법을 숙지하고 있다면 깊이 있는 그림읽기가 가능하고 그림 안에 숨은 작가의 메시지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교육을 통해 그림읽기 요소에 따른 그림읽기를 체계적으로 지도해야 한다. 시각적 문해력 형성을 위한 그림동화 읽기 교수·학습 구안을 위한 이론적 기반은 내용과 방법 측면으로 나누어 고찰해 보았다. 내용적 측면의 이론적 기저로는 문학 작품을 읽는 것이 문학 작품을 통한 작가와 독자의 만남이며 대화라는 전제 하에, 문학 텍스트를 매개로 한 작가와 독자의 소통을 강조한 ‘소통 중심 문학교육’과 학습자의 문학경험을 중요시하고 학생들이 문학 텍스트와의 교류를 통해 형성한 생각, 느낌, 감정 등의 반응을 존중하는 ‘반응 중심 문학교육’, 문학 텍스트의 이해와 감상 혹은 의미 구성은 학습자의 주체적인 행위와 다른 사람과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밀접한 상관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보는 ‘구성주의’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방법적 측면에서는 교수·학습 상황에서 학생들이 처음 그림동화를 접할 때 교사의 ‘읽어주기’를 통해 스토리를 파악하면서 그림을 ‘직관적’으로 읽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림읽기를 통해 글에서 제시하지 않는 그림의 숨은 의미를 찾는 활동은 ‘공동의 대화’를 함으로써, 학습자들의 개별적인 반응도 존중해 주면서 잘못된 해석과 그릇된 반응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하였다. 내용과 방법 측면의 이론적 기반을 바탕으로 시각적 문해력 형성을 위한 그림동화 읽기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였다. 시각적 문해력 형성을 위한 그림동화 읽기 교수·학습 과정은 “이야기의 공유를 위한 준비 - 직관적 그림 읽기 - 해석적 그림 읽기 - 반응의 확장 심화 - 내면화하기”의 다섯 단계이다. ‘이야기의 공유를 위한 준비’ 에서는 이야기를 읽어 주기 전 책 표지와 제목을 보고 이야기의 내용을 예측하기와 작가에 대해 알아보는 활동을 한다. ‘직관적 그림 읽기’는 교사가 읽어주는 이야기를 들으면서 직관적으로 그림을 보는 것으로 그림에 대한 해석은 하지 않고 그림 안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움직임, 행동, 등장인물의 묘사, 배경, 분위기 등을 보고 느끼는 단계이다. ‘해석적 그림 읽기’는 그림을 자세히 살펴보고 교사와 동료 학습자들과의 공동의 대화를 통해 그림의 의미를 해석하는 단계이다. 학습자의 자유로운 반응을 중요시하며 그림 속의 숨은 이야기를 찾아보고 해석하는 활동을 통해 그림동화를 읽는 즐거움을 배가시키고 시각적 문해력을 기르는 데 목적이 있다. ‘반응의 확장 심화 단계’에서는 작가의 의도가 가장 잘 드러났다고 생각하는 장면을 스스로 선택하고 그 이유에 대해 생각해 보는 활동과 엔딩 장면의 글과 그림을 스스로 구성해 보는 활동을 제안하였다. ‘내면화하기 단계’에서는 활동 내용을 정리하고, 같은 작가의 다른 작품과 비교해 보거나 비슷한 회화적 표현을 사용한 다른 작가의 작품과 비교해 봄으로써 학생들이 향후에 그림동화를 읽을 때 도움을 주도록 하였다. 실제 교수·학습 상황에서는 주어진 시간과 환경을 고려하여 교사가 재량껏 적절한 활동을 선택하고 불필요한 활동은 뺄 수 있다. 구안한 시각적 문해력 형성을 위한 그림동화 읽기 교수·학습 모형을 실제로 적용해 본 결과, 시각적 문해력 형성을 위한 그림동화 읽기 교수·학습을 통하여 교사와 학생 모두 그림이라는 시각적 매체를 바라보고 이해하는 시각적 문해력을 자연스럽게 기를 수 있었다. 또한 그림동화를 읽을 때 글 뿐만 아니라 그림을 자세히 살펴보고 그 안에 숨은 작가의 의도를 이해하는 과정을 통해 교사와 학생들이 그림동화의 가치와 재미에 대해 새롭게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학생들이 그림 안에 숨은 작가의 의도를 생각해 보고, 그 의도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떠올리도록 하는 활동은 학생 자신이 독서의 주체임을 인식하게 하여 독서활동의 자신감을 길러 주었다. 한 번의 수업이었지만 시각적 문해력 형성을 위한 그림동화 읽기 교수·학습은 실제 현장에서 적용했을 때 의미가 있었다. 이미지를 중심으로 한 의사소통이 증가하는 현대사회에서 시각 이미지는 언어 텍스트와 함께 복합적으로 제시되기 때문에 언어적 문해력과 시각적 문해력, 이 두 가지는 현대인에게 동등하게 요구되는 능력이다. 이에 교육현장에서 특히 국어교육에서는 그림동화를 교육제재로 활용하여 학습자가 언어 텍스트와 함께 시각 이미지를 올바르게 해석하고 판단할 수 있는 교육을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시각적 문해력 형성을 위한 그림동화 읽기 교수·학습 모형의 구안과 적용사례를 통해 실제 교육 현장에서 실천 가능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노력하였다. 이 논문은 초등학교 교사들과 학생들에게 그림동화의 그림읽기를 통해 효율적으로 시각적 문해력을 형성하고 체험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 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the visual image as meaningful visual language and look for a way to educate the visual literacy skill which is learners’skill to understand and analysis visual images, through reading picture fairy tale.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context, picture fairy t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the visual image as meaningful visual language and look for a way to educate the visual literacy skill which is learners’skill to understand and analysis visual images, through reading picture fairy tale.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context, picture fairy tale which uniquely composed of both text as well as picture, both items should be read together. That is why it is viewed that through instruction and education on picture fairy tale’s picture reading, visual literacy can be taught. Visual literacy skill means the capability to understand and to utilize the visual image and this word is comprised of combined word 'visual' and 'literacy' each meaning for ‘the image and reflection’ and ‘the capability to read and write’. On contemporary society where the visual expressions are overflowing, not only reading the text and to understand them but also to understand and to interpret the visual image is considered as very important intellectual capability. Since image also has regular interpretational system just like text language, it should be instructed through education. However picture fairy tale is short story book with narrative structure of both text and picture that form the visual literacy to use as educational textbook, it contains the educational value. In picture fairy tale, pictures are not just assisting the meaning of the text but also it contains own affluent and concrete meaning and also contains artistry, so reading the picture on the picture fairy tale raise the artistry aesthetic sense. Also by doing the activity to find hidden meaning of the author in the picture, readers can get used to analyze and interpret the visual image in the picture and those experiences can naturally form the visual literacy skill and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the visual image in daily life. To do these picture readings, grammar of picture language’s systemization according to picture reading’element should be needed. In this study, the picture reading elements a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focusing on stories inside the picture’, ‘focusing on picture’ communication style’ ‘focusing on graphic style’and considered according to each element which attribute should be focused. Before teacher and student begins the picture-reading, if they are familiar with the element and method of picture reading, they are able to conduct depth picture reading and can easily grasp the author’s hidden message in the picture. Therefore through education, picture reading according to picture reading’s elements should be systematically instructed.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method to instruct and learn to create the visual literacy skill through reading picture fairy tale is considered in two sides: contents and method. On content side, looked at ‘constitutional principle; where it viewed as ‘response importance literature education’ and literature understanding and impression has mutual effect and relationship and it puts importance on response of readers who read ‘communication importance, literature education’ and literature text which emphasize on communication on author and puts literature text as intermediation Also on methodical side, during instruction/education situation when the students first encounter with picture fairy tale, through teacher’s “narrating¡¡” activity, grasp the story while read the picture intuitionally. Through picture reading, the activity to look for hidden meaning in the picture which are not presented on the text and make ‘mutual communication’ can respect each learner’s individual response and can filter failed interpretation and wrong response. Having the basis of contents and method side, picture fairy tale reading instruction/learning model to create visual literacy skill formation has been made. Picture fairy tale reading instruction/education to create visual literacy skill is comprised of five phase as follow: 'ready to share the story - intuitive picture reading -explanative picture reading - deepening of response’ enlargement - internalization'. On 'ready to share the story' phase, begin the activity to show the book cover and title and predict the contents and about author before reading the story. On 'intuitive picture reading' - listen to the story read by teacher and see and feel the incident in the picture and the movement, action, character’s description, background, ambience etc intuitionally before analyzing the picture. On 'Explanative picture reading' is the phase to examine the picture and through instructor and all students’ communication, interpret the meaning of the picture. During this phase, need to put importance on students’ free response and it is an activity to enlarge the pleasure of reading picture fairy tale and raise the visual literacy skill through activities of looking for the hidden story in the picture and interpreting them. On ‘Deepening of response enlargement' phase, each student selects the scene which best show the intention of the author and think for the reason why it has been selected this way and organize text and the picture of the ending scene. On ‘internalization’ phase, by summarizing the activity contents and by comparing the same author’s different fairy tale can give students’ aid for reading the picture fairy tale in the future. In reality on instructor/education situation, instructor can omit the certain activities and select right activities on his/her discretion depending on given time and environment. As the result of applying the instruction/education of reading the picture fairy tale for forming the visual literacy skill, both teachers and the students, spontaneously, increase their visual literacy as they look at and the visual media and understand them. Furthermore, it became a chance for the teachers and students to newly appreciate a value and interest in the picture fairy tale while not only reading the texts but also looking over the pictures and understanding the intention of the writer. The activity of the students considering the intention of the writer, which is hidden in the picture, and coming up with their own idea from the intention brought up their confidence in reading as the students recognize themselves as the subjects of the reading. Although it was the only class we experienced, the instruction/education of the picture fairy tale for the formation of visual literacy was meaningful when it is applied in the actual field. Both Linguistic Literacy skill and Visual Literacy skill are the abilities required to people today because the society today shows the people visual images and also linguistic texts at the same time while the communication focused on various images is increasing. Therefore, the learners can interpret and judge the meaning of the visual image along the texts using the picture fairy tale as a training material within the field of education, especially i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lans which can be applied within actual filed of education showing the methods and examples of the instruction/learning of reading the picture fairy tale for forming the visual literacy. This dissertation will suggest to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students the method to form visual literacy skill and experience the method through reading the picture of picture fairy ta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the visual image as meaningful visual language and look for a way to educate the visual literacy skill which is learners’skill to understand and analysis visual images, through reading picture fairy tale.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context, picture fairy tale which uniquely composed of both text as well as picture, both items should be read together. That is why it is viewed that through instruction and education on picture fairy tale’s picture reading, visual literacy can be taught. Visual literacy skill means the capability to understand and to utilize the visual image and this word is comprised of combined word 'visual' and 'literacy' each meaning for ‘the image and reflection’ and ‘the capability to read and write’. On contemporary society where the visual expressions are overflowing, not only reading the text and to understand them but also to understand and to interpret the visual image is considered as very important intellectual capability. Since image also has regular interpretational system just like text language, it should be instructed through education. However picture fairy tale is short story book with narrative structure of both text and picture that form the visual literacy to use as educational textbook, it contains the educational value. In picture fairy tale, pictures are not just assisting the meaning of the text but also it contains own affluent and concrete meaning and also contains artistry, so reading the picture on the picture fairy tale raise the artistry aesthetic sense. Also by doing the activity to find hidden meaning of the author in the picture, readers can get used to analyze and interpret the visual image in the picture and those experiences can naturally form the visual literacy skill and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the visual image in daily life. To do these picture readings, grammar of picture language’s systemization according to picture reading’element should be needed. In this study, the picture reading elements a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focusing on stories inside the picture’, ‘focusing on picture’ communication style’ ‘focusing on graphic style’and considered according to each element which attribute should be focused. Before teacher and student begins the picture-reading, if they are familiar with the element and method of picture reading, they are able to conduct depth picture reading and can easily grasp the author’s hidden message in the picture. Therefore through education, picture reading according to picture reading’s elements should be systematically instructed.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method to instruct and learn to create the visual literacy skill through reading picture fairy tale is considered in two sides: contents and method. On content side, looked at ‘constitutional principle; where it viewed as ‘response importance literature education’ and literature understanding and impression has mutual effect and relationship and it puts importance on response of readers who read ‘communication importance, literature education’ and literature text which emphasize on communication on author and puts literature text as intermediation Also on methodical side, during instruction/education situation when the students first encounter with picture fairy tale, through teacher’s “narrating¡¡” activity, grasp the story while read the picture intuitionally. Through picture reading, the activity to look for hidden meaning in the picture which are not presented on the text and make ‘mutual communication’ can respect each learner’s individual response and can filter failed interpretation and wrong response. Having the basis of contents and method side, picture fairy tale reading instruction/learning model to create visual literacy skill formation has been made. Picture fairy tale reading instruction/education to create visual literacy skill is comprised of five phase as follow: 'ready to share the story - intuitive picture reading -explanative picture reading - deepening of response’ enlargement - internalization'. On 'ready to share the story' phase, begin the activity to show the book cover and title and predict the contents and about author before reading the story. On 'intuitive picture reading' - listen to the story read by teacher and see and feel the incident in the picture and the movement, action, character’s description, background, ambience etc intuitionally before analyzing the picture. On 'Explanative picture reading' is the phase to examine the picture and through instructor and all students’ communication, interpret the meaning of the picture. During this phase, need to put importance on students’ free response and it is an activity to enlarge the pleasure of reading picture fairy tale and raise the visual literacy skill through activities of looking for the hidden story in the picture and interpreting them. On ‘Deepening of response enlargement' phase, each student selects the scene which best show the intention of the author and think for the reason why it has been selected this way and organize text and the picture of the ending scene. On ‘internalization’ phase, by summarizing the activity contents and by comparing the same author’s different fairy tale can give students’ aid for reading the picture fairy tale in the future. In reality on instructor/education situation, instructor can omit the certain activities and select right activities on his/her discretion depending on given time and environment. As the result of applying the instruction/education of reading the picture fairy tale for forming the visual literacy skill, both teachers and the students, spontaneously, increase their visual literacy as they look at and the visual media and understand them. Furthermore, it became a chance for the teachers and students to newly appreciate a value and interest in the picture fairy tale while not only reading the texts but also looking over the pictures and understanding the intention of the writer. The activity of the students considering the intention of the writer, which is hidden in the picture, and coming up with their own idea from the intention brought up their confidence in reading as the students recognize themselves as the subjects of the reading. Although it was the only class we experienced, the instruction/education of the picture fairy tale for the formation of visual literacy was meaningful when it is applied in the actual field. Both Linguistic Literacy skill and Visual Literacy skill are the abilities required to people today because the society today shows the people visual images and also linguistic texts at the same time while the communication focused on various images is increasing. Therefore, the learners can interpret and judge the meaning of the visual image along the texts using the picture fairy tale as a training material within the field of education, especially i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lans which can be applied within actual filed of education showing the methods and examples of the instruction/learning of reading the picture fairy tale for forming the visual literacy. This dissertation will suggest to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students the method to form visual literacy skill and experience the method through reading the picture of picture fairy tal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