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발전의 기반은 초․중등교육에서 다져진다고 볼 수 있으며, 세계 각국은 이러한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학생들의 학업성취를 높이기 위하여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미국의 경우 낙제학생 방지법(No Child Left Behind Act)을 제정하고 국가교육향상평가(NAEP)를 통하여 학생들의 학력을 주기적으로 측정하며 The Nation's Report Card 홈페이지를 통해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영국도 교육개혁법(Education Reform Act)과 함께 국가교육과정을 도입...
국가 발전의 기반은 초․중등교육에서 다져진다고 볼 수 있으며, 세계 각국은 이러한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학생들의 학업성취를 높이기 위하여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미국의 경우 낙제학생 방지법(No Child Left Behind Act)을 제정하고 국가교육향상평가(NAEP)를 통하여 학생들의 학력을 주기적으로 측정하며 The Nation's Report Card 홈페이지를 통해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영국도 교육개혁법(Education Reform Act)과 함께 국가교육과정을 도입하고 국가교육과정평가(NCA)를 통하여 학생들이 각 단계에서 도달해야 할 기대수준에 도달하였는지를 점검하고 있다. 이웃나라인 일본의 경우에는 과도한 경쟁을 부추긴다는 이유로 반대에 부딪혀 실시해오던 국가단위의 학력평가를 중단한 바 있으나,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의 국제 비교 연구에서 일본 학생들의 학력 저하가 문제가 되면서 다시 2007년부터 전국 학력․학습상황 조사를 매년 실시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2000년부터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표집으로 실시하기 시작하였으며, 2003년에는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변화 추이를 살펴볼 수 있도록 기준을 설정하였고, 2008년부터는 평가의 대상을 전국의 해당학년 모든 학생으로 확대하였다. 학생들의 학력을 높이려는 이러한 국가의 노력은 교육의 주체라고 할 수 있는 학생과 교사, 그리고 학부모의 합의가 이루어졌을 때 그 성과를 가져온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전수평가에 대한 반대의 움직임이 있으며,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는 학생들은 무성의하게 시험에 응하는 등의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교사와 학생, 학부모가 갖고 있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의견을 알아보고 개선점을 모색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에서 교사들은 상당수가 전수로 시행하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반대하고 있지만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문항이 학생들의 학교 영어 학습 성취 정도를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부모는 대부분이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시행하는 것에 반대하지 않으며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자녀의 영어 학습을 보충할 의사가 있음을 표현하였다. 학생들은 학교의 영어수업과 꾸준한 예습․복습 활동으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좋은 성적을 얻을 수 있다고 답하였으나 평가의 유형이 교과서와 다르다는 점을 지적하였고, 몇몇 학생들은 평가 시행에 대하여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는 의견을 강력하게 피력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 부분에서는 외국의 사례연구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현재 전수평가로 실시하고 있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의 활용도를 높이는 한편 교사와 학생, 학부모의 지지를 받으면서 평가를 시행할 수 있기 위하여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시행과 활용 과정에서 개선해야 할 점들을 제시하였다.
국가 발전의 기반은 초․중등교육에서 다져진다고 볼 수 있으며, 세계 각국은 이러한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학생들의 학업성취를 높이기 위하여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미국의 경우 낙제학생 방지법(No Child Left Behind Act)을 제정하고 국가교육향상평가(NAEP)를 통하여 학생들의 학력을 주기적으로 측정하며 The Nation's Report Card 홈페이지를 통해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영국도 교육개혁법(Education Reform Act)과 함께 국가교육과정을 도입하고 국가교육과정평가(NCA)를 통하여 학생들이 각 단계에서 도달해야 할 기대수준에 도달하였는지를 점검하고 있다. 이웃나라인 일본의 경우에는 과도한 경쟁을 부추긴다는 이유로 반대에 부딪혀 실시해오던 국가단위의 학력평가를 중단한 바 있으나,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의 국제 비교 연구에서 일본 학생들의 학력 저하가 문제가 되면서 다시 2007년부터 전국 학력․학습상황 조사를 매년 실시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2000년부터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표집으로 실시하기 시작하였으며, 2003년에는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변화 추이를 살펴볼 수 있도록 기준을 설정하였고, 2008년부터는 평가의 대상을 전국의 해당학년 모든 학생으로 확대하였다. 학생들의 학력을 높이려는 이러한 국가의 노력은 교육의 주체라고 할 수 있는 학생과 교사, 그리고 학부모의 합의가 이루어졌을 때 그 성과를 가져온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전수평가에 대한 반대의 움직임이 있으며,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는 학생들은 무성의하게 시험에 응하는 등의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교사와 학생, 학부모가 갖고 있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의견을 알아보고 개선점을 모색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에서 교사들은 상당수가 전수로 시행하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반대하고 있지만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문항이 학생들의 학교 영어 학습 성취 정도를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부모는 대부분이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시행하는 것에 반대하지 않으며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자녀의 영어 학습을 보충할 의사가 있음을 표현하였다. 학생들은 학교의 영어수업과 꾸준한 예습․복습 활동으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좋은 성적을 얻을 수 있다고 답하였으나 평가의 유형이 교과서와 다르다는 점을 지적하였고, 몇몇 학생들은 평가 시행에 대하여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는 의견을 강력하게 피력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 부분에서는 외국의 사례연구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현재 전수평가로 실시하고 있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의 활용도를 높이는 한편 교사와 학생, 학부모의 지지를 받으면서 평가를 시행할 수 있기 위하여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시행과 활용 과정에서 개선해야 할 점들을 제시하였다.
National development has deep relationship with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Each country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education and tries to do their best to improve their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Korea,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has been administered...
National development has deep relationship with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Each country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education and tries to do their best to improve their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Korea,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has been administered by the sampling since 2000 and test takers have expanded from 2008 so that now all 3rd graders in middle school must take the NAEA. However, some teachers said they were against the NAEA, and I've heard that many students didn't know why they took it. This study aims to survey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opinions about the NAEA, and to improve the implemen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results for their support. I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 suggested some things to be improved, which are based on various case studies about national assessments in other countries and the previously mentioned survey. First, it is necessary to make clear what is the aim of the NAEA: increasing students' achievement or reinforcing educational accountability. Second, the report card of the NAEA must include detailed information, such as instructional factors related to each question and what is needed for supplementary study. Third, the focus of the 4 key English skills must be balanced against one another, and the type of the test the students encounter must be changed so they may be familiar with it. Fourth, it is necessary to give supplementary teaching to sixth grade elementary students who are lower level in English during the vacation prior to entering middle school. Fifth, what is important about enhancing students' academic abilities isn't making them go to academies or giving them more after school programs, but instead focusing on the regular curriculum and offering them a proper environment for their own study. It is also necessary to provide an well-organized on-line support system for the NAEA. Last of all, the educational policy of the government at a national level must take into account less motivated students. The NAEA will be more supported by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by taking these suggestions into account.
National development has deep relationship with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Each country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education and tries to do their best to improve their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Korea,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has been administered by the sampling since 2000 and test takers have expanded from 2008 so that now all 3rd graders in middle school must take the NAEA. However, some teachers said they were against the NAEA, and I've heard that many students didn't know why they took it. This study aims to survey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opinions about the NAEA, and to improve the implemen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results for their support. I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 suggested some things to be improved, which are based on various case studies about national assessments in other countries and the previously mentioned survey. First, it is necessary to make clear what is the aim of the NAEA: increasing students' achievement or reinforcing educational accountability. Second, the report card of the NAEA must include detailed information, such as instructional factors related to each question and what is needed for supplementary study. Third, the focus of the 4 key English skills must be balanced against one another, and the type of the test the students encounter must be changed so they may be familiar with it. Fourth, it is necessary to give supplementary teaching to sixth grade elementary students who are lower level in English during the vacation prior to entering middle school. Fifth, what is important about enhancing students' academic abilities isn't making them go to academies or giving them more after school programs, but instead focusing on the regular curriculum and offering them a proper environment for their own study. It is also necessary to provide an well-organized on-line support system for the NAEA. Last of all, the educational policy of the government at a national level must take into account less motivated students. The NAEA will be more supported by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by taking these suggestions into account.
Keyword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영어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