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교직 전문성 인식 정도와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파악하고 교직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유아교사들의 전문성을 갖춘 자질향상과 교육발전에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유치원교사들의 전문성 인식정도는 어떠한가? 1. 교직전문성 인식의 전체적 경향은 어떠한가? 2. 교직전문성 인식은 인구학적 변인(설립형태·연령·학력·경력)별로 차이가 있는가? 3. 교직전문성 하위요인(고도의 지적능력, 사회봉사성, 자율성, 직업윤리, 사회·경제적 지위에 대한 인식)에 대한 인식은 인구학적 변인(설립형태·연령·경력·학력)별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유치원교사들의 직무만족도는 어떠한가? 1. 실제 직무만족도의 전체적 경향은 어떠한가? 2. 직무만족도의 인구학적 변인(설립형태·연령·경력·학력)별로 차이가 있는가? 3. 직무 하위요인( 직무·교직원과의 관계·근무환경·사회적인정 및 복지후생·보수 및 승진기회)은 설립·연령·경력·학력별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유치원교사들의 교직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경기도, 충청남도 유치원 교사 258명이며 연구도구는 선행 연구를 기초로 하여 본 연구자가 제작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자료처리는 회수된 질문지로 교사의 전문성 인식도와 직무만족도의 각 요인별 평균과 ...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교직 전문성 인식 정도와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파악하고 교직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유아교사들의 전문성을 갖춘 자질향상과 교육발전에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유치원교사들의 전문성 인식정도는 어떠한가? 1. 교직전문성 인식의 전체적 경향은 어떠한가? 2. 교직전문성 인식은 인구학적 변인(설립형태·연령·학력·경력)별로 차이가 있는가? 3. 교직전문성 하위요인(고도의 지적능력, 사회봉사성, 자율성, 직업윤리, 사회·경제적 지위에 대한 인식)에 대한 인식은 인구학적 변인(설립형태·연령·경력·학력)별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유치원교사들의 직무만족도는 어떠한가? 1. 실제 직무만족도의 전체적 경향은 어떠한가? 2. 직무만족도의 인구학적 변인(설립형태·연령·경력·학력)별로 차이가 있는가? 3. 직무 하위요인( 직무·교직원과의 관계·근무환경·사회적인정 및 복지후생·보수 및 승진기회)은 설립·연령·경력·학력별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유치원교사들의 교직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경기도, 충청남도 유치원 교사 258명이며 연구도구는 선행 연구를 기초로 하여 본 연구자가 제작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자료처리는 회수된 질문지로 교사의 전문성 인식도와 직무만족도의 각 요인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으며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전문성 인식도와 직무만족간의 상관성은 Pearson의 적률 상관계수를 구하여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성 인식도에 대한 인식정도를 알아보았는데 조사대상자인 유아교사들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정도는 대체로 인정하는 정도였다. 그 하위요인별로는 고도의 지적능력이 있어야 한다는 의견이었으며 직업윤리 및 자율성에 대해서 높게 나타났다. 그 외에 사회봉사성은 다소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경제적인 지위인식정도는 상당히 낮은 것으로 사회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인정을 못 받고 있다는 느낌을 교사들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인 유아교사들의 직무에 대한 만족도는 직무에 대한 만족도가 보통 수준이었다. 그 하위요인별로는 직무에 대해서는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는 근무환경·교직원과의 관계·보수 및 승진기회 순으로 보통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인정 및 복지후생은 보통 이하의 직무 만족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유치원 교사는 직무와 근무환경에서는 비교적 만족한 수준이었고 교직원과의 관계와 보수 및 승진기회에 대해서는 보통정도의 만족을 보이며 사회적인 인정이나 복지후생은 상당히 불만족한 것으로 인식되었다. 셋째, 전문성 인식도와 직무만족도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희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전문성 인식도는 직무만족과 다소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그 외 하위요인들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전문성 인식도는 전문성 인식도의 하위요인과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선형상관관계를 이루며 또한 직무만족도는 전문성 인식도의 하위요인과 직무 만족도의 하위요인에서 사회적· 경제적 지위, 후생복지를 제외한 모든 요인에 대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교직 전문성 인식 정도와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파악하고 교직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유아교사들의 전문성을 갖춘 자질향상과 교육발전에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유치원교사들의 전문성 인식정도는 어떠한가? 1. 교직전문성 인식의 전체적 경향은 어떠한가? 2. 교직전문성 인식은 인구학적 변인(설립형태·연령·학력·경력)별로 차이가 있는가? 3. 교직전문성 하위요인(고도의 지적능력, 사회봉사성, 자율성, 직업윤리, 사회·경제적 지위에 대한 인식)에 대한 인식은 인구학적 변인(설립형태·연령·경력·학력)별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유치원교사들의 직무만족도는 어떠한가? 1. 실제 직무만족도의 전체적 경향은 어떠한가? 2. 직무만족도의 인구학적 변인(설립형태·연령·경력·학력)별로 차이가 있는가? 3. 직무 하위요인( 직무·교직원과의 관계·근무환경·사회적인정 및 복지후생·보수 및 승진기회)은 설립·연령·경력·학력별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유치원교사들의 교직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경기도, 충청남도 유치원 교사 258명이며 연구도구는 선행 연구를 기초로 하여 본 연구자가 제작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자료처리는 회수된 질문지로 교사의 전문성 인식도와 직무만족도의 각 요인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으며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전문성 인식도와 직무만족간의 상관성은 Pearson의 적률 상관계수를 구하여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성 인식도에 대한 인식정도를 알아보았는데 조사대상자인 유아교사들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정도는 대체로 인정하는 정도였다. 그 하위요인별로는 고도의 지적능력이 있어야 한다는 의견이었으며 직업윤리 및 자율성에 대해서 높게 나타났다. 그 외에 사회봉사성은 다소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경제적인 지위인식정도는 상당히 낮은 것으로 사회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인정을 못 받고 있다는 느낌을 교사들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인 유아교사들의 직무에 대한 만족도는 직무에 대한 만족도가 보통 수준이었다. 그 하위요인별로는 직무에 대해서는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는 근무환경·교직원과의 관계·보수 및 승진기회 순으로 보통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인정 및 복지후생은 보통 이하의 직무 만족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유치원 교사는 직무와 근무환경에서는 비교적 만족한 수준이었고 교직원과의 관계와 보수 및 승진기회에 대해서는 보통정도의 만족을 보이며 사회적인 인정이나 복지후생은 상당히 불만족한 것으로 인식되었다. 셋째, 전문성 인식도와 직무만족도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희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전문성 인식도는 직무만족과 다소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그 외 하위요인들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전문성 인식도는 전문성 인식도의 하위요인과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선형상관관계를 이루며 또한 직무만족도는 전문성 인식도의 하위요인과 직무 만족도의 하위요인에서 사회적· 경제적 지위, 후생복지를 제외한 모든 요인에 대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ather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kindergarten education, job contentment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the teacher's professional expertise. To gather this information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ather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kindergarten education, job contentment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the teacher's professional expertise. To gather this information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Research question set 1〉 What's the degree of recognition about a kindergarten teacher's professional expertise? 1. What is the trend in the recogni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professional expertise? 2. What influences the recognition of a teacher's level of expertise, type of establishment, age, school history, and job history? 3. What are the qualities needed to be a good kindergarten teacher? 〈Research question set 2〉 How do kindergarten teachers define and understand job contentment? 1. What is the trend of understanding of kindergarten teacher's about job contentment? 2. What influences their perception of job contentment, type of establishment, age, school history, and job history? 3.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establishment, age, personal career, school history that affect job environment, social recognition, welfare, payment, and promotion opportunity? 〈Research question 3〉 Wha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cognition of the special expertise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job contentmen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58 kindergarten teachers who work in Kyonggido and Chungchongnamdo provinces. The methodology was through surveys administered to the teachers. The results were analyzed for statistical averages and standard deviation about the expertise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job contentment by using ANOVA analysis and by studying the correlations of the variables. First, the kindergarten teacher's indicated that they considered their positions involved special professional expertise. They believed it required high intelligence, job ethics and self-control. Social services were found out to be acceptable but recognition of their positions at a social and economic level was very low. Second, job contentment of kindergarten teachers was pretty similar throughout. They rated the work the highes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they indicated their relations with school management, pay, and social recognition as being substandard. There were many kindergarten teaches who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ir workplace relationships but dissatisfied with the lack of recognition and pay.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recognition of their work and job content was shown to exist after analysis through statistical correlations. Estimation and relations with basic job requirements. Social recognition had a linear correlation with job requirements and job contentment. As well, job contentment has a statistically similar correlation about all factors except for social, economical position. Welfare was in the middle of job requirements and job content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ather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kindergarten education, job contentment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the teacher's professional expertise. To gather this information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Research question set 1〉 What's the degree of recognition about a kindergarten teacher's professional expertise? 1. What is the trend in the recogni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professional expertise? 2. What influences the recognition of a teacher's level of expertise, type of establishment, age, school history, and job history? 3. What are the qualities needed to be a good kindergarten teacher? 〈Research question set 2〉 How do kindergarten teachers define and understand job contentment? 1. What is the trend of understanding of kindergarten teacher's about job contentment? 2. What influences their perception of job contentment, type of establishment, age, school history, and job history? 3.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establishment, age, personal career, school history that affect job environment, social recognition, welfare, payment, and promotion opportunity? 〈Research question 3〉 Wha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cognition of the special expertise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job contentmen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58 kindergarten teachers who work in Kyonggido and Chungchongnamdo provinces. The methodology was through surveys administered to the teachers. The results were analyzed for statistical averages and standard deviation about the expertise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job contentment by using ANOVA analysis and by studying the correlations of the variables. First, the kindergarten teacher's indicated that they considered their positions involved special professional expertise. They believed it required high intelligence, job ethics and self-control. Social services were found out to be acceptable but recognition of their positions at a social and economic level was very low. Second, job contentment of kindergarten teachers was pretty similar throughout. They rated the work the highes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they indicated their relations with school management, pay, and social recognition as being substandard. There were many kindergarten teaches who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ir workplace relationships but dissatisfied with the lack of recognition and pay.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recognition of their work and job content was shown to exist after analysis through statistical correlations. Estimation and relations with basic job requirements. Social recognition had a linear correlation with job requirements and job contentment. As well, job contentment has a statistically similar correlation about all factors except for social, economical position. Welfare was in the middle of job requirements and job contentment.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