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인간은 어떠한 조형작품을 보았을 때 그 속에서 질서나 규칙성을 찾으려 한다. 다시 말하자면 하나의 작품에서 일관된 형태나 통일성을 발견할 수 없을 때 그것을 외면하거나 무시해 버리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만약 인간이 시각적 대상을 지각하는 과정에서의 인지구조와 지각원리에 대하여 논리적으로 설명이 가능하다면, 그것은 어떠한 조형을 창작하는데 있어 그 효율성을 무한히 증폭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이유로 창작활동을 하는 디자이너는 작품에서 통일성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해야만 하는데,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의 하나로 연구자는 형태심리학의 ‘게슈탈트 이론’을 제시하였다. ...
일반적으로 인간은 어떠한 조형작품을 보았을 때 그 속에서 질서나 규칙성을 찾으려 한다. 다시 말하자면 하나의 작품에서 일관된 형태나 통일성을 발견할 수 없을 때 그것을 외면하거나 무시해 버리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만약 인간이 시각적 대상을 지각하는 과정에서의 인지구조와 지각원리에 대하여 논리적으로 설명이 가능하다면, 그것은 어떠한 조형을 창작하는데 있어 그 효율성을 무한히 증폭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이유로 창작활동을 하는 디자이너는 작품에서 통일성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해야만 하는데,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의 하나로 연구자는 형태심리학의 ‘게슈탈트 이론’을 제시하였다. 게슈탈트 이론은 예술의 어느 분야에 종사하든 간에 그 실기와 이론사이에 원활한 의사소통의 도구적 구실을 수행하는데 충분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본 연구는 게슈탈트 그루핑 이론에 의한 시지각 반응에 대하여 단순성, 주목성, 연상성 등으로만 분석하던 기존 연구의 체계를 확장하여 각각의 그루핑 현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시지각 효과를 수사학적 매트릭스와 유형별 실험모형을 제작, 활용하여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대한 구체적인 형태와 유발심리를 밝히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그루핑 원리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효과 분석을 위해 실험모형을 제작하였으며, 그것을 수사학적 분석 방법을 통해 구체화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착시적인 디자인 조형을 통해 유발되는 비언어형태의 심리유형들을 분석하여 구체적인 감성적 언어와 커뮤니케이션 요인(커뮤니케이션 효과 분석의 식별자)으로 정리하고, 이 개별적인 요소들이 작품전체의 이미지와 메시지 전달효과에 미치는 영향과 상호 연관성에 대해 실험 분석하였다. 실험 분석을 통해 본 게슈탈트 그루핑 원리의 커뮤니케이션 효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그루핑 요인이 유발하는 커뮤니케이션 효과는 디자인 수사학의 매트릭스와 식별자를 통해 체계적인 분석이 가능하다. 아울러 게슈탈트 그루핑 원리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지각유형별로 체계화하면 주목성이 강한 조형작업의 체계화도 가능할 것이다. 둘째, 그루핑 요인별 커뮤니케이션 효과는 특정 상징이나 일반화된 이미지의 사용과는 다르게 그 내용이나 의미전달이 다원적이고 복합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커뮤니케이션 오류를 범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런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한 체계적인 활용방안이 요구된다. 셋째, 근접성, 유사성, 연속성, 폐쇄성 등의 그루핑 요인들은 작품 속에서 다중적인 형태로 표현되기 때문에 개별적 요인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종합적인 분석,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게슈탈트 그루핑 원리는 하나의 독립된 형태나 상징에 대한 의미에 국한되는 내용이 아니다. 그 원리의 복합적인 이해와 함께 인간의 지각심리와 연관된 다양성을 포함하고 있다. 이것은 인간이 눈을 통해 정보를 수용하고 두뇌를 통해 인식하는 ‘형태인지심리’ 과정에서의 원리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이미지를 생성하고 감각하는 과정에서의 조형 원리의 기준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디자인 조형 원리로서 게슈탈트 그루핑 법칙은 우수한 기능과 개발의 가능성을 무한히 가지고 있으며 이것을 디자인 조형의 표현 요소로 활용한다면, 즉시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원하는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고 차별화된 커뮤니케이션 표현의 방법이 될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디자인 조형이 요구되는 다양한 분야에서 인간의 지각유형에 근거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방법의 하나로 활용되기를 기대하며 시각적 한계와 다양성을 기반으로 하는 많은 커뮤니케이션 효과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기를 희망한다.
일반적으로 인간은 어떠한 조형작품을 보았을 때 그 속에서 질서나 규칙성을 찾으려 한다. 다시 말하자면 하나의 작품에서 일관된 형태나 통일성을 발견할 수 없을 때 그것을 외면하거나 무시해 버리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만약 인간이 시각적 대상을 지각하는 과정에서의 인지구조와 지각원리에 대하여 논리적으로 설명이 가능하다면, 그것은 어떠한 조형을 창작하는데 있어 그 효율성을 무한히 증폭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이유로 창작활동을 하는 디자이너는 작품에서 통일성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해야만 하는데,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의 하나로 연구자는 형태심리학의 ‘게슈탈트 이론’을 제시하였다. 게슈탈트 이론은 예술의 어느 분야에 종사하든 간에 그 실기와 이론사이에 원활한 의사소통의 도구적 구실을 수행하는데 충분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본 연구는 게슈탈트 그루핑 이론에 의한 시지각 반응에 대하여 단순성, 주목성, 연상성 등으로만 분석하던 기존 연구의 체계를 확장하여 각각의 그루핑 현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시지각 효과를 수사학적 매트릭스와 유형별 실험모형을 제작, 활용하여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대한 구체적인 형태와 유발심리를 밝히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그루핑 원리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효과 분석을 위해 실험모형을 제작하였으며, 그것을 수사학적 분석 방법을 통해 구체화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착시적인 디자인 조형을 통해 유발되는 비언어형태의 심리유형들을 분석하여 구체적인 감성적 언어와 커뮤니케이션 요인(커뮤니케이션 효과 분석의 식별자)으로 정리하고, 이 개별적인 요소들이 작품전체의 이미지와 메시지 전달효과에 미치는 영향과 상호 연관성에 대해 실험 분석하였다. 실험 분석을 통해 본 게슈탈트 그루핑 원리의 커뮤니케이션 효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그루핑 요인이 유발하는 커뮤니케이션 효과는 디자인 수사학의 매트릭스와 식별자를 통해 체계적인 분석이 가능하다. 아울러 게슈탈트 그루핑 원리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지각유형별로 체계화하면 주목성이 강한 조형작업의 체계화도 가능할 것이다. 둘째, 그루핑 요인별 커뮤니케이션 효과는 특정 상징이나 일반화된 이미지의 사용과는 다르게 그 내용이나 의미전달이 다원적이고 복합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커뮤니케이션 오류를 범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런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한 체계적인 활용방안이 요구된다. 셋째, 근접성, 유사성, 연속성, 폐쇄성 등의 그루핑 요인들은 작품 속에서 다중적인 형태로 표현되기 때문에 개별적 요인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종합적인 분석,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게슈탈트 그루핑 원리는 하나의 독립된 형태나 상징에 대한 의미에 국한되는 내용이 아니다. 그 원리의 복합적인 이해와 함께 인간의 지각심리와 연관된 다양성을 포함하고 있다. 이것은 인간이 눈을 통해 정보를 수용하고 두뇌를 통해 인식하는 ‘형태인지심리’ 과정에서의 원리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이미지를 생성하고 감각하는 과정에서의 조형 원리의 기준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디자인 조형 원리로서 게슈탈트 그루핑 법칙은 우수한 기능과 개발의 가능성을 무한히 가지고 있으며 이것을 디자인 조형의 표현 요소로 활용한다면, 즉시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원하는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고 차별화된 커뮤니케이션 표현의 방법이 될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디자인 조형이 요구되는 다양한 분야에서 인간의 지각유형에 근거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방법의 하나로 활용되기를 기대하며 시각적 한계와 다양성을 기반으로 하는 많은 커뮤니케이션 효과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기를 희망한다.
Humans generally do not wish to see disorder in any kinds of a model piece. It is clearer to say that humans have a tendency to just avoid or ignore visual objects when they cannot find any consistency or unity in pieces. If we could demonstrate about human's visual perceptions towards things more l...
Humans generally do not wish to see disorder in any kinds of a model piece. It is clearer to say that humans have a tendency to just avoid or ignore visual objects when they cannot find any consistency or unity in pieces. If we could demonstrate about human's visual perceptions towards things more logically, we could have greatly expanded that effectiveness on producing a simulation model. With such reasons, designers in creative working should provide a clue about the piece's unity to an audience. As a way of solving such problem, the researcher suggests a "Gestalt Theory." The Gestalt Theory has been appraised as a method that allows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real practice and theory in any art fields. This research attempts to demonstrate the detailed form and the induction mentality of the communication effect. By expanding on a previous research system that only focused on simplicity, attention and association, this research studied about the visual perception effect caused by a grouping phenomenon through applying rhetorical matrix and different types of simulation models. For this experiment, the research team manufactured and applied rhetorical matrix and different types of simulation models to analyze the communication effects focused on grouping principle, and also worked to materialize them using rhetorical analysis method. Furthermore, by analyzing non-verbal form of psychological types induced by illusional design simulation model, this research organized the results into a materialized perceptional language and communication factor(an identifier of a communication effect). Then it further investigated on the co-relationship of individual factors and the effect of those individual factors on the whole piece's image and the message transfer. The communication effects found through Gestalt Grouping Principle experiment are following. Firstly, the communication effect induced by grouping factor can be systematically analyzed through using design rhetorical matrix and identifier. Moreover, if the communication effects of Gestalt Grouping Principle are systematized by perceptional types, it will be possible to systematize a strongly attentive simulation model works too. Secondly, as the communication effect of grouping factors, transferring its content or meanings in a very complex and pluralistic way, is different from the application of specially symbolized and generalized images, it can possibly lead to communication error. Therefore, a more systematized utilization planning is required to minimize such error. Thirdly, as those grouping factors such as proximity, similarity, continuity and obstructiveness are represented in a multiple forms in a piece, an individual investigation plus an integrative analysis appraisal is required. As Gestalt Grouping Principle is not a content that is limited to an independent form or a special symbolization, it contains its complex comprehension and varieties connected to human's perceptional mentality. This understanding is based on 'recognition of shapes mentality' that suggests an idea about humans accepting information through eyes and recognizing information through brains. Thus, as a design model principle, Gestalt Grouping Principle with excellent functions and a boundless possibilities of further development, can be a model principle's theory on the process of producing and feeling images. When this principle is applied as a factor of a design model's representation, this will definitely satisfy a society's need of an instant communication and become a method of a distinguished communication representation. Finally, the researcher hopes that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which has its base on human's perception type, will be applied as one of the systematized and effective communication method in varieties of fields that require design models. Furthermore, it is greatly expected to have more researches about communication effect that has its base on visual limits and varieties continually on progress.
Humans generally do not wish to see disorder in any kinds of a model piece. It is clearer to say that humans have a tendency to just avoid or ignore visual objects when they cannot find any consistency or unity in pieces. If we could demonstrate about human's visual perceptions towards things more logically, we could have greatly expanded that effectiveness on producing a simulation model. With such reasons, designers in creative working should provide a clue about the piece's unity to an audience. As a way of solving such problem, the researcher suggests a "Gestalt Theory." The Gestalt Theory has been appraised as a method that allows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real practice and theory in any art fields. This research attempts to demonstrate the detailed form and the induction mentality of the communication effect. By expanding on a previous research system that only focused on simplicity, attention and association, this research studied about the visual perception effect caused by a grouping phenomenon through applying rhetorical matrix and different types of simulation models. For this experiment, the research team manufactured and applied rhetorical matrix and different types of simulation models to analyze the communication effects focused on grouping principle, and also worked to materialize them using rhetorical analysis method. Furthermore, by analyzing non-verbal form of psychological types induced by illusional design simulation model, this research organized the results into a materialized perceptional language and communication factor(an identifier of a communication effect). Then it further investigated on the co-relationship of individual factors and the effect of those individual factors on the whole piece's image and the message transfer. The communication effects found through Gestalt Grouping Principle experiment are following. Firstly, the communication effect induced by grouping factor can be systematically analyzed through using design rhetorical matrix and identifier. Moreover, if the communication effects of Gestalt Grouping Principle are systematized by perceptional types, it will be possible to systematize a strongly attentive simulation model works too. Secondly, as the communication effect of grouping factors, transferring its content or meanings in a very complex and pluralistic way, is different from the application of specially symbolized and generalized images, it can possibly lead to communication error. Therefore, a more systematized utilization planning is required to minimize such error. Thirdly, as those grouping factors such as proximity, similarity, continuity and obstructiveness are represented in a multiple forms in a piece, an individual investigation plus an integrative analysis appraisal is required. As Gestalt Grouping Principle is not a content that is limited to an independent form or a special symbolization, it contains its complex comprehension and varieties connected to human's perceptional mentality. This understanding is based on 'recognition of shapes mentality' that suggests an idea about humans accepting information through eyes and recognizing information through brains. Thus, as a design model principle, Gestalt Grouping Principle with excellent functions and a boundless possibilities of further development, can be a model principle's theory on the process of producing and feeling images. When this principle is applied as a factor of a design model's representation, this will definitely satisfy a society's need of an instant communication and become a method of a distinguished communication representation. Finally, the researcher hopes that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which has its base on human's perception type, will be applied as one of the systematized and effective communication method in varieties of fields that require design models. Furthermore, it is greatly expected to have more researches about communication effect that has its base on visual limits and varieties continually on progres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