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반편견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태 연구 본 연구는 반편견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반편견 교육에 대한 실태가 유아교사의 학력과 경력, 유아교육기관 유형, 유아교사의 반편견 교육의 경험 유무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반편견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이는 유아교사의 학력, 경력, 기관유형 및 반편견 교육의 경험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반편견 교육에 대한 유아교육현장의 실태는 어떠한가? 이는 유아교사의 학력, 경력, 기관유형 및 반편견 교육의 경험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반편견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태 연구를 위해 부산과 경상남도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공·사립 유치원과 국공립·법인·민간·가정 어린이집 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연구도구는 반편견 교육에 대한 Hall과 Rhomberg(1995)가 제시한 편견의 영역을 기초로 하여 선행연구(김래경, 2001; 김희숙, 2008; 조미현, 2005)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를 유아교육전문가 2인의 검토를 받아 내용타당도의 검증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반편견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전체적으로 알아본 결과, 반편견 교육에 대한 관심의 정도와 관련 지식정도는 ‘있다’가 많았고, 필요성 인식은 ‘필요있다’에 가장 많이 응답했으며, 만족도는 ‘보통’으로 반편견 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그리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항목에서 모두 5년 이상~10년 미만의 교사와 학력이 높은 교사, 유치원, 반편견 교육의 경험이 있는 교사가 관심, 인식, 필요성 인식,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편견 교육이 필요한 이유로는 ‘감정이입적인 상호작용’ 항목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반편견 교육에 대한 목표로는 ‘공동체 속 존중, 협동하는 역할 인식’ 항목을 가장 큰 목표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5년 이상~10년 미만의 교사, 학력이 높은 교사, 유치원, 반편견 교육의 경험이 있는 교사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반편견 교육에 관한 교육내용으로는 ‘문화’와 ‘성역할’에 관한 내용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는데, ‘문화’에 관한 내용은 교사의 경력과 학력이 높을수록, 유치원, 반편견 교육의 경험이 있는 교사가 높게 나왔으며, ‘성역할’에 관한 내용은 5년 이상~10년 미만의 교사, 학력이 높은 교사, 유치원, 반편견 교육의 경험이 있는 교사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
국문초록 반편견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태 연구 본 연구는 반편견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반편견 교육에 대한 실태가 유아교사의 학력과 경력, 유아교육기관 유형, 유아교사의 반편견 교육의 경험 유무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반편견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이는 유아교사의 학력, 경력, 기관유형 및 반편견 교육의 경험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반편견 교육에 대한 유아교육현장의 실태는 어떠한가? 이는 유아교사의 학력, 경력, 기관유형 및 반편견 교육의 경험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반편견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태 연구를 위해 부산과 경상남도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공·사립 유치원과 국공립·법인·민간·가정 어린이집 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연구도구는 반편견 교육에 대한 Hall과 Rhomberg(1995)가 제시한 편견의 영역을 기초로 하여 선행연구(김래경, 2001; 김희숙, 2008; 조미현, 2005)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를 유아교육전문가 2인의 검토를 받아 내용타당도의 검증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반편견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전체적으로 알아본 결과, 반편견 교육에 대한 관심의 정도와 관련 지식정도는 ‘있다’가 많았고, 필요성 인식은 ‘필요있다’에 가장 많이 응답했으며, 만족도는 ‘보통’으로 반편견 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그리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항목에서 모두 5년 이상~10년 미만의 교사와 학력이 높은 교사, 유치원, 반편견 교육의 경험이 있는 교사가 관심, 인식, 필요성 인식,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편견 교육이 필요한 이유로는 ‘감정이입적인 상호작용’ 항목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반편견 교육에 대한 목표로는 ‘공동체 속 존중, 협동하는 역할 인식’ 항목을 가장 큰 목표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5년 이상~10년 미만의 교사, 학력이 높은 교사, 유치원, 반편견 교육의 경험이 있는 교사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반편견 교육에 관한 교육내용으로는 ‘문화’와 ‘성역할’에 관한 내용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는데, ‘문화’에 관한 내용은 교사의 경력과 학력이 높을수록, 유치원, 반편견 교육의 경험이 있는 교사가 높게 나왔으며, ‘성역할’에 관한 내용은 5년 이상~10년 미만의 교사, 학력이 높은 교사, 유치원, 반편견 교육의 경험이 있는 교사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역할은 ‘유아와 상호작용’하는 역할을 가장 중요시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교사의 경력과 학력이 높을수록, 유치원, 반편견 교육의 경험이 있는 교사가 높게 나왔다. 활동주제는 ‘가족과 이웃’을 가장 많이 꼽았는데, 5년 이상~10년 미만의 교사, 학력이 높은 교사, 유치원, 반편견 교육의 경험이 있는 교사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반편견 교육의 현장실태를 알아본 결과, 실시정도는 ‘필요시 마다’가 가장 높게 나왔고, 실시방법으로는 ‘모든 영역과 통합적으로 실시’한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아교사의 경력, 학력, 기관유형, 반편견 교육의 경험 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 반편견 교육이 이루어지는 일과로는 ‘이야기나누기’ 시간을 가장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매체로는 ‘시각매체’를 가장 많이 활용하는 데, 이는 유아교사의 경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 참고자료로는 ‘교육부 지도 자료집’을 많이 활용하는 데, 이는 유아교사의 학력, 기관유형, 반편견 교육의 경험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 반편견 교육에 대한 참가 정도는 ‘참가한 적 없음’이 가장 많았고, 이는 유아교사의 경력, 학력, 기관유형, 반편견 교육의 경험 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 반편견 교육의 연수방법은 ‘자율적 연수’가 주로 이루어졌고, 이는 유아교사의 경력, 반편견 교육의 경험 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 문제점으로는 ‘연수기회의 부족’을 가장 큰 원인으로 꼽았고, 이는 유아교사의 경력, 학력, 기관유형, 반편견 교육의 경험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 보완점은 ‘다양하고 구체적인 수업방법’이 가장 높게 나왔다. 반편견 교육이 현장에서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는 ‘교수 학습자료 및 자원부족’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이는 유아교사의 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 활성화 방안으로 ‘교육내용과 범위에 대한 교사의 이해도모’를 가장 강조하였으며, 이는 유아교사의 경력, 학력, 반편견 교육의 경험 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 주요어 : 유아교육, 유아교사, 반편견 교육
국문초록 반편견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태 연구 본 연구는 반편견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반편견 교육에 대한 실태가 유아교사의 학력과 경력, 유아교육기관 유형, 유아교사의 반편견 교육의 경험 유무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반편견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이는 유아교사의 학력, 경력, 기관유형 및 반편견 교육의 경험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반편견 교육에 대한 유아교육현장의 실태는 어떠한가? 이는 유아교사의 학력, 경력, 기관유형 및 반편견 교육의 경험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반편견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태 연구를 위해 부산과 경상남도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공·사립 유치원과 국공립·법인·민간·가정 어린이집 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연구도구는 반편견 교육에 대한 Hall과 Rhomberg(1995)가 제시한 편견의 영역을 기초로 하여 선행연구(김래경, 2001; 김희숙, 2008; 조미현, 2005)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를 유아교육전문가 2인의 검토를 받아 내용타당도의 검증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반편견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전체적으로 알아본 결과, 반편견 교육에 대한 관심의 정도와 관련 지식정도는 ‘있다’가 많았고, 필요성 인식은 ‘필요있다’에 가장 많이 응답했으며, 만족도는 ‘보통’으로 반편견 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그리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항목에서 모두 5년 이상~10년 미만의 교사와 학력이 높은 교사, 유치원, 반편견 교육의 경험이 있는 교사가 관심, 인식, 필요성 인식,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편견 교육이 필요한 이유로는 ‘감정이입적인 상호작용’ 항목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반편견 교육에 대한 목표로는 ‘공동체 속 존중, 협동하는 역할 인식’ 항목을 가장 큰 목표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5년 이상~10년 미만의 교사, 학력이 높은 교사, 유치원, 반편견 교육의 경험이 있는 교사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반편견 교육에 관한 교육내용으로는 ‘문화’와 ‘성역할’에 관한 내용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는데, ‘문화’에 관한 내용은 교사의 경력과 학력이 높을수록, 유치원, 반편견 교육의 경험이 있는 교사가 높게 나왔으며, ‘성역할’에 관한 내용은 5년 이상~10년 미만의 교사, 학력이 높은 교사, 유치원, 반편견 교육의 경험이 있는 교사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역할은 ‘유아와 상호작용’하는 역할을 가장 중요시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교사의 경력과 학력이 높을수록, 유치원, 반편견 교육의 경험이 있는 교사가 높게 나왔다. 활동주제는 ‘가족과 이웃’을 가장 많이 꼽았는데, 5년 이상~10년 미만의 교사, 학력이 높은 교사, 유치원, 반편견 교육의 경험이 있는 교사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반편견 교육의 현장실태를 알아본 결과, 실시정도는 ‘필요시 마다’가 가장 높게 나왔고, 실시방법으로는 ‘모든 영역과 통합적으로 실시’한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아교사의 경력, 학력, 기관유형, 반편견 교육의 경험 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 반편견 교육이 이루어지는 일과로는 ‘이야기나누기’ 시간을 가장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매체로는 ‘시각매체’를 가장 많이 활용하는 데, 이는 유아교사의 경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 참고자료로는 ‘교육부 지도 자료집’을 많이 활용하는 데, 이는 유아교사의 학력, 기관유형, 반편견 교육의 경험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 반편견 교육에 대한 참가 정도는 ‘참가한 적 없음’이 가장 많았고, 이는 유아교사의 경력, 학력, 기관유형, 반편견 교육의 경험 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 반편견 교육의 연수방법은 ‘자율적 연수’가 주로 이루어졌고, 이는 유아교사의 경력, 반편견 교육의 경험 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 문제점으로는 ‘연수기회의 부족’을 가장 큰 원인으로 꼽았고, 이는 유아교사의 경력, 학력, 기관유형, 반편견 교육의 경험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 보완점은 ‘다양하고 구체적인 수업방법’이 가장 높게 나왔다. 반편견 교육이 현장에서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는 ‘교수 학습자료 및 자원부족’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이는 유아교사의 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 활성화 방안으로 ‘교육내용과 범위에 대한 교사의 이해도모’를 가장 강조하였으며, 이는 유아교사의 경력, 학력, 반편견 교육의 경험 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 주요어 : 유아교육, 유아교사, 반편견 교육
ABSTRACT A Study of Pre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Anti-bias Education and Current Implementation State by Kim, bong he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fferences of preschool teachers' perceptions on anti-bias education and current anti-bias education, depending on the teachers' education...
ABSTRACT A Study of Pre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Anti-bias Education and Current Implementation State by Kim, bong he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fferences of preschool teachers' perceptions on anti-bias education and current anti-bias education, depending on the teachers' educational background and work experience, types of preschool institutions, and teachers' previous experience on anti-bias education. Accordingly the research tasks were designed as follows. 1. What are the preschool teachers' perceptions on the anti-bias education and how they differ from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and work experience, types of preschool institutions, and previous experience on the anti-bias education? 2. What is the current anti-bias education state and how it differs from the educational background and work experience of the teachers, types of preschool institutions, and previous experience on the anti-bias education? To achieve such goals, 300 preschool teachers were subjected in this study who worked at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as well as at public, incorporate, private, home-based child care centers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As for the research instrument, a scale used in previous studies (Kim, Rae-gyeong, 2001; Kim, Hee-sook, 2008; and Jo, Mi-hyeon, 2005) based on the 'areas of bias' which were originally presented by Hall and Rhomberg (1995),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by the validity verification process with two preschool education experts. Accordingly the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the general perceptions of the preschool teachers on anti-bias education, the majority of the teachers had interests in and knowledge on the anti-bias education, and felt it necessary to conduct anti-bias education. However their degree of satisfaction on the current anti-bias education was 'more or less' indicating relatively low satisfaction level. In all areas of the questions, teachers with 5-10 years of work experience, high educational background, previous experience in anti-bias education, had high interests in, perceptions on, necessity and satisfaction for the anti-bias education. As for the reasons for conducting anti-bias education, 'interaction with empathy' scored the highest in answers. As for the aims of the anti-bias education, 'respect within community, role of collaboration' scored the highest in answers. Such results were shown high among the teachers who had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5-10 years of work experience, and had previous experience in anti-bias education. As for the contents of the anti-bias education, 'culture' and 'gender role' contents were perceived as the most important. The higher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was, the longer their work experience was, and those with previous anti-bias education experience, the higher their perceptions on the contents of 'culture' became. The teachers with 5-10 years of work experience,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with previous anti-bias education experience had the higher perceptions on the contents of 'gender role.' As for the role of a teacher, 'interaction with preschooler' wa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The higher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was, the longer their work experience was, and those with previous anti-bias education experience, the higher their perceptions on the interaction role of a teacher became. Regarding the activity subjects, 'family and neighbor' was the most favorite subject by the teachers with 5-10 years of work experience,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previous anti-bias education experience. Second, the analysis result of the current anti-bias education in preschool institutions showed that the most common frequency of the anti-bias education was 'implementation by necessity' and the most common implementation method was 'integrative implementation with other teaching are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y the following variables of the work experience, educational background of teachers, types of institutions and previous experience of the anti-bias education. The anti-bias education was alloted mostly to a 'sharing stories' segment in daily schedule in preschool. 'Visual medium' was used the most as a teaching medium, whic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ork experience of the preschool teachers. 'Manual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was used the most commonly as a reference material, and it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educational background, types of institutions, previous experience of the anti-bias education. Regarding the teacher training, 'no participation yet' answer was the most common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by the teachers' work experience, educational background, types of institutions and previous work experience in anti-bias education. The method of the teacher training for the anti-bias education was mostly 'autonomous training'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teachers' work experience and previous experience with anti-bias education. The most common problem of the teacher training was 'the lack of training opportunity' which also significantly varied by teachers' work experience, educational background, institution types and previous experience in anti-bias education. The most common suggestion for improvement was 'diverse and specific teaching method.' The most common culprit of the lack of anti-bias education was 'the lack of teaching materials and recourses' which also differed significantly by the work experience of the preschool teachers. As for the suggestions for an activation plan, 'encouraging teachers to understand education contents and scope' was emphasized the most, which also differed significantly by work experience, educational background and previous experience in anti-bias education of the teachers. ※ Key Words : Preschool Education, Preschool Teacher, Anti-bias Education
ABSTRACT A Study of Pre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Anti-bias Education and Current Implementation State by Kim, bong he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fferences of preschool teachers' perceptions on anti-bias education and current anti-bias education, depending on the teachers' educational background and work experience, types of preschool institutions, and teachers' previous experience on anti-bias education. Accordingly the research tasks were designed as follows. 1. What are the preschool teachers' perceptions on the anti-bias education and how they differ from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and work experience, types of preschool institutions, and previous experience on the anti-bias education? 2. What is the current anti-bias education state and how it differs from the educational background and work experience of the teachers, types of preschool institutions, and previous experience on the anti-bias education? To achieve such goals, 300 preschool teachers were subjected in this study who worked at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as well as at public, incorporate, private, home-based child care centers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As for the research instrument, a scale used in previous studies (Kim, Rae-gyeong, 2001; Kim, Hee-sook, 2008; and Jo, Mi-hyeon, 2005) based on the 'areas of bias' which were originally presented by Hall and Rhomberg (1995),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by the validity verification process with two preschool education experts. Accordingly the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the general perceptions of the preschool teachers on anti-bias education, the majority of the teachers had interests in and knowledge on the anti-bias education, and felt it necessary to conduct anti-bias education. However their degree of satisfaction on the current anti-bias education was 'more or less' indicating relatively low satisfaction level. In all areas of the questions, teachers with 5-10 years of work experience, high educational background, previous experience in anti-bias education, had high interests in, perceptions on, necessity and satisfaction for the anti-bias education. As for the reasons for conducting anti-bias education, 'interaction with empathy' scored the highest in answers. As for the aims of the anti-bias education, 'respect within community, role of collaboration' scored the highest in answers. Such results were shown high among the teachers who had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5-10 years of work experience, and had previous experience in anti-bias education. As for the contents of the anti-bias education, 'culture' and 'gender role' contents were perceived as the most important. The higher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was, the longer their work experience was, and those with previous anti-bias education experience, the higher their perceptions on the contents of 'culture' became. The teachers with 5-10 years of work experience,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with previous anti-bias education experience had the higher perceptions on the contents of 'gender role.' As for the role of a teacher, 'interaction with preschooler' wa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The higher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was, the longer their work experience was, and those with previous anti-bias education experience, the higher their perceptions on the interaction role of a teacher became. Regarding the activity subjects, 'family and neighbor' was the most favorite subject by the teachers with 5-10 years of work experience,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previous anti-bias education experience. Second, the analysis result of the current anti-bias education in preschool institutions showed that the most common frequency of the anti-bias education was 'implementation by necessity' and the most common implementation method was 'integrative implementation with other teaching are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y the following variables of the work experience, educational background of teachers, types of institutions and previous experience of the anti-bias education. The anti-bias education was alloted mostly to a 'sharing stories' segment in daily schedule in preschool. 'Visual medium' was used the most as a teaching medium, whic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ork experience of the preschool teachers. 'Manual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was used the most commonly as a reference material, and it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educational background, types of institutions, previous experience of the anti-bias education. Regarding the teacher training, 'no participation yet' answer was the most common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by the teachers' work experience, educational background, types of institutions and previous work experience in anti-bias education. The method of the teacher training for the anti-bias education was mostly 'autonomous training'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teachers' work experience and previous experience with anti-bias education. The most common problem of the teacher training was 'the lack of training opportunity' which also significantly varied by teachers' work experience, educational background, institution types and previous experience in anti-bias education. The most common suggestion for improvement was 'diverse and specific teaching method.' The most common culprit of the lack of anti-bias education was 'the lack of teaching materials and recourses' which also differed significantly by the work experience of the preschool teachers. As for the suggestions for an activation plan, 'encouraging teachers to understand education contents and scope' was emphasized the most, which also differed significantly by work experience, educational background and previous experience in anti-bias education of the teachers. ※ Key Words : Preschool Education, Preschool Teacher, Anti-bias Educa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