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이주 여성의 한국 사회 적응에 있어 문화의 차이로 인한 스트레스를 극복하고 한국인과의 갈등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능력인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은 언어 숙달도 못지않게 중요하다. 이러한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은 문화 및 목표 문화, 그리고 문화 차이에 대한 이해 및 수용 능력, 이문화 상황에서의 실제적인 행동 능력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위해 실시하는 것이 문화간 의사소통 훈련(intercultural communication ...
결혼 이주 여성의 한국 사회 적응에 있어 문화의 차이로 인한 스트레스를 극복하고 한국인과의 갈등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능력인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은 언어 숙달도 못지않게 중요하다. 이러한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은 문화 및 목표 문화, 그리고 문화 차이에 대한 이해 및 수용 능력, 이문화 상황에서의 실제적인 행동 능력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위해 실시하는 것이 문화간 의사소통 훈련(intercultural communication training)이다. 이제 결혼 이주 여성과의 상호작용은 한국인이 접하는 주요 다문화 상황이 되었다. 또한 한국 사회의 새로운 구성원으로서 결혼 이주 여성에게 문화 적응은 중요한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결혼 이주 여성 대상 문화 교육은 그 연구와 시행에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결혼 이주 여성이 한국 문화 속에서 살아가면서 문화간 차이로 인해 주로 겪게 되는 갈등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그 양상은 어떠한가? 둘째, 이러한 갈등 상황을 일으키는 구체적인 한국의 문화적 특성은 무엇인가? 셋째, 결혼 이주 여성과 한국인의 의사소통 갈등 상황을 근거로 문화간 의사소통 훈련을 위해 어떠한 교수요목 및 수업 자료를 설계할 수 있는가? 넷째, 설계한 교수요목을 바탕으로 실제 수업을 시행하였을 때 어떤 효과와 결과가 나타나는가? 이상의 연구 문제를 밝히기 위해 본 연구는 준비 - 설계 - 시행 - 평가의 단계를 거쳤다. 먼저 준비 단계에서는 결혼 이주 여성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결혼 이주 여성과 한국인의 의사소통 시 갈등 상황 및 양상을 살펴본 후 이를 바탕으로 갈등의 원인이 되는 한국 문화 특성을 살펴보았다. 준비 단계에서의 결과는 교수요목 설계 단계에서 주제 선정 및 내용 구성의 근거로 활용하였다. 교수요목 설계 단계는 목표 설정 → 주제 및 상황 선정 → 문화 특성 선정 → 수업 기술(훈련 방법) 선정 → 교재 및 자료 준비 순으로 이루어졌으며 총 6차시의 수업을 설계하였다. 시행 단계에서는 완성된 교수요목을 활용해 6명의 결혼 이주 여성을 대상으로 총 6회의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수업의 전 과정을 비디오 녹화하였다. 평가 단계에서는 수업 시행 자료를 바탕으로 수업 관찰을 통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또한 수업의 결과로서 학습자들이 수업 마지막 단계에서 세운 의사소통 전략을 유형화하여 본 수업을 통한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 여부를 평가하였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거쳐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사회에서 결혼 이주 여성이 주로 의사소통하는 대상은 남편, 시어머니, 자녀, 친족 등의 가족, 주거지와 일터 주변의 이웃, 자녀 학교의 교사 및 학부모, 지역 기관의 한국어 교사와 사회복지사, 낯선 사람 등이다. 또한 결혼 이주 여성과 한국인의 의사소통에서 나타나는 갈등의 양상은 문화 차이로 인한 갈등과 인식 및 계층으로 인한 갈등으로 분류된다. 문화 차이로 인한 갈등은 가치관의 차이로 인한 갈등과 행위 방식의 차이로 인한 갈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갈등 상황은 결혼 이주 여성이 한국 사회에 적응하는 데 방해 요인이 된다. 따라서 실제 현장에서 위와 같은 결혼 이주 여성과 한국인 사이의 의사소통 갈등 양상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훈련 및 교육을 실시하여 결혼 이주 여성의 효과적인 한국 사회 적응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집단주의(정, 우리의식, 가족주의, 부자유친성정, 체면지향성, 간접적 의사소통), 권력 차이(위계의식과 권위주의), 불확실성 회피, 편견과 고정관념 등의 한국 문화 특성은 결혼 이주 여성과 한국인 사이의 의사소통 갈등에 영향을 미치고 갈등을 일으키는 원인이다. 그러므로 결혼 이주 여성 대상 문화 적응 교육 현장에서 이러한 한국의 문화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결혼 이주 여성이 능동적이고 객관적인 자세로 이를 인지, 이해, 수용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마련하고 시행해야 한다. 셋째, 본 연구 결과로서의 교수요목은 결혼 이주 여성과 한국인의 갈등 양상과 한국의 문화 특성을 근거로 결혼 이주 여성 대상 문화간 의사소통 훈련 수업을 위해 설계하였다. 따라서 각 기관에서 결혼 이주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문화적응 훈련 및 한국어 수업의 문화 교육에 활용할 수 있다. 넷째, 결혼 이주 여성은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을 활용하여 갈등을 극복하기 위해 행위 전략과 이해 전략을 사용한다. 행위 전략은 갈등 해결을 위해 특정한 말 혹은 행동을 취하는 전략이며 이해 전략은 상황과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행위를 하지 않기로 선택하는 전략이다. 이러한 전략을 선택하는 근거로는 한국 문화, 자국 문화, 보편 성향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략 유형은 결혼 이주 여성과 한국인의 실제적인 갈등 상황에서 갈등 극복의 방안이 된다. 따라서 결혼이주 여성 대상 문화 적응 교육은 갈등 상황에서의 전략을 소개하고 문화와 문화 차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새로운 전략을 세울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한 문화간 의사소통 훈련을 통해 결혼 이주 여성은 문화간 차이로 인한 갈등 상황과 한국 문화 특성을 이해할 수 있으며,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도모하고 효과적으로 한국 사회에 적응할 수 있다. 또한 지역의 기관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해 결혼 이주 여성 대상 프로그램 설계 시 효율적으로 결혼 이주 여성의 한국 문화 적응을 돕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
결혼 이주 여성의 한국 사회 적응에 있어 문화의 차이로 인한 스트레스를 극복하고 한국인과의 갈등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능력인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은 언어 숙달도 못지않게 중요하다. 이러한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은 문화 및 목표 문화, 그리고 문화 차이에 대한 이해 및 수용 능력, 이문화 상황에서의 실제적인 행동 능력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위해 실시하는 것이 문화간 의사소통 훈련(intercultural communication training)이다. 이제 결혼 이주 여성과의 상호작용은 한국인이 접하는 주요 다문화 상황이 되었다. 또한 한국 사회의 새로운 구성원으로서 결혼 이주 여성에게 문화 적응은 중요한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결혼 이주 여성 대상 문화 교육은 그 연구와 시행에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결혼 이주 여성이 한국 문화 속에서 살아가면서 문화간 차이로 인해 주로 겪게 되는 갈등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그 양상은 어떠한가? 둘째, 이러한 갈등 상황을 일으키는 구체적인 한국의 문화적 특성은 무엇인가? 셋째, 결혼 이주 여성과 한국인의 의사소통 갈등 상황을 근거로 문화간 의사소통 훈련을 위해 어떠한 교수요목 및 수업 자료를 설계할 수 있는가? 넷째, 설계한 교수요목을 바탕으로 실제 수업을 시행하였을 때 어떤 효과와 결과가 나타나는가? 이상의 연구 문제를 밝히기 위해 본 연구는 준비 - 설계 - 시행 - 평가의 단계를 거쳤다. 먼저 준비 단계에서는 결혼 이주 여성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결혼 이주 여성과 한국인의 의사소통 시 갈등 상황 및 양상을 살펴본 후 이를 바탕으로 갈등의 원인이 되는 한국 문화 특성을 살펴보았다. 준비 단계에서의 결과는 교수요목 설계 단계에서 주제 선정 및 내용 구성의 근거로 활용하였다. 교수요목 설계 단계는 목표 설정 → 주제 및 상황 선정 → 문화 특성 선정 → 수업 기술(훈련 방법) 선정 → 교재 및 자료 준비 순으로 이루어졌으며 총 6차시의 수업을 설계하였다. 시행 단계에서는 완성된 교수요목을 활용해 6명의 결혼 이주 여성을 대상으로 총 6회의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수업의 전 과정을 비디오 녹화하였다. 평가 단계에서는 수업 시행 자료를 바탕으로 수업 관찰을 통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또한 수업의 결과로서 학습자들이 수업 마지막 단계에서 세운 의사소통 전략을 유형화하여 본 수업을 통한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 여부를 평가하였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거쳐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사회에서 결혼 이주 여성이 주로 의사소통하는 대상은 남편, 시어머니, 자녀, 친족 등의 가족, 주거지와 일터 주변의 이웃, 자녀 학교의 교사 및 학부모, 지역 기관의 한국어 교사와 사회복지사, 낯선 사람 등이다. 또한 결혼 이주 여성과 한국인의 의사소통에서 나타나는 갈등의 양상은 문화 차이로 인한 갈등과 인식 및 계층으로 인한 갈등으로 분류된다. 문화 차이로 인한 갈등은 가치관의 차이로 인한 갈등과 행위 방식의 차이로 인한 갈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갈등 상황은 결혼 이주 여성이 한국 사회에 적응하는 데 방해 요인이 된다. 따라서 실제 현장에서 위와 같은 결혼 이주 여성과 한국인 사이의 의사소통 갈등 양상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훈련 및 교육을 실시하여 결혼 이주 여성의 효과적인 한국 사회 적응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집단주의(정, 우리의식, 가족주의, 부자유친성정, 체면지향성, 간접적 의사소통), 권력 차이(위계의식과 권위주의), 불확실성 회피, 편견과 고정관념 등의 한국 문화 특성은 결혼 이주 여성과 한국인 사이의 의사소통 갈등에 영향을 미치고 갈등을 일으키는 원인이다. 그러므로 결혼 이주 여성 대상 문화 적응 교육 현장에서 이러한 한국의 문화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결혼 이주 여성이 능동적이고 객관적인 자세로 이를 인지, 이해, 수용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마련하고 시행해야 한다. 셋째, 본 연구 결과로서의 교수요목은 결혼 이주 여성과 한국인의 갈등 양상과 한국의 문화 특성을 근거로 결혼 이주 여성 대상 문화간 의사소통 훈련 수업을 위해 설계하였다. 따라서 각 기관에서 결혼 이주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문화적응 훈련 및 한국어 수업의 문화 교육에 활용할 수 있다. 넷째, 결혼 이주 여성은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을 활용하여 갈등을 극복하기 위해 행위 전략과 이해 전략을 사용한다. 행위 전략은 갈등 해결을 위해 특정한 말 혹은 행동을 취하는 전략이며 이해 전략은 상황과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행위를 하지 않기로 선택하는 전략이다. 이러한 전략을 선택하는 근거로는 한국 문화, 자국 문화, 보편 성향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략 유형은 결혼 이주 여성과 한국인의 실제적인 갈등 상황에서 갈등 극복의 방안이 된다. 따라서 결혼이주 여성 대상 문화 적응 교육은 갈등 상황에서의 전략을 소개하고 문화와 문화 차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새로운 전략을 세울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한 문화간 의사소통 훈련을 통해 결혼 이주 여성은 문화간 차이로 인한 갈등 상황과 한국 문화 특성을 이해할 수 있으며,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도모하고 효과적으로 한국 사회에 적응할 수 있다. 또한 지역의 기관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해 결혼 이주 여성 대상 프로그램 설계 시 효율적으로 결혼 이주 여성의 한국 문화 적응을 돕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
Keyword
#결혼 이주 여성 문화간 의사소통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 문화간 의사소통 훈련 언어‧문화 통합 수업
학위논문 정보
저자
심혜선
학위수여기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전공
지도교수
강승혜
발행연도
2010
총페이지
ix, 119 p.
키워드
결혼 이주 여성 문화간 의사소통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 문화간 의사소통 훈련 언어‧문화 통합 수업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