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高麗時代 鼎形靑瓷 硏究
Ding-Shaped Celadon Vessels of the Goryeo Period

美術史學硏究 = Korean journal of art history, no.252, 2006년, pp.153 - 190  

李溶振

초록

12세기 전반 고려에서는 徐兢이 『高麗圖經』에 기록한 것처럼 翡色이 나타나는 우수한 청자를 제작 하였고, 송의 영향을 일정 부분 반영하고 있었다. 고려시대 청자에 나타난 송대 자기의 영향은 주로 耀州窯와 汝窯, 定窯 등의 북방요와 越州窯 등 남방요의 영향이고, 구체적으로는 제작기술과 기형, 장식법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고려시대 청자에는 북송의 자기뿐만 아니라 중국 고동기의 영향도 나타나며, 그 대표적인 것이 중국 古銅器 鼎을 방제한 鼎形靑瓷라 할 수 있다.

고려시대 정형청지는 고려의 예제 개혁 과정에서 유입된 『선화박고도』를 모본으로 사용했던 것으로 추정되고, 실제로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방제한 〈도철문 방정형청자〉는 『선화박고도』의 〈상소부정〉을 그대로 방제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고려시대의 정형청자는 방제한 것과 고려화된 것이 있는데, 문양은 모두 압출양각으로 시문하였다. 남아 있는 유물을 통해 보면, 방제한 도철문 정형청자와 고려화된 도철문 정형청자는 세부적으로 차이가 있는 문양틀을 사용해 문양을 시문하였음을 알 수 있다. 압출양각으로 시문한 문양은, 뇌문을 보조문양으로 하고 주문양인 饕餮과 夔를 보조문양으로부터 돌출시키는 二層花의 구조를 하고 있다. 이러한 문양의 구조는 중국 청동기 중에서 가장 뛰어나다고 하는 상대후기 청동기의 문양구조를 따른 것이어서 주목된다. 반면 송대의 정형자기는 삼족과 양이의 기형적인 특징만 유지하고 있을 뿐 기면에는 문양을 나타내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중국에서 고려와 같이 자기로 고동기 정의 기형과 문양을 방제하는 시키는 명대 만력연간임을 고려하면, 중국 고동기 鼎을 자기로 제작한 것은 고려가 앞서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고려시대 정형청자는 방제와 고려화된 두 가지 형식을 바탕으로 양식변천이 이루어졌고, 방제 단계를 거쳐 고려화가 진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정형청자의 제작 초기에는 모본을 바탕으로 충실한 방제가 이루어졌고. 『선화박고도』의 〈상소부정〉을 충실하게 방제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도철문 방정형청자〉가 대표적인 작품이다. 고려시대의 정형청자는 방제 단계를 지나 고려화가 진행되면서 방정형 청자는 〈기문 방정형 청자〉, 원정형 청자는〈도철문 원정형 청자〉가 주류를 이루게 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고려시대의 정형청자는 강진의 용운리와 사당리에서만 제작되었는데, 특히 용운리 10호-Ⅱ층에서는 앞에서 살펴본 방제한 정형청자와 고려화된 정형청자가 대부분 출토되고 있어 이곳이 고려시대 정형청자의 주된 제작지임을 알 수 있다.

고려시대의 정형청자는 용운리 10호-Ⅱ층에서 雷紋이 나타나는 시점과 『선화박고도』의 편찬되는 시기와 유입시점을 고려하면, 제작시기는 1125년에서 1127년 사이로 추정된다. 또한 강화 선원사지 출토편을 통해 13세기 중반까지 제작, 시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고려시대 정형청자는 고려의 예제개혁 과정과 송에서 유입된 서적과 제기들을 통해 향로로 제작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의 예제개혁 과정과 송과의 교류를 통해 고려가 받이들인 예서와 제기들은 주로 고려 왕실의 길례대사와 관련이 있는 것들이다. 순화명 청자제기가 태묘에 사용된 제기이고, 1117년에 송에서 보낸 제기가 고려의 길례대사에 사용한 제기의 숫자와 같은 사실 등은 이것을 입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정형청자는 고려시대 길례대사에 사용된 향로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고려시대 정형청자가 상대후기 정의 기형과 문양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것은 1117년에 송에서 보낸 제기들이 『정화오례』에 따라 제작된 제기였을 가능성이 많기 때문에 고려에서도 고동기에 준하는 제기들을 만들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정형청자는『선화박고도』를 근거로 향로를 제작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early 12th century Goryeo made the fine celadon that was green inclining to jade green, and was influenced by Song China. Celadon of Goryeo was affected by not only china but also Chinese bronze. "The representative vessel is ding (鼎). Ding-shaped celadon of Goryeo is the vessel that has some...

주제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