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전자재조합 식품에 관한 인식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울산지역에 거주는 194명으로부터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는 총 194명중 남학생이 92명으로 47.4%, 여학생이 102명으로 52.6%, 중학교 재학생 77명 39.7%, 고등학교 재학생 117명 60.3%이었다. 2. 유전자재조합식품에 대한 정보원으로는 ‘신문, TV, 인터넷’이 96명(49.5%), ‘학교수업, 교과서에서’가 71명(36.6%) 순으로 나타났으나 담당 정부기관인 농림부나 ...
본 연구는 유전자재조합 식품에 관한 인식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울산지역에 거주는 194명으로부터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는 총 194명중 남학생이 92명으로 47.4%, 여학생이 102명으로 52.6%, 중학교 재학생 77명 39.7%, 고등학교 재학생 117명 60.3%이었다. 2. 유전자재조합식품에 대한 정보원으로는 ‘신문, TV, 인터넷’이 96명(49.5%), ‘학교수업, 교과서에서’가 71명(36.6%) 순으로 나타났으나 담당 정부기관인 농림부나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정보는 상당히 신뢰하지 않는 것(2.6%)으로 답변함으로써 관련부처의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전자재조합식품을 알고 있거나 들어본 적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들 중 알고 있는 유전자재조합식품의 종류에 대한 결과를 보면 토마토가 57명(29.4%), 콩 55명(28.4%), 옥수수 51명(26.3%)로 토마토를 가장 많이 알고 있었으며, 감자는 16명(8.2%)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3. 유전자재조합식품 표시와 정보제공의 필요성에서는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점수가 높게 나와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높았다. 하지만 ‘유전자재조합식품 표시제도’ 인지도에 있어서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이 표시제도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전자재조합식품의 구입의사에서도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4. 유전자재조합식품의 인식도에 따른 유전자재조합식품 표시제도 인식과 필요성 그리고 정보에 대한 인지에 대한 결과에서는 모두 유전자재조합식품을 ‘잘 알고 있다’고 한 응답자들의 인식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유전자재조합식품에 대한 유용성 인식에서는 ‘잘 알고 있다’고 한 응답자들이, 유해성 인식에서는 ‘들은 적은 있으나 조금 알고 있다’의 응답자들이 높게 나와 ‘잘 알고 있다’고 한 응답자들에 비해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유전자재조합식품의 구입의사에 관한 결과에서는 ‘잘 알고 있다‘고 한 응답자들은 병충해로부터의 보호, 저농약 사용을 위한 유전자재조합식품의 구입의사 그리고 맛과 영양가가 있는 유전자재조합식품의 구입의사는 높게 나온 반면 유전자재조합식품에 대한 태도에서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던 ‘들은 적은 있으나 조금 알고 있다‘고 한 응답자들은 ’비용이 저렴한 유전자재조합식품‘외에는 구입의사가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유전자재조합 식품에 대한 지식이 있는 청소년들이 유전자재조합식품에 대한 태도가 더 긍정적이며, 구매의사의 비율도 더 높음을 알 수 있다. 즉, 미래 소비자인 청소년들에게 알고 선택할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유전자재조합 식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시사된다. 그러므로 대중매체를 통해 유전자재조합 식품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고, 학교에서도 이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며, 정부에서는 홍보책자 등을 개발하여 배포함으로써 미래 소비자인 청소년들이 유전자재조합 식품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유전자재조합 식품에 관한 인식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울산지역에 거주는 194명으로부터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는 총 194명중 남학생이 92명으로 47.4%, 여학생이 102명으로 52.6%, 중학교 재학생 77명 39.7%, 고등학교 재학생 117명 60.3%이었다. 2. 유전자재조합식품에 대한 정보원으로는 ‘신문, TV, 인터넷’이 96명(49.5%), ‘학교수업, 교과서에서’가 71명(36.6%) 순으로 나타났으나 담당 정부기관인 농림부나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정보는 상당히 신뢰하지 않는 것(2.6%)으로 답변함으로써 관련부처의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전자재조합식품을 알고 있거나 들어본 적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들 중 알고 있는 유전자재조합식품의 종류에 대한 결과를 보면 토마토가 57명(29.4%), 콩 55명(28.4%), 옥수수 51명(26.3%)로 토마토를 가장 많이 알고 있었으며, 감자는 16명(8.2%)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3. 유전자재조합식품 표시와 정보제공의 필요성에서는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점수가 높게 나와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높았다. 하지만 ‘유전자재조합식품 표시제도’ 인지도에 있어서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이 표시제도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전자재조합식품의 구입의사에서도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4. 유전자재조합식품의 인식도에 따른 유전자재조합식품 표시제도 인식과 필요성 그리고 정보에 대한 인지에 대한 결과에서는 모두 유전자재조합식품을 ‘잘 알고 있다’고 한 응답자들의 인식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유전자재조합식품에 대한 유용성 인식에서는 ‘잘 알고 있다’고 한 응답자들이, 유해성 인식에서는 ‘들은 적은 있으나 조금 알고 있다’의 응답자들이 높게 나와 ‘잘 알고 있다’고 한 응답자들에 비해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유전자재조합식품의 구입의사에 관한 결과에서는 ‘잘 알고 있다‘고 한 응답자들은 병충해로부터의 보호, 저농약 사용을 위한 유전자재조합식품의 구입의사 그리고 맛과 영양가가 있는 유전자재조합식품의 구입의사는 높게 나온 반면 유전자재조합식품에 대한 태도에서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던 ‘들은 적은 있으나 조금 알고 있다‘고 한 응답자들은 ’비용이 저렴한 유전자재조합식품‘외에는 구입의사가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유전자재조합 식품에 대한 지식이 있는 청소년들이 유전자재조합식품에 대한 태도가 더 긍정적이며, 구매의사의 비율도 더 높음을 알 수 있다. 즉, 미래 소비자인 청소년들에게 알고 선택할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유전자재조합 식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시사된다. 그러므로 대중매체를 통해 유전자재조합 식품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고, 학교에서도 이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며, 정부에서는 홍보책자 등을 개발하여 배포함으로써 미래 소비자인 청소년들이 유전자재조합 식품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recognition need for GMO(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94 Middle,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ulsan by means of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equencies and t-test, ANOVA were conducted by SPSS Windows.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This study focused on the recognition need for GMO(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94 Middle,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ulsan by means of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equencies and t-test, ANOVA were conducted by SPSS Windows.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s follows: 1. As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vey subjects, gender distinction was that boy student was 47.4% and girl student 52.6%, and the middle school student 77 people 39.7%, and the high school student 117 people 60.3% among 194 totals. 2. As the information source about the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a newspaper, TV, and an internet' showed 96 people (49.5%), and 'in the school class, and a textbook' were 71 people (36.6%). But there was considerable mistrust regarding related governmental authorities, the Ministry of Agriculture or KFDA (2.6%) which requires more effort from the related authorities. Out of the subjects that have answered that they know of genetically modified food or have heard of it mentioned the kinds of GMOs they are aware of and the results are 57 people for tomato (29.4 %), 55 people for beans (28.4%), 51 people for corns (26.3%) which shows that tomato is most widely known whereas potato, with 16 people (8.2%) had the least percentage. 3. Both boys and girls showed a high score on the necessity to provide labels and information for genetically modified food. However when it came to 'labelling genetically modified food products' the boys had higher conscious than girls and the high school students had higher conscious than the middle school students regarding the topic. This result was the same for purchase attitude regarding genetically modified food product. 4. For the result of consciousness, necessity and information of labelling GMOs according to the awareness on GMOs all three criteria showed the highest awareness from the subjects that have answered that they are 'well aware' of GMOs. However those that have answered that they are well aware answered more favorably towards the good traits of GMOs than those that have answered 'I have heard of it but know little about it' where as the result was the opposite for the question on their awareness of GMO's negative characteristics. Results of purchase attitude on GMOs showed that those that have answered that they are 'well aware' showed high percentage of purchase attitude towards GMOs for protection from the blight and harmful insects, low pesticide usage and taste and nutrition whereas those that have answered 'I have heard of it but know little about it' showed low purchase attitude towards 'inexpensive GMO' products. Such results show that the adolescents with knowledge on genetically modified food have a more favorable attitude towards GMOs and have higher percentage of purchase of the product. In other words this implies the necessity of providing the future consumers, the adolescents with information on genetically modified food. Thus sufficient knowledge on GMOs through public media and education on such field in school along with governmental advertisement brochures should be implemented to help the future consumers, adolescents to understand the genetically modified food.
This study focused on the recognition need for GMO(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94 Middle,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ulsan by means of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equencies and t-test, ANOVA were conducted by SPSS Windows.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s follows: 1. As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vey subjects, gender distinction was that boy student was 47.4% and girl student 52.6%, and the middle school student 77 people 39.7%, and the high school student 117 people 60.3% among 194 totals. 2. As the information source about the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a newspaper, TV, and an internet' showed 96 people (49.5%), and 'in the school class, and a textbook' were 71 people (36.6%). But there was considerable mistrust regarding related governmental authorities, the Ministry of Agriculture or KFDA (2.6%) which requires more effort from the related authorities. Out of the subjects that have answered that they know of genetically modified food or have heard of it mentioned the kinds of GMOs they are aware of and the results are 57 people for tomato (29.4 %), 55 people for beans (28.4%), 51 people for corns (26.3%) which shows that tomato is most widely known whereas potato, with 16 people (8.2%) had the least percentage. 3. Both boys and girls showed a high score on the necessity to provide labels and information for genetically modified food. However when it came to 'labelling genetically modified food products' the boys had higher conscious than girls and the high school students had higher conscious than the middle school students regarding the topic. This result was the same for purchase attitude regarding genetically modified food product. 4. For the result of consciousness, necessity and information of labelling GMOs according to the awareness on GMOs all three criteria showed the highest awareness from the subjects that have answered that they are 'well aware' of GMOs. However those that have answered that they are well aware answered more favorably towards the good traits of GMOs than those that have answered 'I have heard of it but know little about it' where as the result was the opposite for the question on their awareness of GMO's negative characteristics. Results of purchase attitude on GMOs showed that those that have answered that they are 'well aware' showed high percentage of purchase attitude towards GMOs for protection from the blight and harmful insects, low pesticide usage and taste and nutrition whereas those that have answered 'I have heard of it but know little about it' showed low purchase attitude towards 'inexpensive GMO' products. Such results show that the adolescents with knowledge on genetically modified food have a more favorable attitude towards GMOs and have higher percentage of purchase of the product. In other words this implies the necessity of providing the future consumers, the adolescents with information on genetically modified food. Thus sufficient knowledge on GMOs through public media and education on such field in school along with governmental advertisement brochures should be implemented to help the future consumers, adolescents to understand the genetically modified foo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