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조직문화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aycare Center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Emo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s and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ir Job Satisfaction원문보기
연구의 목적은 교사가 지각한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어린이집 조직문화가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바람직한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과 조직문화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은 어떠하며,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한 어린이집의 조직문화는 어떠하며,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조직문화가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의 366명의 교사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교사가 지각한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 어린이집의 조직문화, 그리고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세 가지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원장의 감성리더십을 측정하기 위해서 이미라(2007)의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어린이집의 조직문화를 측정하기 위해 서영란(2006)의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정훈희(2004)가 제작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PASW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원장 감성리더십과 조직문화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평균과 ...
연구의 목적은 교사가 지각한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어린이집 조직문화가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바람직한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과 조직문화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은 어떠하며,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한 어린이집의 조직문화는 어떠하며,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조직문화가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의 366명의 교사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교사가 지각한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 어린이집의 조직문화, 그리고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세 가지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원장의 감성리더십을 측정하기 위해서 이미라(2007)의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어린이집의 조직문화를 측정하기 위해 서영란(2006)의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정훈희(2004)가 제작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PASW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원장 감성리더십과 조직문화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 하였으며, 배경변인에 따라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조직문화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절차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에 대한 지각 정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교사가 지각한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은 하위 변인 중 원장의 개인역량을 더 높게 지각하였으며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한 조직문화에 대한 지각 정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조직문화의 유형 중 집단적 문화를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어린이집 조직문화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재직기관 유형, 경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다른 변인들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교사가 지각한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조직문화가 교사의 직무만족도 전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교사의 직무만족도 전체에 제일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조직문화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 하위변인과 조직문화의 하위변인이 교사의 직무만족도 전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어린이집 원장의 사회적 역량이 직무만족도 전체에 제일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조직문화의 하위변인 중 집단적 문화, 혁신적 문화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다른 교육 기관에 비해 규모가 작고 원장은 물론 조직 구성원의 대부분이 여성인 어린이집이라는 기관에서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조직문화가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라는 사실을 입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을 높일 수 있는 원장교육과 함께 리더십, 조직관리, 인간관계론 등의 교육내용을 포함한 프로그램 개발과 함께 바람직하고 긍정적인 조직문화를 형성하여 교사가 자신의 직무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최선의 지원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연구의 목적은 교사가 지각한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어린이집 조직문화가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바람직한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과 조직문화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은 어떠하며,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한 어린이집의 조직문화는 어떠하며,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조직문화가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의 366명의 교사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교사가 지각한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 어린이집의 조직문화, 그리고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세 가지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원장의 감성리더십을 측정하기 위해서 이미라(2007)의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어린이집의 조직문화를 측정하기 위해 서영란(2006)의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정훈희(2004)가 제작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PASW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원장 감성리더십과 조직문화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 하였으며, 배경변인에 따라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조직문화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절차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에 대한 지각 정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교사가 지각한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은 하위 변인 중 원장의 개인역량을 더 높게 지각하였으며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한 조직문화에 대한 지각 정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조직문화의 유형 중 집단적 문화를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어린이집 조직문화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재직기관 유형, 경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다른 변인들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교사가 지각한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조직문화가 교사의 직무만족도 전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교사의 직무만족도 전체에 제일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조직문화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 하위변인과 조직문화의 하위변인이 교사의 직무만족도 전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어린이집 원장의 사회적 역량이 직무만족도 전체에 제일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조직문화의 하위변인 중 집단적 문화, 혁신적 문화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다른 교육 기관에 비해 규모가 작고 원장은 물론 조직 구성원의 대부분이 여성인 어린이집이라는 기관에서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조직문화가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라는 사실을 입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을 높일 수 있는 원장교육과 함께 리더십, 조직관리, 인간관계론 등의 교육내용을 포함한 프로그램 개발과 함께 바람직하고 긍정적인 조직문화를 형성하여 교사가 자신의 직무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최선의 지원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daycare center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emo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s and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ir job satisfaction in a bid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the ideal leadership of daycare center principals and the creation of 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daycare center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emo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s and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ir job satisfaction in a bid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the ideal leadership of daycare center principals and the creation of an ideal organizational culture.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is the emotional leadership of daycare center principals perceived by teachers by their background variables? 2. What is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daycare centers perceived by teachers by their background variables? 3. How do the emotional leadership of daycare center principals perceived by teachers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culture affect their job satisfac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66 teachers in daycare centers located in the city of Busan.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to assess their perception of the emo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s, their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respectively were Lee Mi-ra(2007)'s questionnaire, Seo Young-ran(2006)'s questionnaire and Jung Hoon-hee(2004)'s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tatistical package PASW 18.0.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obtained to see whether their background variables made any differences to their perception on the emo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s and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dependent-sample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tilized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their background variables. Finally, a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made to grasp the impact of the emo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s and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ir job satisfac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ether there were any gaps in perceived emo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s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variables was checked, and it's found that they put high value on the personal capabilities of the principal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at aspect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variables. Second, whether there were any gaps in perceived organizational culture was analyzed, and it's found that they felt a collective culture was prevailing among different sorts of organizational cultures. Whether their background variables made any differences to perceived organizational culture was investigated,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place and career. But the other variables made no significant differences to that. Third, as for the influence of perceived emo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s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culture on overall job satisfaction, the emo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s exerted the largest influence on overall job satisfaction, followed by organizational culture. As a result of analyzing how the subvariables of the emo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s and the subvariables of organizational culture affected their overall job satisfaction, the social capabilities of the principals had the greatest impact on their overall job satisfaction, followed by collective culture and innovative culture, which were the subvariables of organizational cultu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findings proved that the emo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s and organizational culture were two major variables to affect the job satisfaction of the teachers in the daycare centers that were smaller in size than any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 and whose organizational members were mostly female. Therefore daycare center principals should be educated to improve their emotional leadership, and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about leadership,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hould be developed. Besides, a positive and ideal organizational culture should be created to provide enough assistance for teachers to show what they can d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daycare center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emo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s and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ir job satisfaction in a bid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the ideal leadership of daycare center principals and the creation of an ideal organizational culture.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is the emotional leadership of daycare center principals perceived by teachers by their background variables? 2. What is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daycare centers perceived by teachers by their background variables? 3. How do the emotional leadership of daycare center principals perceived by teachers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culture affect their job satisfac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66 teachers in daycare centers located in the city of Busan.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to assess their perception of the emo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s, their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respectively were Lee Mi-ra(2007)'s questionnaire, Seo Young-ran(2006)'s questionnaire and Jung Hoon-hee(2004)'s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tatistical package PASW 18.0.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obtained to see whether their background variables made any differences to their perception on the emo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s and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dependent-sample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tilized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their background variables. Finally, a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made to grasp the impact of the emo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s and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ir job satisfac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ether there were any gaps in perceived emo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s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variables was checked, and it's found that they put high value on the personal capabilities of the principal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at aspect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variables. Second, whether there were any gaps in perceived organizational culture was analyzed, and it's found that they felt a collective culture was prevailing among different sorts of organizational cultures. Whether their background variables made any differences to perceived organizational culture was investigated,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place and career. But the other variables made no significant differences to that. Third, as for the influence of perceived emo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s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culture on overall job satisfaction, the emo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s exerted the largest influence on overall job satisfaction, followed by organizational culture. As a result of analyzing how the subvariables of the emo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s and the subvariables of organizational culture affected their overall job satisfaction, the social capabilities of the principals had the greatest impact on their overall job satisfaction, followed by collective culture and innovative culture, which were the subvariables of organizational cultu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findings proved that the emo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s and organizational culture were two major variables to affect the job satisfaction of the teachers in the daycare centers that were smaller in size than any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 and whose organizational members were mostly female. Therefore daycare center principals should be educated to improve their emotional leadership, and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about leadership,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hould be developed. Besides, a positive and ideal organizational culture should be created to provide enough assistance for teachers to show what they can do.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