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타니슬랍스키 시스템에서 아메리칸 액팅 메소드로의 변곡점에 관한 연구 -체험(Experiencing)과 배우의 이중 의식(Double consciousness)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ection Point from the Stanislavsky's System to the American Acting Method - Focusing on "Experiencing" and Actor's "Double consciousness" -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12, 2021년, pp.828 - 841  

배민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공연영상학과 공연영상창작학부)

초록

본 연구는 현대연기의 근간이 되는 스타니슬랍스키 시스템과 그 미국적 계승이라 할 수 있는 아메리칸 액팅 메소드가 전혀 다른 성격의 연기론이 될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규명하고자 한다. 먼저, 시스템 계승의 주요 국가인 러시아와 미국, 그리고 우리나라를 대상으로 시스템 관련 스타니슬랍스키 저서의 출판과 번역 과정을 따라가며 각국에서 시스템이 전혀 다르게 이해되었음을 확인한다. 이를 바탕으로 시스템의 체계를 유지하는 '체험'과 배우의 '이중 의식'이 메소드에서 어떻게 받아들여진 것인지 논의하여 두 연기론의 차이와 그 원인을 밝히고자 한다. 시스템에서 메소드로의 변곡점이라 할 수 있는 스타니슬랍스키 저술 출판과 번역, 그리고 그로 인한 시스템에 관한 이해를 인식하고자 하는 것은 시스템과 메소드 모두를 온전히 이해하고자 하는 시도라 하겠다. 시스템과 메소드를 근본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본 연구가 앞으로의 시스템과 메소드에 대한 다양한 시각의 논의를 마련하는 밑거름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why Stanislavsky's System, which has been the basis of modern acting, and the American Acting Method, which is the American succession of the System, were forced to become acting theories with a completely different nature. First, this study tracks the publishing a...

주제어

표/그림 (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먼저, 시스템 계승의 주요 국가인 러시아와 미국, 그리고 우리나라를 대상으로 시스템 관련 스타니슬랍스키 저서의 출판과 번역 과정을 따라가며 각국에서 시스템 이해를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스템의 체계를 유지하는 ‘체험’과 배우의 ‘이중 의식’이 메소드에서 어떻게 받아들여진 것인지 관해 논의하여 두 연기론 간의 차이와 그 원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현대연기의 근간이 되는 스타니슬랍스키시스템과 그 미국적 계승이라 할 수 있는 아메리칸 액팅메소드가 전혀 다른 성격의 연기론이 될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규명하고자 한다. 먼저, 시스템 계승의 주요 국가인 러시아와 미국, 그리고 우리나라를 대상으로 시스템 관련 스타니슬랍스키 저서의 출판과 번역 과정을 따라가며 각국에서 시스템 이해를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스템의 체계를 유지하는 ‘체험’과 배우의 ‘이중 의식’이 메소드에서 어떻게 받아들여진 것인지 관해 논의하여 두 연기론 간의 차이와 그 원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T. Cole and H. K. Chinoy, Actors on acting, Crown Publishers, 1970. 

  2. 나상만, 스타니스랍스키, 어떻게 볼 것인가?, 예니, 2002. 

  3. D. E. Malcolm, An Actor Remembers: Memory's Role in the Training of the United States Actor, University of Pittsburgh, PhD, 2012. 

  4. J. Benedetti, Stanislavski and the Actor, Routledge/Theatre Art Books, 1998. 

  5. 김석만, 스타니슬랍스키 연극론, 연극과인간, 2015. 

  6. K. Stanislavsky, Stanislavsky: a Life in Letters, translated and edited by L. Senelick, Routledge, 2014. 

  7. S. M. Carnicke, Stanislavsky in Focus, Harwood Academic publisher, 1998. 

  8. E. Bentley, "Who Was Ribot? or Did Stanislavsky Know any Psychology?," Tulane Drama Review, Vol. 7, No. 2, pp.127-129, 1962. 

  9. B. Merlin, Konstantin Stanislavsky, Routledge, 2003. 

  10. C. Stanislavsky, Creating a Role, translated by E. R. Hapgood, The theatre Art Books, 1961. 

  11. K. Stanislavski, An Actor's Work, translated and edited by J. Benedetti, Routledge, 2008. 

  12. L. Tolstoy, What is Art?, Penguin Books, 1995. 

  13. B. M. Hobgood, "Central Conceptions in Stanislavsky's System," Educational Theatre Journal, Vol.25, No.2, pp.147-159, 1973. 

  14. M. 안또니나, B. 바실리 이바노비치, 김춘식, 러시아어 한국어 사전, 문예림, 2018. 

  15. 백승무, "스타니슬랍스키의 모순에 대한 소고: 오류와 진실 사이에서," 드라마연구, 제42호, pp.125-155, 2014. 

  16. C. B. Balme, The Cambridge Introduction to Theatre Stud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17. H. Cluman, The Collected works of Harold Clurman, Applause Theatre books, 1994. 

  18. C. Stanislavski, An Actor Prepares, translated by E. R. Hapgood, Routledge/Theatre Arts Books, 1964. 

  19. 김대현, "스타니슬랍스키 연구사: 국내 스타니슬랍스키 수용.번역.연구의 제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연극학, 제40호, pp.345-400, 2010. 

  20. 홍재범, 스타니슬랍스키 시스템과 한국 극예술의 접점, 연극과인간, 2006. 

  21. S. Moore, The Stanislavski System: The Professional Training of an Actor, 2nd ed, the Penguin Group, 198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