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진정법을 이용하여 치과 치료를 받은 소아 환자의 진정 후 행동반응을 경험한 보호자의 인식도 및 만족도 변화를 통해 보호자의 진정법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진정법을 이용한 치과치료에 대한 보호자들의 높은 만족도와 능동적인 협조를 이끌어 내는 것이 목적이다. 2011년 3월부터 2011년 5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 소아치과에서 진정법을 이용한 치과치료를 받은 아동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와 같은 기술통계, 빈도분석, Wilcoxon Signed Ranks test, Fisher's Exact test, Mann-Whitney test, Kruskal-Wallis test를 실행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정법 불안 인지도의 시행 전, 시행 후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불안 인지도가 진정법 시행 전보다 시행 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부정반응 환아는 불안 인지도에서 많이 울음(p=0.004), 짜증 냄(p=0.005), 시무룩함(p=0.013), 부작용 유무(p=0.020)의 경우 모두 시행 전보다 시행 후의 불안 인지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정법에 대한 안전성 인식수준의 진정법 시행 전, 시행 후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진정법 시행 전(2.52) 시행 후(2.92)간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셋째, 진정법이 필요한 이유의 진정법 시행 전 시행 후간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진정법 시행 전 필요이유는 자녀가 진료를 거부해서(42.0%) 나타났으며, 시행 후 필요이유는 자녀의 공포감 감소(48.0%) 나타났다. 넷째, 진정법 향후 이용정도에 대한 진정법 시행 전, 시행 후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진정법 시행 전 주위추천 여부는 예(78.0%), 아니오(22.0%)로 나타났으며, 진정법 시행 후 주위추천 여부는 예(92.0%), 아니오(8.0%)로 나타났다. 다섯째, 만족도 여부에 따른 불안 인지도에서 진정법 시행 전, 시행 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진정법 시행 전에서는 자다깨다 반복, 잠을 못잠, 깰때 괴로움, 많이 울움, 시무룩함, 부작용 유무의 불안 인지도에 따라 만족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진정법 시행 후에서는 깰때 괴로움, 많이 울움, 시무룩함에서 만족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여섯째, 진정법 시행 전, 시행 후 안전성과 필요성 인식수준에 따른 만족도 차이를 살펴 본 결과 시행 전에는 안정성(불안, 안전)에 따른 만족도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진정법 시행 후에는 안정성(불안, 안전)에 따른 만족도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본 연구는 진정법을 이용하여 치과 치료를 받은 소아 환자의 진정 후 행동반응을 경험한 보호자의 인식도 및 만족도 변화를 통해 보호자의 진정법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진정법을 이용한 치과치료에 대한 보호자들의 높은 만족도와 능동적인 협조를 이끌어 내는 것이 목적이다. 2011년 3월부터 2011년 5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 소아치과에서 진정법을 이용한 치과치료를 받은 아동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와 같은 기술통계, 빈도분석, Wilcoxon Signed Ranks test, Fisher's Exact test, Mann-Whitney test, Kruskal-Wallis test를 실행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정법 불안 인지도의 시행 전, 시행 후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불안 인지도가 진정법 시행 전보다 시행 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부정반응 환아는 불안 인지도에서 많이 울음(p=0.004), 짜증 냄(p=0.005), 시무룩함(p=0.013), 부작용 유무(p=0.020)의 경우 모두 시행 전보다 시행 후의 불안 인지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정법에 대한 안전성 인식수준의 진정법 시행 전, 시행 후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진정법 시행 전(2.52) 시행 후(2.92)간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셋째, 진정법이 필요한 이유의 진정법 시행 전 시행 후간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진정법 시행 전 필요이유는 자녀가 진료를 거부해서(42.0%) 나타났으며, 시행 후 필요이유는 자녀의 공포감 감소(48.0%) 나타났다. 넷째, 진정법 향후 이용정도에 대한 진정법 시행 전, 시행 후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진정법 시행 전 주위추천 여부는 예(78.0%), 아니오(22.0%)로 나타났으며, 진정법 시행 후 주위추천 여부는 예(92.0%), 아니오(8.0%)로 나타났다. 다섯째, 만족도 여부에 따른 불안 인지도에서 진정법 시행 전, 시행 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진정법 시행 전에서는 자다깨다 반복, 잠을 못잠, 깰때 괴로움, 많이 울움, 시무룩함, 부작용 유무의 불안 인지도에 따라 만족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진정법 시행 후에서는 깰때 괴로움, 많이 울움, 시무룩함에서 만족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여섯째, 진정법 시행 전, 시행 후 안전성과 필요성 인식수준에 따른 만족도 차이를 살펴 본 결과 시행 전에는 안정성(불안, 안전)에 따른 만족도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진정법 시행 후에는 안정성(불안, 안전)에 따른 만족도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perception and demands of guardians who have experienced the behavior and reaction of a child patient who had dental treatment using sedation method, and ultimately bring out high satisfaction and cooperation from the guardians for dental treatment u...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perception and demands of guardians who have experienced the behavior and reaction of a child patient who had dental treatment using sedation method, and ultimately bring out high satisfaction and cooperation from the guardians for dental treatment using sedation. From March to May 2011, the survey was conducted at the children’s dentistry at Ehwa Wome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with guardians of children who were treated with sedation metho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as well as frequency analysis, Wilcoxon Signed Ranks test, Fisher's Exact test, Mann-Whitney test, and Kruskal-Wallis tes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05) in anxiety awareness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sedation method. In all cases, the anxiety awareness was reduced after the method in terms of crying (p=0.004), irritation (p=0.005), sulkiness (p=0.013), and presence of side effect (p=0.020) of children with negative reaction. Second, as for the perception of safety level of sedation metho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05) between before (2.52) and after (2.92) the sedation method.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sedation method in terms of the necessity of the method. Before the performance of sedation method, the guardians said it was because the children refused treatment (42.0%) and after, it was to reduce the children’s fear (48.0%). Fourth, as for the use of sedation method afterward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05)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performance. Before the performance, when asked whether they will recommend it to others, 78 percent answered yes and 22 percent no, whereas, after, 92 percent said yes and 8 percent no. Fifth, before the performance of the method, satisfaction level depnded (p<0.05) on the anxiety awareness interms of repetition of sleeping and waking, being incapable of falling asleep, difficulty with waking, excessive crying, sulking, and presence of side effects. However, after the sedation method,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level (p<0.05) depended on difficulty with waking, excessive crying, and sulking. Sixth, both before and after the performanc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05) in satisfaction level depending on the safety (anxiety, safety).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perception and demands of guardians who have experienced the behavior and reaction of a child patient who had dental treatment using sedation method, and ultimately bring out high satisfaction and cooperation from the guardians for dental treatment using sedation. From March to May 2011, the survey was conducted at the children’s dentistry at Ehwa Wome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with guardians of children who were treated with sedation metho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as well as frequency analysis, Wilcoxon Signed Ranks test, Fisher's Exact test, Mann-Whitney test, and Kruskal-Wallis tes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05) in anxiety awareness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sedation method. In all cases, the anxiety awareness was reduced after the method in terms of crying (p=0.004), irritation (p=0.005), sulkiness (p=0.013), and presence of side effect (p=0.020) of children with negative reaction. Second, as for the perception of safety level of sedation metho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05) between before (2.52) and after (2.92) the sedation method.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sedation method in terms of the necessity of the method. Before the performance of sedation method, the guardians said it was because the children refused treatment (42.0%) and after, it was to reduce the children’s fear (48.0%). Fourth, as for the use of sedation method afterward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05)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performance. Before the performance, when asked whether they will recommend it to others, 78 percent answered yes and 22 percent no, whereas, after, 92 percent said yes and 8 percent no. Fifth, before the performance of the method, satisfaction level depnded (p<0.05) on the anxiety awareness interms of repetition of sleeping and waking, being incapable of falling asleep, difficulty with waking, excessive crying, sulking, and presence of side effects. However, after the sedation method,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level (p<0.05) depended on difficulty with waking, excessive crying, and sulking. Sixth, both before and after the performanc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05) in satisfaction level depending on the safety (anxiety, safet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