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전라남도 지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삶의 만족도와 행복감, 근로여건 만족도, 도보여행 편익을 알아보고, 그에 따라 도보여행 참여의사와의 관계성을 확인하여 향후 도보여행 정책수립에 방향성을 제시하고 도보여행을 관광상품으로 기획하는 지자체에게 마케팅적으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광주광역시 북구 매곡동에 위치한 전라남도지방공무원교육원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전라남도 지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데이터 코딩과정을 거쳐, ...
본 연구는 전라남도 지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삶의 만족도와 행복감, 근로여건 만족도, 도보여행 편익을 알아보고, 그에 따라 도보여행 참여의사와의 관계성을 확인하여 향후 도보여행 정책수립에 방향성을 제시하고 도보여행을 관광상품으로 기획하는 지자체에게 마케팅적으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광주광역시 북구 매곡동에 위치한 전라남도지방공무원교육원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전라남도 지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데이터 코딩과정을 거쳐, SPSSWIN 19.0을 사용하여 기초분석 및 측정척도의 평가를 위한 신뢰도 및 타당성을 검증하였고, 설정된 가설의 검증을 위해 독립표본 차이검증(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요인분석, 그리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회귀분석을 통해 도보여행 참여의사에 삶의 만족도, 행복감, 근로여건 만족도, 도보여행 편익 가운데 어떤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한 가설검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도보여행 참여의사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1에 대한 검증결과, 7개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에서 소득, 연령, 직급, 재직연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삶의 만족도는 도보여행 참여의사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2에 대한 검증결과, 삶의 만족도는 도보여행 참여의사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행복감은 도보여행 참여의사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3에 대한 검증결과, 행복감 요인 중 안녕감 요인, 정신적 즐거움과 행복 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고 있으나, 투철한 자기인식 요인, 낙관적 인생관 요인, 타인과의 유대감 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근로여건 만족도는 도보여행 참여의사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4에 대한 검증결과, 근로여건 만족도 요인 중 시간 및 관계 요인과 환경 및 장래성 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임금 및 후생 요인과 일 및 인사 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도보여행의 편익은 도보여행 참여의사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5에 대한 검증결과, 도보여행에서 얻을 수 있는 편익을 나타내는 요인 중 사색의 공간 요인과 일상적 긴장에서의 탈출 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오락 및 탐험욕구 요인, 질병치료 및 다이어트 요인, 스포츠 및 시설이용 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전체 회귀분석 결과, 도보여행 참여의사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변수는 일상적 긴장에서의 탈출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다음이 현재의 직급, 안녕감 요인, 사색의 공간 요인, 일 및 인사 요인 순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의한 본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연구에서 도보여행에 대한 연구가 매우 미흡한 가운데 도보여행과 관련하여 삶의 만족도, 행복감, 근로여건 만족도, 도보여행 편익과 도보여행 참여의사 간의 관계성을 실증적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고, 지금까지 도보여행에 대한 연구가 관광동기와 만족도, 재방문의사 등 경험적인 연구에만 국한되어 있는 상황에서 연구의 주제와 범위를 확대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둘째, 삶의 만족도, 행복감, 근로여건 만족도, 도보여행 편익과 도보여행 참여의사 간의 관계성 연구를 통해 향후 도보여행에 참여할 의사를 가진 관광객의 특성을 고려한 정책수립 및 시장세분화와 그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줄 마케팅적 접근에 있어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제시할 수 있는 관리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 가운데 소득, 연령, 직급, 재직연수에 따라 도보여행 참여의사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분석 결과 도보여행 참여의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일상적 긴장에서의 탈출’ 요인 다음으로 ‘직급’으로 나타나, 도보여행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직급별 차별화 전략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삶의 만족도와 행복감이 도보여행 참여의사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행복감 요인 중 안녕감 요인과 정신적 즐거움과 행복 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조사되어, 마케팅 차원에서 도보여행에 참여의사가 높은 잠재고객을 설정할 때 보다 세심한 목표고객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근로여건 요인 중 시간 및 관계 요인과 환경 및 장래성 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도보여행 참여의사를 자극하는 요인으로 직장생활에서의 전반적인 상황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하는 것으로, 도보여행 참여의사에 대한 심리적 동기 외에 사회경제적 요소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특히, 장시간 노동과 심한 업무스트레스로 일과 가정의 양립을 이루지 못하고 일 중심적으로 생활 전반이 구성될 수밖에 없는 일상생활의 긴장에 대한 거부감을 드러내는 반작용의 기제가 ‘일상적 긴장에서의 탈출’ 요인으로 드러나는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도보여행 참여를 높이는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직장인들의 근로시간과 인간관계 양상 등에 활용할 세밀한 소구전략이 수립되어야 필요가 있다. 넷째, 도보여행에서 얻을 수 있는 편익을 나타내는 요인 중 사색의 공간 요인과 일상적 긴장에서의 탈출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조사된 점을 고려할 때, 도보여행자들을 위하여 ‘사색의 공간’과 ‘일상적 긴장에서의 탈출’을 가능하게 할 다양한 도보여행지 콘텐츠 및 프로그램 개발을 통하여 도보여행지를 재구성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전라남도 지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삶의 만족도와 행복감, 근로여건 만족도, 도보여행 편익을 알아보고, 그에 따라 도보여행 참여의사와의 관계성을 확인하여 향후 도보여행 정책수립에 방향성을 제시하고 도보여행을 관광상품으로 기획하는 지자체에게 마케팅적으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광주광역시 북구 매곡동에 위치한 전라남도지방공무원교육원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전라남도 지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데이터 코딩과정을 거쳐, SPSS WIN 19.0을 사용하여 기초분석 및 측정척도의 평가를 위한 신뢰도 및 타당성을 검증하였고, 설정된 가설의 검증을 위해 독립표본 차이검증(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요인분석, 그리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회귀분석을 통해 도보여행 참여의사에 삶의 만족도, 행복감, 근로여건 만족도, 도보여행 편익 가운데 어떤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한 가설검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도보여행 참여의사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1에 대한 검증결과, 7개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에서 소득, 연령, 직급, 재직연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삶의 만족도는 도보여행 참여의사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2에 대한 검증결과, 삶의 만족도는 도보여행 참여의사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행복감은 도보여행 참여의사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3에 대한 검증결과, 행복감 요인 중 안녕감 요인, 정신적 즐거움과 행복 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고 있으나, 투철한 자기인식 요인, 낙관적 인생관 요인, 타인과의 유대감 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근로여건 만족도는 도보여행 참여의사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4에 대한 검증결과, 근로여건 만족도 요인 중 시간 및 관계 요인과 환경 및 장래성 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임금 및 후생 요인과 일 및 인사 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도보여행의 편익은 도보여행 참여의사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5에 대한 검증결과, 도보여행에서 얻을 수 있는 편익을 나타내는 요인 중 사색의 공간 요인과 일상적 긴장에서의 탈출 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오락 및 탐험욕구 요인, 질병치료 및 다이어트 요인, 스포츠 및 시설이용 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전체 회귀분석 결과, 도보여행 참여의사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변수는 일상적 긴장에서의 탈출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다음이 현재의 직급, 안녕감 요인, 사색의 공간 요인, 일 및 인사 요인 순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의한 본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연구에서 도보여행에 대한 연구가 매우 미흡한 가운데 도보여행과 관련하여 삶의 만족도, 행복감, 근로여건 만족도, 도보여행 편익과 도보여행 참여의사 간의 관계성을 실증적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고, 지금까지 도보여행에 대한 연구가 관광동기와 만족도, 재방문의사 등 경험적인 연구에만 국한되어 있는 상황에서 연구의 주제와 범위를 확대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둘째, 삶의 만족도, 행복감, 근로여건 만족도, 도보여행 편익과 도보여행 참여의사 간의 관계성 연구를 통해 향후 도보여행에 참여할 의사를 가진 관광객의 특성을 고려한 정책수립 및 시장세분화와 그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줄 마케팅적 접근에 있어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제시할 수 있는 관리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 가운데 소득, 연령, 직급, 재직연수에 따라 도보여행 참여의사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분석 결과 도보여행 참여의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일상적 긴장에서의 탈출’ 요인 다음으로 ‘직급’으로 나타나, 도보여행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직급별 차별화 전략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삶의 만족도와 행복감이 도보여행 참여의사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행복감 요인 중 안녕감 요인과 정신적 즐거움과 행복 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조사되어, 마케팅 차원에서 도보여행에 참여의사가 높은 잠재고객을 설정할 때 보다 세심한 목표고객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근로여건 요인 중 시간 및 관계 요인과 환경 및 장래성 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도보여행 참여의사를 자극하는 요인으로 직장생활에서의 전반적인 상황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하는 것으로, 도보여행 참여의사에 대한 심리적 동기 외에 사회경제적 요소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특히, 장시간 노동과 심한 업무스트레스로 일과 가정의 양립을 이루지 못하고 일 중심적으로 생활 전반이 구성될 수밖에 없는 일상생활의 긴장에 대한 거부감을 드러내는 반작용의 기제가 ‘일상적 긴장에서의 탈출’ 요인으로 드러나는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도보여행 참여를 높이는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직장인들의 근로시간과 인간관계 양상 등에 활용할 세밀한 소구전략이 수립되어야 필요가 있다. 넷째, 도보여행에서 얻을 수 있는 편익을 나타내는 요인 중 사색의 공간 요인과 일상적 긴장에서의 탈출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조사된 점을 고려할 때, 도보여행자들을 위하여 ‘사색의 공간’과 ‘일상적 긴장에서의 탈출’을 가능하게 할 다양한 도보여행지 콘텐츠 및 프로그램 개발을 통하여 도보여행지를 재구성해야 할 것이다.
Recently, walking tour is regarded as one of the most interesting travel way. Thus many countries have developed walking tour infrastructure and policy, not only to conserve their environment and to improve local residental economies, but also diversify and improve tour industry options for potentia...
Recently, walking tour is regarded as one of the most interesting travel way. Thus many countries have developed walking tour infrastructure and policy, not only to conserve their environment and to improve local residental economies, but also diversify and improve tour industry options for potential visitors.
It is necessary for walking tour planners and marketers to grasp rout-based tourist’s characteristics, travel motivation, and quality of life considerations while growing interests in slow tourism and Well-be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satisfaction with life, happiness, satisfaction with work conditions and participatory intentions of walking tour. Based on the research, it might provide basic information(data) for uniquely distinctive walking tour policy compare with pre-existings and developing marketing plan.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this study, 468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finally used for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found that satisfaction with life, happiness, satisfaction with work condition had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s with participatory intentions of walking tour. And it was found that escape from tension of everyday life had the greatest effects on participatory intentions of walking tour.
Recently, walking tour is regarded as one of the most interesting travel way. Thus many countries have developed walking tour infrastructure and policy, not only to conserve their environment and to improve local residental economies, but also diversify and improve tour industry options for potential visitors.
It is necessary for walking tour planners and marketers to grasp rout-based tourist’s characteristics, travel motivation, and quality of life considerations while growing interests in slow tourism and Well-be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satisfaction with life, happiness, satisfaction with work conditions and participatory intentions of walking tour. Based on the research, it might provide basic information(data) for uniquely distinctive walking tour policy compare with pre-existings and developing marketing plan.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this study, 468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finally used for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found that satisfaction with life, happiness, satisfaction with work condition had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s with participatory intentions of walking tour. And it was found that escape from tension of everyday life had the greatest effects on participatory intentions of walking tour.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