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교사 갈등관리 유형이 협동적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tyles for Conflict Management Type on Coope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2 no.1, 2021년, pp.495 - 501  

마지순 (원광보건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갈등관리유형이 협동적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중소도시 I시 유아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교사 138명이다. 검사도구는 유아교사의 협동적 조직문화 및 갈등관리 유형에 대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대상의 pearson의 적률상관 관계를 분석하고, 유아교사의 갈등관리 유형이 협동적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교사의 협동적 조직문화와 갈등관리 유형 전체는 관계가 있었다. 협동적 조직문화 전체는 특히 갈등관리 유형의 통합형과 가장 높은 관계가 있었으며, 그 다음은 타협형, 배려형, 지배형의 순서로 나타났다. 반면 회피형과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협동적 조직문화에 미치는 갈등관리 유형의 하위요인은 통합형이 가장 높은 영향력을 지니고 그 다음은 배려형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협동적 조직문화의 하위영역에서 협동적 지도성에는 통합형이 가장 높은 영향력 지니고, 그 다음은 배려형이 영향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협동성, 동료지원, 학습 동반자에는 통합형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교사의 갈등관리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계기가 되었으며, 갈등관리 유형과 협동적 조직문화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re-service teacher's coope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conflict management type. The subjects were 138 preschool teachers. The data were obtained by self-reporting and used to investigate the teacher's conflict management type and cooperative organizationa...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높으면 통합형의 갈등관리 유형이 낮아진다는 연구결과[16]를 실증적으로 지지해주는 결과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결과는 유아교육 기관에서 협동적 조직문화를 조성하기 위하여 효율적인 갈등관리의 활용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한다. 동시에 유아교육 기관에서는 개인의 갈등을 조직문화에 부정적이지 않고 긍정적으로 전환되도록 하고, 개인 갈등을 주관적으로 조정하도록 두기보다는 조직문화를 협동적으로 전환하도록 하기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통합형, 동료지원, 배려형, 지배형의 갈등관리에 대한 내용을 포함시켜야 할 것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갈등관리 유형이 협동적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연구결과를 정리하고 이에따라 결론 및 논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갈등관리 유형과 협동적 조직문화에 대한 이해를 돕고, 협동적 조직문화형성을 위한 교사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 첫째, 유아교사의 협동적 조직문화와 갈등관리 유형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H J Kim, H. S. Cho,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Kindergarten Teachers' Professional Culture to Foster Positive Collaboratio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26, No. 1, pp. 43-68, 2006. 

  2. S. A. Lee, J. S. Ma, R.R. An, "The Effect of Child Care Teachers' Ego-Resilie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Job Satisfaction", Journal of Parent Education, Vol. 10, No. 2, pp. 79-94, 2018. 

  3. S. Y. Park, & L. E. Park,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ollaborative culture of kindergartens", The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Vol. 28, No. 2, pp. 167-189, 2011. 

  4. S. Han, Child care center presidents' emotional leadership & cooperative organizational culture's influence on teacher empowerment perceived by child care teachers. Master's thesis from Chung Ang University. pp. 4-5, 2017. 

  5. S. Y. Choi, The Effects of Private Daycare Center Directors' Multipliership and Coope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on infant Teachers' Happiness. Master's thesis from Pusan National University. pp. 2-3, 2017. 

  6. Donaldson, G. A, Sanderson, D. R., Working together in schools. CA: Corwin Press. pp. 1-184 1997. 

  7. Gruenert, S, "Correlations of collaborative school cultures with student achievement",Nassp Bulletin, Vol. 89, Issue. 645, pp. 43-55, 2005. DOI: https://doi.org/10.1177/019263650508964504 

  8. Y. K. Le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lict Management Types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Job Satisfaction",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37, No.3, pp. 365-383. 1999. 

  9. Y. M. Kim, D. B. Kim,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oope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the empower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job satisfaction", Journal of Cognitive Enhancement and Intervention, Vol.9, No.2 pp.137-152, 2018. 

  10. J. H. Lee, A Stud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 of Collaboration Organizational Culture, Master's thesis from Inje University, pp. 2-3, 2005. 

  11. M. S. Song, D. C. Kim, "The relational between styles of handling conflic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s perceived by kindergarten teacher",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25, No. 5, pp. 55-74, 2005. 

  12. H. J. Choi, The effect of kindergarten teacher's conflict management types and work-related stress on job satisfact on, Master's thesis from Hanyang University, pp. 20-23, 2011. 

  13. Rahim, M. A. "A measure of styles of handling interpersonal conflict".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 25, pp. 368-376, 1983. DOI: https://doi.org/10.2307/255985 

  14. S. J. Joung, J. Y.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 Education Teacher's Qualifications and Conflict Management Characteristics", The Journal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Vol. 8. No. 4, pp. 57-84, 2009. 

  15. S. C. Lee, "A Study on Teachers' Conflict Management Styles and Its Effectiveness",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Vol. 26, No. 3, pp. 95-124, 2008. 

  16. D. C. Kim,& M.S. So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yles of handling conflict and job stress as perceived by kindergarten teachers",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12, No. 4, pp. 261-20, 2018. 

  17. S. J. Im, H. J. Cho, "The Relationship of Head Teachers' Styles for Handling Confli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Child-care Centers, The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ol.8, No.4, pp. 231-250, 2012. 

  18. E. Y. Baik, Y. S. Suh "Interpersonal Conflict Management Strategies Selected by Childcare Teachers", Journal of Korean Child Care and Education, Vol. 8, No. 1, pp. 109-124, 2012. 

  19. E. M. Jung, An Effect of child center principal's conflict management style on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Master's thesis from Ewha Womans University, pp. 5-6, 2011. 

  20. E. Oh, The Structural Analysis of Relations among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 Efficacy and Effectiveness in In-Service education for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 Master's thesis from Ewha Womans University, pp. 15-25, 2016. 

  21. H. Y. Choi, "Servant Leadership of Directors and Influence of Collabo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for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eachers in Kindergarten",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22, No. 4, pp. 301-322, 2015. 

  22. S. H. Park, & J. H. Tak, "Impact of job stress and collaborative culture of child care center on empowerment in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Journal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Vol. 13, No. 2, pp. 71-95, 2014. 

  23. S. J. Lee,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eacher's professional lives in public kindergartens by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13, No. 5, pp. 1-45, 2008. 

  24. E. Y. Back, "Conflict Management between Childcare Teachers as Parents and Class-Teachers in Each Situation", Journal of Asian Women, Vol. 53, No. 1, pp. 121-152, 2014. 

  25. J. H. Kim,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scale for measuring ethical sense of teacher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fession, Master's thesis from Chung-Ang University. pp. 25-30, 2015. 

  26. W. J. Lee, J. H. Jung, "The Influence of a Conflict Management Strategy within Child Care Center up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Child Care Center",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 18, No. 1, pp. 191-214, 2018. 

  27. Y. M. Kim, K. N. Lee, "The Effects of Collaborative Culture on Child-Care Center Teachers' Organizational Civil Behaviors mediating by Childcare Efficacy and Burnout", Journal of cognitive Enhancement and Inter vention, Vol. 11, No. 3, pp. 135-160, 2020. DOI: http://dx.doi.org/10.21197/JCEI.l1.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