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사회의 급격한 변화와 다양하고 복잡한 사회문제들을 직면하면서 사회복지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욕구들이 끊임없이 변화하고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한 사회복지환경의 변화는 사회복지서비스의 꾸준한 질적 수준 향상과 사회복지시설 및 사회복지 사 들의 전문성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는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강화 및 직무수행능력의 효율적인 증진을 위해 재교육에 대한 욕구가 끊임없이 증가하고 있으며 재교육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주체들에 의해 산발적이고 단편적인 형태의 재교육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조사 연구는 사회복지시설에 종사하는 사회복지 사들 의 재교육 활용실태와 욕구를 조사하고 재교육이 직무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봄으로써 이를 근거로 사회복지사의 직무능력 및 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재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조사는 2010년 4월 12일~4월 30일까지 실시되었으며 대구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사회복지시설에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 사 349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재교육의 실태, 만족도 및 욕구, 재교육프로그램이 직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의 재교육 실태는 사회복지 사 대부분이 재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었고, 재교육을 받지 못한 이유는 시설의 조직적인 이유로 인하여 재교육을 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교육의 경험은 시설유형, 근무기간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 이용시설에 근무하면서 근무기간이 길수록 재교육의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교육을 받은 내용으로는 ‘사회복지 윤리와 가치’, ‘사회복지정책 및 제도’, ‘성희롱 및 성폭행 예방교육’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복지 사 의무보수교육에 해당하는 교과정과 남녀고용평등법의 의한 직장 내 의무교육이기에 다른 분야에 비해 경험이 많은 것으로 재교육에 대한 경험이 다양하지 못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재교육에 참여한 횟수는 연평균 4.20회로 나타났으며, 사회복지시설 자체 내에서 이루어진 자체교육에 대한 경험이 많았고 강의․강연의 교육유형에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교육이 업무능력 및 자질향상에 대체로 도움이 된다고 생각했으며, 재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
우리사회의 급격한 변화와 다양하고 복잡한 사회문제들을 직면하면서 사회복지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욕구들이 끊임없이 변화하고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한 사회복지환경의 변화는 사회복지서비스의 꾸준한 질적 수준 향상과 사회복지시설 및 사회복지 사 들의 전문성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는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강화 및 직무수행능력의 효율적인 증진을 위해 재교육에 대한 욕구가 끊임없이 증가하고 있으며 재교육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주체들에 의해 산발적이고 단편적인 형태의 재교육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조사 연구는 사회복지시설에 종사하는 사회복지 사들 의 재교육 활용실태와 욕구를 조사하고 재교육이 직무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봄으로써 이를 근거로 사회복지사의 직무능력 및 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재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조사는 2010년 4월 12일~4월 30일까지 실시되었으며 대구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사회복지시설에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 사 349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재교육의 실태, 만족도 및 욕구, 재교육프로그램이 직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의 재교육 실태는 사회복지 사 대부분이 재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었고, 재교육을 받지 못한 이유는 시설의 조직적인 이유로 인하여 재교육을 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교육의 경험은 시설유형, 근무기간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 이용시설에 근무하면서 근무기간이 길수록 재교육의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교육을 받은 내용으로는 ‘사회복지 윤리와 가치’, ‘사회복지정책 및 제도’, ‘성희롱 및 성폭행 예방교육’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복지 사 의무보수교육에 해당하는 교과정과 남녀고용평등법의 의한 직장 내 의무교육이기에 다른 분야에 비해 경험이 많은 것으로 재교육에 대한 경험이 다양하지 못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재교육에 참여한 횟수는 연평균 4.20회로 나타났으며, 사회복지시설 자체 내에서 이루어진 자체교육에 대한 경험이 많았고 강의․강연의 교육유형에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교육이 업무능력 및 자질향상에 대체로 도움이 된다고 생각했으며, 재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사례연구 및 역할학습 등의 교육유형에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사회복지 사가 직접 참여할 수 있고, 실무와 연관성이 높으며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교육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재교육에 대한 관심도와 욕구는 사회복지시설 및 사회복지 사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행 재교육의 문제점으로 지적 된 ‘교육내용의 현장과의 괴리감’을 감안하여 사전에 피 교육생의 욕구를 파악하고 직무수행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재교육프로그램기획과 시설차원에서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재교육의 욕구 측정 결과에 따라 ‘리더 쉽 및 수퍼비전, 사회 복지사 자기역량강화’, ‘사례관리 및 전문상담, 치료영역’, ‘프로그램 기획관리 및 평가’에 대한 재교육프로그램의 커리큘럼 기획과 토의․토론 또는 사례연구의 교육 유형으로 실무에 직접 적용이 가능한 교육을 희망하고 있으며 교육생들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교육의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셋째, 사회복지사의 직무수행능력의 수준은 ‘보통’보다 높은 수준이었으며, 직무수행 하위영역 가운데 ‘직원 및 지역사회와의 관계’와 ‘기관행정에 대한 이해’가 다른 영역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 이를 강화시킬 수 있는 재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재교육과 직무수행간의 관계는 재교육이 업무능력 및 자질향상의 도움 정도가 높을수록 직무수행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기초로 사회복지사의 직무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재교육에 대한 관심도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현재 사회복지 사 들의 재교육에 대한 높은 관심과 욕구를 가지고 있는 반면, 외부에서 실시되고 있는 교육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것을 볼 때, 재교육 실시주체 별로 재교육에 대한 정보를 최대한 공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둘째, 재교육은 사회복지 사 들의 사전 욕구조사를 실시하여 직무수행에 직접적이고 현실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내용의 교육프로그램기획과 토의․토론, 사례연구와 같은 소규모의 교육유형으로 사회복지실천현장의 실무경험이 풍부한 실무자를 강사진으로 하여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재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지역과 분야에 따른 소외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사회복지 사 협회나 사회복지협의회를 주축으로 하여 교육과 관련한 인프라를 구축하여 이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계획수립과 직위별, 사회복지분야별, 업무분야별로 다양하고 세분화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속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넷째, 시간적․지리적 여건에 의해 재교육 기회의 제한을 극복할 수 있도록 사회복지 사 협회나 사회복지협의회를 주축으로 실무종사자를 중심으로 강사진에 대한 인프라를 구축하고 사회복지시설에 파견하여 시설 내 자체교육에 활용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겠다. 다섯째, 사회복지 사 재교육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한 재정 확보방안으로 고용보험제도를 활용하여 사회복지사의 재교육에 대한 욕구를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내용과 참여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사회의 급격한 변화와 다양하고 복잡한 사회문제들을 직면하면서 사회복지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욕구들이 끊임없이 변화하고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한 사회복지환경의 변화는 사회복지서비스의 꾸준한 질적 수준 향상과 사회복지시설 및 사회복지 사 들의 전문성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는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강화 및 직무수행능력의 효율적인 증진을 위해 재교육에 대한 욕구가 끊임없이 증가하고 있으며 재교육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주체들에 의해 산발적이고 단편적인 형태의 재교육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조사 연구는 사회복지시설에 종사하는 사회복지 사들 의 재교육 활용실태와 욕구를 조사하고 재교육이 직무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봄으로써 이를 근거로 사회복지사의 직무능력 및 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재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조사는 2010년 4월 12일~4월 30일까지 실시되었으며 대구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사회복지시설에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 사 349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재교육의 실태, 만족도 및 욕구, 재교육프로그램이 직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의 재교육 실태는 사회복지 사 대부분이 재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었고, 재교육을 받지 못한 이유는 시설의 조직적인 이유로 인하여 재교육을 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교육의 경험은 시설유형, 근무기간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 이용시설에 근무하면서 근무기간이 길수록 재교육의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교육을 받은 내용으로는 ‘사회복지 윤리와 가치’, ‘사회복지정책 및 제도’, ‘성희롱 및 성폭행 예방교육’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복지 사 의무보수교육에 해당하는 교과정과 남녀고용평등법의 의한 직장 내 의무교육이기에 다른 분야에 비해 경험이 많은 것으로 재교육에 대한 경험이 다양하지 못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재교육에 참여한 횟수는 연평균 4.20회로 나타났으며, 사회복지시설 자체 내에서 이루어진 자체교육에 대한 경험이 많았고 강의․강연의 교육유형에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교육이 업무능력 및 자질향상에 대체로 도움이 된다고 생각했으며, 재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사례연구 및 역할학습 등의 교육유형에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사회복지 사가 직접 참여할 수 있고, 실무와 연관성이 높으며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교육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재교육에 대한 관심도와 욕구는 사회복지시설 및 사회복지 사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행 재교육의 문제점으로 지적 된 ‘교육내용의 현장과의 괴리감’을 감안하여 사전에 피 교육생의 욕구를 파악하고 직무수행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재교육프로그램기획과 시설차원에서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재교육의 욕구 측정 결과에 따라 ‘리더 쉽 및 수퍼비전, 사회 복지사 자기역량강화’, ‘사례관리 및 전문상담, 치료영역’, ‘프로그램 기획관리 및 평가’에 대한 재교육프로그램의 커리큘럼 기획과 토의․토론 또는 사례연구의 교육 유형으로 실무에 직접 적용이 가능한 교육을 희망하고 있으며 교육생들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교육의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셋째, 사회복지사의 직무수행능력의 수준은 ‘보통’보다 높은 수준이었으며, 직무수행 하위영역 가운데 ‘직원 및 지역사회와의 관계’와 ‘기관행정에 대한 이해’가 다른 영역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 이를 강화시킬 수 있는 재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재교육과 직무수행간의 관계는 재교육이 업무능력 및 자질향상의 도움 정도가 높을수록 직무수행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기초로 사회복지사의 직무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재교육에 대한 관심도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현재 사회복지 사 들의 재교육에 대한 높은 관심과 욕구를 가지고 있는 반면, 외부에서 실시되고 있는 교육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것을 볼 때, 재교육 실시주체 별로 재교육에 대한 정보를 최대한 공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둘째, 재교육은 사회복지 사 들의 사전 욕구조사를 실시하여 직무수행에 직접적이고 현실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내용의 교육프로그램기획과 토의․토론, 사례연구와 같은 소규모의 교육유형으로 사회복지실천현장의 실무경험이 풍부한 실무자를 강사진으로 하여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재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지역과 분야에 따른 소외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사회복지 사 협회나 사회복지협의회를 주축으로 하여 교육과 관련한 인프라를 구축하여 이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계획수립과 직위별, 사회복지분야별, 업무분야별로 다양하고 세분화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속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넷째, 시간적․지리적 여건에 의해 재교육 기회의 제한을 극복할 수 있도록 사회복지 사 협회나 사회복지협의회를 주축으로 실무종사자를 중심으로 강사진에 대한 인프라를 구축하고 사회복지시설에 파견하여 시설 내 자체교육에 활용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겠다. 다섯째, 사회복지 사 재교육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한 재정 확보방안으로 고용보험제도를 활용하여 사회복지사의 재교육에 대한 욕구를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내용과 참여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Social concern and desire for social welfare have been changing and increasing with rapid change and diversification of Korean society. and complication of social problems. The consequential changes in social welfare environment. on the other hand. require for steady qualitative improvement of socia...
Social concern and desire for social welfare have been changing and increasing with rapid change and diversification of Korean society. and complication of social problems. The consequential changes in social welfare environment. on the other hand. require for steady qualitative improvement of social welfare service and expertise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social workers. To cope with such changes. request for reeducation to improve expertise and service performance ability of social workers has been steadily increased. and to meet such requests. reeducations have been given sporadically and fragmentarily by diverse agen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reeducation program intended to improve service performance ability and expertise of social workers by investigating the using state of reeducation and desire for reeducation by social workers working at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identifying the influence the reeducation has on actual service performance. This study surveyed 349 social workers at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Daegu on general characteristics. actual conditions. satisfaction level and desire. and influence reeducation programs have on service performance ability between April 12 to 30. 2010. and analyzed the answers to obtain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most of questioned social workers had been reeducated. those who had not been reeducated failed to receive reeducation for organizational reason of the facilities where they worked. and those who had served longer time had more chances to receive reeducation. indicating that receipt of reeducation is closely related with the type of facilities and length of service. The subject on which the workers has been reeducated most was Ethics and Value of Social Welfare. to be followed by Social Welfare Policy and System. and Prevention of Sexual Harrassment and Sexual Assault. This suggests that topics of reeducation were not diverse. as the reeducation had been compulsorily given according to regulations on remedial education of social workers and the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Law. The surveyed workers were found to have attended reeducation 4.20 times on average. and most received reeducation at their works in the form of lecture. The surveyed workers answered that the reeducation helped them improve service ability and quality. The type of reeducation that gave the workers the highest level of satisfaction was case study and role learning. indicating that social workers desire for education in which they can participate first hand. and which has high relation with actual service and shares information. Second. both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social workers showed high degree of concern and desire for reeducation. This implies that programs and facilities for reeducation should be prepared after identifying desire of the educated in advance in a way that can help social workers practically with their service performance. considering "alienation of curriculum from actuality" that had been pointed out as the problem of current reeducation. The survey on desire for reeducation showed that social workers desire most for education that can be directly applied to actual service and shares information with the educated in the form of debate. discussion and case study. The topics for reeducation that the surveyed workers desired most include Leadership and Supervision. Improvement of Social Workers' Ability. Case Management. Specialized Counselling and Remedies. and Planning and Assessment of Programs. Third. the level of social workers' service performance was found to be above the average. and 'relationship of staff and community" and 'understanding about institutional administration' were listed among the topics that showed the lowest level of service performance. suggesting the necessity for reeducation program that can reinforce these topics. Forth. it was found that the more helps the reeducation gives to the improvement of service ability and quality. the more influence it has on the service performance ability. Based on the results as stated above. methods for reinvigoration of reeducation programs to upgrade service performance ability of social workers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e survey showed that although social workers had high concern and desire for reeducation. they had little information of reeducation administered by outsiders. This suggests that a method to share information of reeducation administered by diverse agents among social workers should be found. Second. reeducation should be given after desires of social workers have been surveyed. in the form of the planning of educational programs. debate. discussion and case study. with details that can directly and actually help social workers with their service performance. by lecturers who have extensive experience in actual social welfare service. Third. to maximize the effect of reeducation and to avoid neglection of specific regions and areas. an association or council of social workers should be asked to construct infrastructure related with reeducation. and based on it. diverse programs subdivided by positions. welfare types and service areas should be steadily developed and provided. Forth. to prevent social workers from losing the opportunity for reeducation due to time and geographical conditions. an association or council of social workers should construct infrastructure of instructors consisting mainly of hands-on workers and a plan to use such instructors for education by social welfare facilities should be sought. Fifth. a plan to use employment insurance to finance reeducation of social workers should be made to meet the desire of social workers for reeducation.
Social concern and desire for social welfare have been changing and increasing with rapid change and diversification of Korean society. and complication of social problems. The consequential changes in social welfare environment. on the other hand. require for steady qualitative improvement of social welfare service and expertise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social workers. To cope with such changes. request for reeducation to improve expertise and service performance ability of social workers has been steadily increased. and to meet such requests. reeducations have been given sporadically and fragmentarily by diverse agen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reeducation program intended to improve service performance ability and expertise of social workers by investigating the using state of reeducation and desire for reeducation by social workers working at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identifying the influence the reeducation has on actual service performance. This study surveyed 349 social workers at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Daegu on general characteristics. actual conditions. satisfaction level and desire. and influence reeducation programs have on service performance ability between April 12 to 30. 2010. and analyzed the answers to obtain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most of questioned social workers had been reeducated. those who had not been reeducated failed to receive reeducation for organizational reason of the facilities where they worked. and those who had served longer time had more chances to receive reeducation. indicating that receipt of reeducation is closely related with the type of facilities and length of service. The subject on which the workers has been reeducated most was Ethics and Value of Social Welfare. to be followed by Social Welfare Policy and System. and Prevention of Sexual Harrassment and Sexual Assault. This suggests that topics of reeducation were not diverse. as the reeducation had been compulsorily given according to regulations on remedial education of social workers and the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Law. The surveyed workers were found to have attended reeducation 4.20 times on average. and most received reeducation at their works in the form of lecture. The surveyed workers answered that the reeducation helped them improve service ability and quality. The type of reeducation that gave the workers the highest level of satisfaction was case study and role learning. indicating that social workers desire for education in which they can participate first hand. and which has high relation with actual service and shares information. Second. both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social workers showed high degree of concern and desire for reeducation. This implies that programs and facilities for reeducation should be prepared after identifying desire of the educated in advance in a way that can help social workers practically with their service performance. considering "alienation of curriculum from actuality" that had been pointed out as the problem of current reeducation. The survey on desire for reeducation showed that social workers desire most for education that can be directly applied to actual service and shares information with the educated in the form of debate. discussion and case study. The topics for reeducation that the surveyed workers desired most include Leadership and Supervision. Improvement of Social Workers' Ability. Case Management. Specialized Counselling and Remedies. and Planning and Assessment of Programs. Third. the level of social workers' service performance was found to be above the average. and 'relationship of staff and community" and 'understanding about institutional administration' were listed among the topics that showed the lowest level of service performance. suggesting the necessity for reeducation program that can reinforce these topics. Forth. it was found that the more helps the reeducation gives to the improvement of service ability and quality. the more influence it has on the service performance ability. Based on the results as stated above. methods for reinvigoration of reeducation programs to upgrade service performance ability of social workers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e survey showed that although social workers had high concern and desire for reeducation. they had little information of reeducation administered by outsiders. This suggests that a method to share information of reeducation administered by diverse agents among social workers should be found. Second. reeducation should be given after desires of social workers have been surveyed. in the form of the planning of educational programs. debate. discussion and case study. with details that can directly and actually help social workers with their service performance. by lecturers who have extensive experience in actual social welfare service. Third. to maximize the effect of reeducation and to avoid neglection of specific regions and areas. an association or council of social workers should be asked to construct infrastructure related with reeducation. and based on it. diverse programs subdivided by positions. welfare types and service areas should be steadily developed and provided. Forth. to prevent social workers from losing the opportunity for reeducation due to time and geographical conditions. an association or council of social workers should construct infrastructure of instructors consisting mainly of hands-on workers and a plan to use such instructors for education by social welfare facilities should be sought. Fifth. a plan to use employment insurance to finance reeducation of social workers should be made to meet the desire of social workers for reeduca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