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도의 관계를 알아보고,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 수준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교사의 전문성 인식 수준에 는 어떤 차이가 있을 것인가? 연구문제 2,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직무만족도 수준에는 어떤 차이가 있을 것인가 ? 연구문제 3, 유아교사의 전문성 요인과 직무만족 요인 간에는 어떤 상 관관계가 있을 것인가? 연구문제 4,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대상은 서울 남부 교육지원청 관내에 위치한 사립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100명을 선정하여 질문지를 실시한 후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최종 97명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 수준을 알아보기 위숙희(2008)가 번역, 수정한 도구,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송유진(1993)이 번역, 수정한 질문지이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도의 관계를 알아보고,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 수준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교사의 전문성 인식 수준에 는 어떤 차이가 있을 것인가? 연구문제 2,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직무만족도 수준에는 어떤 차이가 있을 것인가 ? 연구문제 3, 유아교사의 전문성 요인과 직무만족 요인 간에는 어떤 상 관관계가 있을 것인가? 연구문제 4,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대상은 서울 남부 교육지원청 관내에 위치한 사립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100명을 선정하여 질문지를 실시한 후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최종 97명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 수준을 알아보기 위숙희(2008)가 번역, 수정한 도구,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송유진(1993)이 번역, 수정한 질문지이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으로 처리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배경 및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 척도의 신뢰도 검사를 위하여 Cronbach's Alpha를 산출하였고, 유아 교사가 인식하는 직무만족도와 전문성 수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와 분산분석(One-way ANOVA), 직무만족도와 전문성 인식의 하위요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 직무만족도에 대한 전문성 인식의 하위요인별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교사의 전문성 인식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 하위요인과 직무만족도 하위요인들 간에는 높은 정적 상관(.421∼.893)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 본 결과 전문성 인식이 직무만족도를 설명하는 예언변량은 50.2%로 매우 높은 설명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교사 전문성과 직무만족도는 교사의 연령, 학력수준, 경력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하위요인 간에는 높은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동료와 원장과의 관계에 대한 만족도와 전문성 인식은 .89로 보수 승진 및 환경에 대한 만족도보다 직장 내 인간관계가 교직 전문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전문성 인식 하위요인별 영향력을 살펴 본 결과 전문성 인식 총점과 교육운영에 대한 전문성 인식이 직무만족도를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전문성 있는 유아교사를 양성하기 위해 유아교사로서 전문성 발달을 지원하는 시스템이 더욱 강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면 우선 원내의 인간관계를 점검하고 효과적인 인간관계 개선을 지원하는 전략들이 뒷받침 되어져야 한다. 유아교사의 전문성 제고는 우수한 인력을 선발하고, 체계적 교육을 통한 현직교육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우선 교사로서 자신의 직업에 대한 전문성을 인식하고 직무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 때 좀 더 유능한 유아교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도의 관계를 알아보고,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 수준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교사의 전문성 인식 수준에 는 어떤 차이가 있을 것인가? 연구문제 2,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직무만족도 수준에는 어떤 차이가 있을 것인가 ? 연구문제 3, 유아교사의 전문성 요인과 직무만족 요인 간에는 어떤 상 관관계가 있을 것인가? 연구문제 4,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대상은 서울 남부 교육지원청 관내에 위치한 사립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100명을 선정하여 질문지를 실시한 후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최종 97명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 수준을 알아보기 위숙희(2008)가 번역, 수정한 도구,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송유진(1993)이 번역, 수정한 질문지이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으로 처리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배경 및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 척도의 신뢰도 검사를 위하여 Cronbach's Alpha를 산출하였고, 유아 교사가 인식하는 직무만족도와 전문성 수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와 분산분석(One-way ANOVA), 직무만족도와 전문성 인식의 하위요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 직무만족도에 대한 전문성 인식의 하위요인별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교사의 전문성 인식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 하위요인과 직무만족도 하위요인들 간에는 높은 정적 상관(.421∼.893)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 본 결과 전문성 인식이 직무만족도를 설명하는 예언변량은 50.2%로 매우 높은 설명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교사 전문성과 직무만족도는 교사의 연령, 학력수준, 경력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하위요인 간에는 높은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동료와 원장과의 관계에 대한 만족도와 전문성 인식은 .89로 보수 승진 및 환경에 대한 만족도보다 직장 내 인간관계가 교직 전문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전문성 인식 하위요인별 영향력을 살펴 본 결과 전문성 인식 총점과 교육운영에 대한 전문성 인식이 직무만족도를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전문성 있는 유아교사를 양성하기 위해 유아교사로서 전문성 발달을 지원하는 시스템이 더욱 강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면 우선 원내의 인간관계를 점검하고 효과적인 인간관계 개선을 지원하는 전략들이 뒷받침 되어져야 한다. 유아교사의 전문성 제고는 우수한 인력을 선발하고, 체계적 교육을 통한 현직교육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우선 교사로서 자신의 직업에 대한 전문성을 인식하고 직무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 때 좀 더 유능한 유아교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purpose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professional recognitions and job satisfac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level of professional recogni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 job satisfactions. In this purpose, the specific research pr...
This research purpose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professional recognitions and job satisfac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level of professional recogni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 job satisfactions. In this purpose, the specific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Research Problem 1, what are differences of professional recognitions as a teacher according to the background-related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search Problem 2, what are differences of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background-related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search Problem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ional factors and job satisfaction factor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search Problem 4, what are influences of professional recognitions on job satisfac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97 teachers after collecting and analyzing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selected 100 teachers working in private kindergartens in the jurisdiction of South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in Seoul. To investigate professional recogni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 test translated and modified by Sook-Hee Wee(2008) is used, and to evaluate job satisfactions, the questionnaires translated and modified by Yu-jin Song(1993) is used. The data collected are processed by SPSS Win 18.0, to evaluate the frequency, percentile, and Cronbach’s Alpha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test and the variance analysis(one-way ANOVA) are implemen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level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 correlation analys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s and sub factors of professional recognition, a multiple regression prediction analysis to evaluate influences of sub factors of professional recognitions in each sector on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professional recognition is shown to hav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background-related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is shown to hav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background-related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ird, the sub factors of professional recognitions and job satisfac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observed to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a high correlation coefficient(.421~.893). Fourth, as we investigate influences of professional recognitions on job satisfac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t turns out that professional recognitions give a high account of job satisfaction and that the prediction variable for professional recognitions to explain job satisfactions is 50.2%. From the research results, we can conclude the followings. First, professional recognitions and job satisfactions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 no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ges, educational backgrounds, and careers of teachers. Second, a strong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recognitions and sub factors is observed. Especially, the correlation between professional recognitions and the satisfaction with personal relations with colleagues and the principal is .89, thus the personal relations are more closely related to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than incomes, promotions and/or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job environments. Third, as we regard the influences of sub factors in each sector of job satisfactions of teachers, it turns out that the total score of professional recognition and the professionality on the education management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account job satisfactions.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we suggest the followings. First, job satisfactions related with professional recogni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observed to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personal relationships in the educational institutes. That means, positive personal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and the principal are most important for a teacher to recognize his or her professionalism. Thus, if it is necessary to enhance a system to support the developments of professionalism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irstly it should be required to inspect personal relationships in institutes and to support strategies for an effective improvement of relationships. Second, the enhancement of professionalism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can be achieved when teachers recognize the professionality and satisfied with the job, as well as when outstanding individuals are selected as teachers and trained through a systematic in-service teacher train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ut continuous efforts into improving professionality and efficacy of teachers through the programs and workshops with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This research purpose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professional recognitions and job satisfac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level of professional recogni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 job satisfactions. In this purpose, the specific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Research Problem 1, what are differences of professional recognitions as a teacher according to the background-related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search Problem 2, what are differences of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background-related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search Problem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ional factors and job satisfaction factor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search Problem 4, what are influences of professional recognitions on job satisfac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97 teachers after collecting and analyzing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selected 100 teachers working in private kindergartens in the jurisdiction of South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in Seoul. To investigate professional recogni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 test translated and modified by Sook-Hee Wee(2008) is used, and to evaluate job satisfactions, the questionnaires translated and modified by Yu-jin Song(1993) is used. The data collected are processed by SPSS Win 18.0, to evaluate the frequency, percentile, and Cronbach’s Alpha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test and the variance analysis(one-way ANOVA) are implemen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level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 correlation analys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s and sub factors of professional recognition, a multiple regression prediction analysis to evaluate influences of sub factors of professional recognitions in each sector on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professional recognition is shown to hav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background-related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is shown to hav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background-related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ird, the sub factors of professional recognitions and job satisfac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observed to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a high correlation coefficient(.421~.893). Fourth, as we investigate influences of professional recognitions on job satisfac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t turns out that professional recognitions give a high account of job satisfaction and that the prediction variable for professional recognitions to explain job satisfactions is 50.2%. From the research results, we can conclude the followings. First, professional recognitions and job satisfactions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 no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ges, educational backgrounds, and careers of teachers. Second, a strong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recognitions and sub factors is observed. Especially, the correlation between professional recognitions and the satisfaction with personal relations with colleagues and the principal is .89, thus the personal relations are more closely related to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than incomes, promotions and/or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job environments. Third, as we regard the influences of sub factors in each sector of job satisfactions of teachers, it turns out that the total score of professional recognition and the professionality on the education management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account job satisfactions.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we suggest the followings. First, job satisfactions related with professional recogni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observed to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personal relationships in the educational institutes. That means, positive personal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and the principal are most important for a teacher to recognize his or her professionalism. Thus, if it is necessary to enhance a system to support the developments of professionalism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irstly it should be required to inspect personal relationships in institutes and to support strategies for an effective improvement of relationships. Second, the enhancement of professionalism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can be achieved when teachers recognize the professionality and satisfied with the job, as well as when outstanding individuals are selected as teachers and trained through a systematic in-service teacher train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ut continuous efforts into improving professionality and efficacy of teachers through the programs and workshops with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