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 study on Buncheong porcelain unearthed from ceramics factories of Gyeongsang region in the 14th ~ 15th centuriy
14~15世紀 慶尙道地域 磁器所 出土 粉靑沙器 硏究 원문보기


신순철 (영남대학교 대학원 문화인류 고고학 국내석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조선시대 요업에 대해서는 『朝鮮王朝實錄』, 『東國輿地勝覽』, 『慶尙道地理志』 등 여러 문헌에서 확인되는데, 『朝鮮王朝實錄』 중 『世宗實錄』「地理志」가 가장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世宗實錄』「地理志」의 磁器所에 대한 자료의 수집은 1424년에서 1432년까지 이루어졌는데 당시의 읍치를 중심으로 한 방위와 上 ․ 中 ․ 下品의 品等이 있다.
磁器所에 대한 문헌으로는 『世宗實錄』「地理志」, 『慶尙道續撰地理志』, 『新增東國輿地勝覽』가 있는데, 磁器所의 수량은 점차 줄어든 것을 알 수 있으며, 磁器所의 명칭이 같은 지역은 모두 10개소가 있는데, 그 중에 品等의 변화가 있는 곳은 모두 4개소이다.
品等의 변화를 보면, 品等이 올라간 곳도 있고 내려간 곳도 있는데, 같은 지역에서 시기에 따라 변화가 있는 것으로 보아 당시 品等을 정하는 기준의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銘文 粉靑沙器의 제작에 대한 기록에는 명문기입의 배경에 대한 기록과 당시의 자기의 공납상황에 대한 기록으로 『高麗史』와 『朝鮮王朝實錄』이 있는데 고려시대로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중앙에서 자기의 제작과 문양에 대한 관리 감독을 하여 자기의 질을 관리하였던 것으로 보이며, 이의 일환으로 자기의 공납과 관련하여 명문을 기입하게 된 것으로 판단된다.
『世宗實錄』「地理志」 기록에 의하면 磁器所는 전국에 139개소가 있으며, 그 중 경상도 지역에는 上品磁器所가 3개소, 中品磁器所가 8개소, 下品磁器所가 26개소 등 총 37개소가 있다.
경상도 지역에 속한 37개소의 磁器所를 기준으로 현재 지표조사와 발굴조사를 통해 당시의 磁器所로 추정되는 유적은 上品磁器所가 3개소, 中品磁器所는 6개소, 下品磁器所는 8개소로 모두 17개소 20개 지역으로 이 중 발굴조사를 한 지역은 5개소의 6개 지역이 된다.
경상도 지역에서 銘文 粉靑沙器가 제작되는 시기는 강경숙의 편년에 의하면 초기 2기부터 중기 2기까지 해당한다. 대접과 접시를 대상으로 구연부와 동체부, 저부로 나누어 크기와 기형에 따라 구분하고, 문양 및 관사명이 시문된 분청사기를 통해 각 시기에 따른 분청사기의 양식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경상도 지역에서 출토되는 銘文 粉靑沙器의 시기는 크게 3단계로 구분이 되는데, Ⅰ단계는 1390∼1420년으로 상감기법이 대부분이며, 인화기법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문양은 상감기법의 연당초문 ․ 초화문 ․ 중권문이 간략화되고 여의두문 ․ 국화문 ․ 삼원문 등이 1-2단으로 간단하게 찍혀 있는 특징을 보인다. 기법에 있어서는 흑백상감으로 문양을 장식하였으며, 명문은 흑상감이 되었다. 고려시대 상감청자와 유사한 구연이 약간 내만된 대접이 여전히 지속되어 고려말기 청자의 여운이 아직도 남아 있으며, 기형은 크게 내저원각이 있는 것과 없는 것으로 구분되며 그 안에 구연이 외반되거나 직립하는 형태로 다시 세분된다.
Ⅱ단계는 1420년∼1450년으로 인화기법이 다양하게 발전하는 시기로 특히 백자가 생산되기 시작한다. 문양에 있어서는 소국화문, 원권문, 육각판문, 집단연권문이 그릇전체에 인화되기 시작하였다. Ⅲ단계는 1450년~1480년으로 인화기법 구도의 완성기이며 ...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ords on the ceramic industry in Joseon were found in 『Joseonwalgjosilrok(朝鮮王朝實錄)』, 『Donggukyeojiseungram(東國輿地勝覽)』 and 『Gyeongsangdojiriji(慶尙道地理志)』, and 『Sejongsilrok(世宗實錄)』「Jiriji(地理志)」 has the most detailed record. The resources on kiln sites in『Sejongsilrok』「Jiriji」 were collected between 1424 ...

주제어

#분청사기 磁器所 명문 

학위논문 정보

저자 신순철
학위수여기관 영남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문화인류 고고학
지도교수 이청규
발행연도 2011
총페이지 103
키워드 분청사기 磁器所 명문
언어 kor
원문 URL http://www.riss.kr/link?id=T12580820&outLink=K
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