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본 연구는 창의적 사고 과정 시 지식이 대뇌피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육을 실시함에 있어서 적정량의 지식 제공에 관한 뇌과학적 근거를 확보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문가 집단을 선정하여 지식의 정도가 다른 전문 분야와 비전문 분야의 창의적 사고 수행 시의 뇌파를 측정하여 각각의 창의적 사고 과정에서 뇌파에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뇌파 분석 결과 전문 분야에서는 대뇌피질, 특히 좌측 측두엽의 활성이 유의하게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비전문 분야의 창의적 사고 수행에서는 대뇌피질의 활성이 떨어진다는 것과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neuroscientific evidence for the relationship of creativity and knowledge by investigating activation level of the cerebral cortex during creative thinking. For this goal, a computer expert group has been selected, and recorded their brain electroencephalogra...
저자 | 김순화 |
---|---|
학위수여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학위구분 | 국내석사 |
학과 | 컴퓨터교육학과 초등컴퓨터교육전공 |
지도교수 | 송기상 |
발행연도 | 2010 |
총페이지 | vi, 98 p. |
키워드 | 초등컴퓨터교육, 창의성, 지식, EEG, 대뇌피질, 긴장적 관점, 토대적 관점 |
언어 | kor |
원문 URL | http://www.riss.kr/link?id=T11984214&outLink=K |
정보원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