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지역사회 참여를 통한 초등학생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community participation원문보기
본 연구는 초등학교 현장에 적용 가능한 효과적인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확산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역사회 기반 참여연구(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 CBPR)의 6단계 실천과정 모형에 따라 지역사회 구성원의 직접적이고 지속적인 참여를 통해 본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개발된 프로그램을 학교 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였다. 처음 시작단계인 2005년에는 초등학생의 식습관문제와 학교 내 영양교육의 필요성을 지역사회와 공감하고, 연계체계를 구축하였다. 2006년에는 지역사회 구성원의 직접적인 참여 속에서 울산지역 초등학생 식생활실태를 조사하고, 1개 초등학교를 지정 시범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프로그램의 근거를 마련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교육매체 개발에 주력하였다. 교육매체 개발은 울산광역시 5개 보건소 연계 팀에 의해 만들어진 초안을 기초로 지역사회 구성원과 연계를 통하여 완성하였다. 교육매체는 교재형태로 결식․편식․과식예방을 주제로 3종으로 구성되었으며, 캐릭터를 개발 반복 활용하고, 스티커 붙이기 등 체험활동을 삽입하여 학생의 흥미를 끌어내었고, 교사의 부담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프로그램은 6개월간 반별로 4회에 걸쳐 영양교사 또는 담임교사, 보건소로부터 교육을 받았다. 이렇게 개발된 교육매체와 프로그램을 지역사회 초등학교에 적용한 결과 본 프로그램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학교의 수가 2007년 3개교, 2008년 6개교, 2009년 13개교로 점차 확대되었다. 프로그램 ...
본 연구는 초등학교 현장에 적용 가능한 효과적인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확산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역사회 기반 참여연구(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 CBPR)의 6단계 실천과정 모형에 따라 지역사회 구성원의 직접적이고 지속적인 참여를 통해 본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개발된 프로그램을 학교 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였다. 처음 시작단계인 2005년에는 초등학생의 식습관문제와 학교 내 영양교육의 필요성을 지역사회와 공감하고, 연계체계를 구축하였다. 2006년에는 지역사회 구성원의 직접적인 참여 속에서 울산지역 초등학생 식생활실태를 조사하고, 1개 초등학교를 지정 시범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프로그램의 근거를 마련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교육매체 개발에 주력하였다. 교육매체 개발은 울산광역시 5개 보건소 연계 팀에 의해 만들어진 초안을 기초로 지역사회 구성원과 연계를 통하여 완성하였다. 교육매체는 교재형태로 결식․편식․과식예방을 주제로 3종으로 구성되었으며, 캐릭터를 개발 반복 활용하고, 스티커 붙이기 등 체험활동을 삽입하여 학생의 흥미를 끌어내었고, 교사의 부담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프로그램은 6개월간 반별로 4회에 걸쳐 영양교사 또는 담임교사, 보건소로부터 교육을 받았다. 이렇게 개발된 교육매체와 프로그램을 지역사회 초등학교에 적용한 결과 본 프로그램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학교의 수가 2007년 3개교, 2008년 6개교, 2009년 13개교로 점차 확대되었다. 프로그램 효과평가를 위하여 프로그램 시작 전, 종료 후 1개월, 6개월, 18개월 시점에 각각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시작 전과 종료 1개월 후 영양지식, 식 태도, 식 행동 변화를 2007년 3학년 3개교 495명, 2008년 3학년 6개교 1,023명 중 606명을 대상으로 관찰한 결과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001) 개선되었다. 프로그램 종료 6개월 후 2009년 4월 지속효과평가를 2008년에 3학년이었던 교육 군 6개교 187명과 대조군 6개교 171명을 대상으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교육 군이 대조 군에 비하여 식 행동 5개 문항 중 3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좋았다. 그 3개 항목은 ‘매일 달걀, 두부 등 단백질 식품을 먹는다.’(p<0.05), ‘매일 당근, 김, 시금치 등 채소를 먹는다.'(p<0.001), '매일 하루 2컵 이상의 흰 우유를 먹는다.’(p<0.001)였다. 프로그램 종료 18개월 후 2009년 4월 지속효과평가는 2007년에 3학년이었던 교육 군 3개교 106명, 대조군 3개교 92명을 대상으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교육 군과 대조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인 문항은 하나도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초등학생 영양교육 프로그램은 지역사회의 참여로 자발적 확산에 성공하여 다수의 학생들에게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었고, 프로그램 종료 후 1개월과 6개월 시점에까지 교육효과가 지속되어 초등학교 영양교육 프로그램으로 활용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한다. 그러나 18개월 시점에서는 교육효과가 지속되지 않아, 학생의 올바른 식습관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교육 후 18개월 이내의 시기에 반복교육을 실시할 것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현장에 적용 가능한 효과적인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확산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역사회 기반 참여연구(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 CBPR)의 6단계 실천과정 모형에 따라 지역사회 구성원의 직접적이고 지속적인 참여를 통해 본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개발된 프로그램을 학교 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였다. 처음 시작단계인 2005년에는 초등학생의 식습관문제와 학교 내 영양교육의 필요성을 지역사회와 공감하고, 연계체계를 구축하였다. 2006년에는 지역사회 구성원의 직접적인 참여 속에서 울산지역 초등학생 식생활실태를 조사하고, 1개 초등학교를 지정 시범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프로그램의 근거를 마련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교육매체 개발에 주력하였다. 교육매체 개발은 울산광역시 5개 보건소 연계 팀에 의해 만들어진 초안을 기초로 지역사회 구성원과 연계를 통하여 완성하였다. 교육매체는 교재형태로 결식․편식․과식예방을 주제로 3종으로 구성되었으며, 캐릭터를 개발 반복 활용하고, 스티커 붙이기 등 체험활동을 삽입하여 학생의 흥미를 끌어내었고, 교사의 부담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프로그램은 6개월간 반별로 4회에 걸쳐 영양교사 또는 담임교사, 보건소로부터 교육을 받았다. 이렇게 개발된 교육매체와 프로그램을 지역사회 초등학교에 적용한 결과 본 프로그램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학교의 수가 2007년 3개교, 2008년 6개교, 2009년 13개교로 점차 확대되었다. 프로그램 효과평가를 위하여 프로그램 시작 전, 종료 후 1개월, 6개월, 18개월 시점에 각각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시작 전과 종료 1개월 후 영양지식, 식 태도, 식 행동 변화를 2007년 3학년 3개교 495명, 2008년 3학년 6개교 1,023명 중 606명을 대상으로 관찰한 결과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001) 개선되었다. 프로그램 종료 6개월 후 2009년 4월 지속효과평가를 2008년에 3학년이었던 교육 군 6개교 187명과 대조군 6개교 171명을 대상으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교육 군이 대조 군에 비하여 식 행동 5개 문항 중 3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좋았다. 그 3개 항목은 ‘매일 달걀, 두부 등 단백질 식품을 먹는다.’(p<0.05), ‘매일 당근, 김, 시금치 등 채소를 먹는다.'(p<0.001), '매일 하루 2컵 이상의 흰 우유를 먹는다.’(p<0.001)였다. 프로그램 종료 18개월 후 2009년 4월 지속효과평가는 2007년에 3학년이었던 교육 군 3개교 106명, 대조군 3개교 92명을 대상으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교육 군과 대조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인 문항은 하나도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초등학생 영양교육 프로그램은 지역사회의 참여로 자발적 확산에 성공하여 다수의 학생들에게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었고, 프로그램 종료 후 1개월과 6개월 시점에까지 교육효과가 지속되어 초등학교 영양교육 프로그램으로 활용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한다. 그러나 18개월 시점에서는 교육효과가 지속되지 않아, 학생의 올바른 식습관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교육 후 18개월 이내의 시기에 반복교육을 실시할 것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spread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effectively which is applicable to an elementary school.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program has been developed through the attending of community participants who attended this program continuously in person with co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spread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effectively which is applicable to an elementary school.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program has been developed through the attending of community participants who attended this program continuously in person with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CBRP) and evaluated after applying on the spot of school. In 2005, at the beginning, we had some agreement regarding the dietary life education for elementary students, so that we established the network system with community members. In 2006 we carried out a survey dietary life education of elementary students in Ulsan and selected one elementary schools for the purpose of establish a program basis on nutrition education materials.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materials has been finished with a draft form from 5 local Public Health Centers in Ulsan which were tied each other. It consists of pamphlet, satire character and sticker to prevent 3 types of ill dietary habit such as skipping meal, unbalanced eating and overeating. Students were educated 4 times for 6 months interval by a class teacher, or nutrition teacher and Public Health Center. As a result, the number of volunteer schools has increased to 3 schools in 2007, 6 schools in 2008, 13 schools in 2009. A survey was carried out 4 times, before starting program and 1 month, 6 months, 18 month after program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and dietary practice of year 2007(495 students of year 3 from 3 schools) and 2008(1,023 students of year 3 from 6 schools) survey(p<0.001). Evaluation of the program's persistence, 6 months after program, revealed that educated group(187 students from 6 school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on 3 items out of 5 items about dietary practice comparing noneducated group(171 students from 6 schools). These 3 items were as follows: 'eating eggs or tofu everyday'(p<0.05), 'eating carrots or spinach or laver everyday'(p<0.001), 'drinking more than 2 cups of whole milk every day'(p<0.001). Evaluation of the program's persistence, 18 months after program, reveal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educated and non educated group. Finally this program was successfully developed by community participation and spread by voluntary participation. However, the persistency of his program was not last for 18 month. Therefore it is strongly suggested that the nutrition education for elementary students must be repeated within 18 mon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spread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effectively which is applicable to an elementary school.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program has been developed through the attending of community participants who attended this program continuously in person with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CBRP) and evaluated after applying on the spot of school. In 2005, at the beginning, we had some agreement regarding the dietary life education for elementary students, so that we established the network system with community members. In 2006 we carried out a survey dietary life education of elementary students in Ulsan and selected one elementary schools for the purpose of establish a program basis on nutrition education materials.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materials has been finished with a draft form from 5 local Public Health Centers in Ulsan which were tied each other. It consists of pamphlet, satire character and sticker to prevent 3 types of ill dietary habit such as skipping meal, unbalanced eating and overeating. Students were educated 4 times for 6 months interval by a class teacher, or nutrition teacher and Public Health Center. As a result, the number of volunteer schools has increased to 3 schools in 2007, 6 schools in 2008, 13 schools in 2009. A survey was carried out 4 times, before starting program and 1 month, 6 months, 18 month after program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and dietary practice of year 2007(495 students of year 3 from 3 schools) and 2008(1,023 students of year 3 from 6 schools) survey(p<0.001). Evaluation of the program's persistence, 6 months after program, revealed that educated group(187 students from 6 school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on 3 items out of 5 items about dietary practice comparing noneducated group(171 students from 6 schools). These 3 items were as follows: 'eating eggs or tofu everyday'(p<0.05), 'eating carrots or spinach or laver everyday'(p<0.001), 'drinking more than 2 cups of whole milk every day'(p<0.001). Evaluation of the program's persistence, 18 months after program, reveal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educated and non educated group. Finally this program was successfully developed by community participation and spread by voluntary participation. However, the persistency of his program was not last for 18 month. Therefore it is strongly suggested that the nutrition education for elementary students must be repeated within 18 month.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