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설명적 텍스트 읽기에서 작동기억과 텍스트 유형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와 주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지금까지는 그림이나 삽화텍스트가 텍스트 이해와 기억을 촉진시키고 사전지식이 낮은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Peeck(1993)과 Weidenmann(1989)는 서로 다른 표상을 통합하는 능력이 부족할 경우 삽화텍스트가 효과가 없음을 주장하고 있다. Mayer 와 Moreno(2000, 2004), Mayer 외(2004)는 개인화 메시지가 작동기억의 인지부하를 줄이고 학습자의 흥미를 증가시킴으로 유의미한 학습을 유도한다고 하였으며, Hibbing 와 Rankin-Erickson(2003)도 텍스트의 삽화나 시각적 이미지 형성 전략이 텍스트 이해를 촉진한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개인화메시지와 심상 형성 전략에 활용된 개인화의 원리를 텍스트에 적용하여 개인화텍스트가 설명적 텍스트 읽기에서 읽기 이해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검토하고자 하였다. Baddeley(1986, 2000)의 작동기억 이론에 의하면, 중앙집행 작동기억은 ...
이 연구는 설명적 텍스트 읽기에서 작동기억과 텍스트 유형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와 주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지금까지는 그림이나 삽화텍스트가 텍스트 이해와 기억을 촉진시키고 사전지식이 낮은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Peeck(1993)과 Weidenmann(1989)는 서로 다른 표상을 통합하는 능력이 부족할 경우 삽화텍스트가 효과가 없음을 주장하고 있다. Mayer 와 Moreno(2000, 2004), Mayer 외(2004)는 개인화 메시지가 작동기억의 인지부하를 줄이고 학습자의 흥미를 증가시킴으로 유의미한 학습을 유도한다고 하였으며, Hibbing 와 Rankin-Erickson(2003)도 텍스트의 삽화나 시각적 이미지 형성 전략이 텍스트 이해를 촉진한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개인화메시지와 심상 형성 전략에 활용된 개인화의 원리를 텍스트에 적용하여 개인화텍스트가 설명적 텍스트 읽기에서 읽기 이해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검토하고자 하였다. Baddeley(1986, 2000)의 작동기억 이론에 의하면, 중앙집행 작동기억은 장기기억의 정보를 텍스트 정보와 연결하고 활성화된 정보 중에서 텍스트와 무관한 정보를 억제하고 조정하는 기능을 하고 언어적 작동기억과 시공간 작동기억도 읽기 이해 과정에 긴밀하게 작용하므로, 중앙집행 작동기억과 시공간 작동기억 상집단에게는 삽화텍스트가 효과적이고 중앙집행 작동기억과 언어적 작동기억 상집단에게는 개인화텍스트가 효과적일 것으로 예측하였다.
이 연구의 독립변인은 작동기억과 텍스트 유형이므로 1차 실험은 2(작동기억:상, 하)× 3(텍스트 유형:일반텍스트, 삽화텍스트, 개인화텍스트) 요인 설계로 이루어졌다. 종속변인인 읽기 이해도는 예비검사를 통해 텍스트 및 텍스트 이해 검사에 대한 타당성을 확보한 후, 재인과 추론 문제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의 1차 실험 피험자는 14-15세의 중학교 2학년 5개반 127명이었으며, 작동기억과 텍스트 유형에 따라 6개의 집단으로 배치되었다. 자료분석은 사전지식을 공변인으로 한 공분산분석(ANCOVA)을 사용하였는데, 1차 실험에서는 작동기억과 텍스트 유형 간의 상호작용 효과와 텍스트 유형의 주효과는 없었고 작동기억에 따른 주효과만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가 1차 실험에서 사용한 텍스트의 내용이 삽화나 개인화 유형에 따른 도움이 불필요할 만큼 쉽고 길이도 짧았던 것에 있다고 판단되어 이를 조정한 2차 실험을 실시하였다.
2차 실험은 텍스트 길이와 작동기억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관련된 내용의 다른 텍스트를 더 읽는 다중텍스트가 추가되어 2(작동기억:상, 하) × 4(텍스트 유형:일반텍스트, 삽화텍스트, 개인화텍스트, 다중텍스트) 요인 설계로 이루어졌다. 실험은 2학년 6개반 164명을 대상으로 작동기억과 텍스트 유형에 따라 각각 8개의 집단에 배치하여 실시하였다. 2차 실험 결과 재인과제에서 작동기억과 텍스트 유형 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으나 추론과제에서는 상호작용 효과는 없었고 작동기억과 텍스트 유형에 따른 주효과만 나타났다. 다중텍스트는 상호작용 효과를 보인 재인과제에서는 작동기억 상하 집단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중앙집행 작동기억과 언어적 작동기억 상집단 내에서 다중텍스트가 다른 나머지 텍스트들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고 추론과제에서도 작동기억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삽화텍스트나 개인화텍스트가 모든 집단에 효과적이라기보다는 중앙집행 작동기억 상집단에 효과적이고, 두 개의 연관된 텍스트를 읽는 다중텍스트에 텍스트 내용을 연결하고 통합하는 추론 활동의 부하가 더 작용하였을 것을 시사해 주고 있다. 따라서 읽기 이해를 촉진하기 위해 삽화텍스트나 개인화텍스트를 활용하거나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 측면에서 다중텍스트를 활용할 때에는 이러한 작동기억과 추론의 인지 부하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 연구에서 사용된 추론과제가 텍스트 내 추론으로 제한되었던 만큼 보다 다양한 추론과제를 사용한다면 장기기억과 관련한 작동기억의 기능을 살펴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작동기억을 상․중․하 집단으로 나누어 후속 연구가 수행된다면 작동기억 하집단에서 더 구체적인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 연구는 설명적 텍스트 읽기에서 작동기억과 텍스트 유형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와 주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지금까지는 그림이나 삽화텍스트가 텍스트 이해와 기억을 촉진시키고 사전지식이 낮은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Peeck(1993)과 Weidenmann(1989)는 서로 다른 표상을 통합하는 능력이 부족할 경우 삽화텍스트가 효과가 없음을 주장하고 있다. Mayer 와 Moreno(2000, 2004), Mayer 외(2004)는 개인화 메시지가 작동기억의 인지부하를 줄이고 학습자의 흥미를 증가시킴으로 유의미한 학습을 유도한다고 하였으며, Hibbing 와 Rankin-Erickson(2003)도 텍스트의 삽화나 시각적 이미지 형성 전략이 텍스트 이해를 촉진한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개인화메시지와 심상 형성 전략에 활용된 개인화의 원리를 텍스트에 적용하여 개인화텍스트가 설명적 텍스트 읽기에서 읽기 이해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검토하고자 하였다. Baddeley(1986, 2000)의 작동기억 이론에 의하면, 중앙집행 작동기억은 장기기억의 정보를 텍스트 정보와 연결하고 활성화된 정보 중에서 텍스트와 무관한 정보를 억제하고 조정하는 기능을 하고 언어적 작동기억과 시공간 작동기억도 읽기 이해 과정에 긴밀하게 작용하므로, 중앙집행 작동기억과 시공간 작동기억 상집단에게는 삽화텍스트가 효과적이고 중앙집행 작동기억과 언어적 작동기억 상집단에게는 개인화텍스트가 효과적일 것으로 예측하였다.
이 연구의 독립변인은 작동기억과 텍스트 유형이므로 1차 실험은 2(작동기억:상, 하)× 3(텍스트 유형:일반텍스트, 삽화텍스트, 개인화텍스트) 요인 설계로 이루어졌다. 종속변인인 읽기 이해도는 예비검사를 통해 텍스트 및 텍스트 이해 검사에 대한 타당성을 확보한 후, 재인과 추론 문제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의 1차 실험 피험자는 14-15세의 중학교 2학년 5개반 127명이었으며, 작동기억과 텍스트 유형에 따라 6개의 집단으로 배치되었다. 자료분석은 사전지식을 공변인으로 한 공분산분석(ANCOVA)을 사용하였는데, 1차 실험에서는 작동기억과 텍스트 유형 간의 상호작용 효과와 텍스트 유형의 주효과는 없었고 작동기억에 따른 주효과만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가 1차 실험에서 사용한 텍스트의 내용이 삽화나 개인화 유형에 따른 도움이 불필요할 만큼 쉽고 길이도 짧았던 것에 있다고 판단되어 이를 조정한 2차 실험을 실시하였다.
2차 실험은 텍스트 길이와 작동기억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관련된 내용의 다른 텍스트를 더 읽는 다중텍스트가 추가되어 2(작동기억:상, 하) × 4(텍스트 유형:일반텍스트, 삽화텍스트, 개인화텍스트, 다중텍스트) 요인 설계로 이루어졌다. 실험은 2학년 6개반 164명을 대상으로 작동기억과 텍스트 유형에 따라 각각 8개의 집단에 배치하여 실시하였다. 2차 실험 결과 재인과제에서 작동기억과 텍스트 유형 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으나 추론과제에서는 상호작용 효과는 없었고 작동기억과 텍스트 유형에 따른 주효과만 나타났다. 다중텍스트는 상호작용 효과를 보인 재인과제에서는 작동기억 상하 집단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중앙집행 작동기억과 언어적 작동기억 상집단 내에서 다중텍스트가 다른 나머지 텍스트들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고 추론과제에서도 작동기억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삽화텍스트나 개인화텍스트가 모든 집단에 효과적이라기보다는 중앙집행 작동기억 상집단에 효과적이고, 두 개의 연관된 텍스트를 읽는 다중텍스트에 텍스트 내용을 연결하고 통합하는 추론 활동의 부하가 더 작용하였을 것을 시사해 주고 있다. 따라서 읽기 이해를 촉진하기 위해 삽화텍스트나 개인화텍스트를 활용하거나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 측면에서 다중텍스트를 활용할 때에는 이러한 작동기억과 추론의 인지 부하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 연구에서 사용된 추론과제가 텍스트 내 추론으로 제한되었던 만큼 보다 다양한 추론과제를 사용한다면 장기기억과 관련한 작동기억의 기능을 살펴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작동기억을 상․중․하 집단으로 나누어 후속 연구가 수행된다면 작동기억 하집단에서 더 구체적인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