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메리칸 액팅 메소드의 트레이닝을 통한 연기 훈련 방법 연구 : 샌포드 마이즈너, 스텔라 애들러, 리 스트라스버그 훈련을 중심으로 원문보기


김형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공연예술학과 연극전공 국내석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배우훈련에 대해 한국사회는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을 해왔다. 그러나 그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100년 이상 된 한국근대연극의 배우훈련 방법들을 살펴보면 포괄적으로 나열되어 있을 뿐 체계적으로 교육 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대다수의 국내의 배우훈련은 대부분 화술교육과 장면훈련 등에만 집중되어있고 공연을 올리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는 것이 현 상황이다.
한국에서 공연되어지는 대부분 극들은 리얼리즘 형식에 기반을 두고 있다. 그래서 배우의 연기도 리얼리즘을 기본으로 하는 방법이 요구되었고 그나마 국내 소수의 교육기관에서 미흡하나마 리얼리즘의 대표적 연기훈련방법이라 할 수 있는 스타니슬랍스키 시스템을 도입 연기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스타니슬랍스키 시스템은 세계의 여러 곳에서 배우들의 훈련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했고 또 많은 이들에 의해 더욱 발전되어져 왔다. 특히 미국의 많은 연기교사들은 미국적 풍토에 맞게 다듬고 배우 훈련을 더 과학적이고 미학적이고 윤리적이고 체계적으로 방법론화 시켰다. 이것을 아메리칸 액팅 메소드(American Acting Method)라고 말한다. 아메리칸 액팅 메소드는 배우가 창조하는 인물의 내적 진실과 깊이에 대한 탐구, 그리고 그에게 주어진 상황을 믿게 만듦으로써 살아 움직이는 복합적인 심리적 존재로 무대의 생명력을 부여하는 연기훈련법이다. 아메리칸 액팅 메소드의 대표적인 연기교사 세 사람 중 리 스트라스버그(Lee Strasberg, 1990-1982)는 스타니슬랍스키의 초기 시스템을 바탕으로 ‘긴장이완’, ‘집중’, ‘정서적 기억’에 중점을 두고 훈련을 시켰으며 , 스텔라 애들러(Stella Adler,190-1992)는 ‘상상력’, ‘주어진 상황’, ‘신체적 행동’등 후기 스타니슬랍스키의 시스템을 중심으로 한 훈련방법을 만들어 냈으며 샌포드 마이즈너(Sanford Meisner, 1905-1997)는 스타니슬랍스키는 중요하게 생각했지만 그중 아무도 관심을 가지지 않은 배우와 배우사이에 상호관계를 중심으로 한 ‘교감(Communion)’을 중심으로 자신만의 연기 테크닉을 만들었다. 하지만 국내에는 리 스트라스버그의 ‘메소드’와 몇 명의 연기교사들의 이론들만 소개 되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타니슬랍스키 시스템의 영향을 받은 아메리칸 액팅 메소드의 대표적인 연기교사 세 사람 즉, 리 스트라스버그, 스텔라 애들러 그리고 샌포드 마이즈너의 연기 테크닉의 실용적인 훈련방법을 살펴보며 2008년 여름과 2009년 겨울 두 차례에 걸쳐 아메리칸 액팅 메소드 W・S에 참여한 본 연구자의 훈련경험과 그것을 토대로 현장에서 극단 배우들과 학교 그리고 사설연기교육기관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세 사람의 연기 테크닉을 새롭게 재구성한 배우훈련프로그램을 제시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제Ⅱ장에서는 스타니슬랍스키 시스템의 미국유입과정과 어떻게 발전되었는지를 살펴보았고, 제Ⅲ장에서는 아메리칸 액팅 메소드의 세 사람의 삶과 스타니슬랍스키 시스템을 어떻게 각자의 방식으로 방법론화 하였는가, 그리고 그들의 연기훈련방법들이 어떻게 새로운 미국식 연기 테크닉으로 자리매김을 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Ⅳ장에서는 아메리칸 액팅 메소드의 대표적인 교사 세 사람의 훈련 방법을 직접 경험하고 극단, 학교, 사설기관에서 훈련을 지도한 연구자의 경험을 토대로 “가. 자신으로 부터의 출발 -요소훈련, 나. 역할 창조를 위한 - 테크닉훈련, 다. 배역으로의 진실한 삶 -장면훈련” 세부분으로 나누었고 각 훈련 방법의 개념과 훈련 방법 그리고 훈련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첫째, 가. 자신으로 부터의 출발 -요소훈련에서는 샌포드 마이즈너의 훈련 방법의 으뜸이라고 할 수 있는 행위의 사실성(The Reality of ...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ociety, we have continuous interests in, and made efforts for, training of actors. Despite of the efforts, when we see the training methods of actors in the modern drama community of Korea, with its history over 100 years it appears that the methods are just listed collectively, but they ar...

학위논문 정보

저자 김형태
학위수여기관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공연예술학과 연극전공
지도교수 최정일
발행연도 2010
총페이지 ii, 127 p.
언어 kor
원문 URL http://www.riss.kr/link?id=T12157359&outLink=K
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