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노인의 영양불량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인 MNA와 신체계측 항목을 간소화 시킨 MNA-SF을 사용하여 전북지역 요양시설 남녀 노인들의 식습관과 영양소 실태 및 건강상태에 관해 조사하여, 두 평가도구의 상관성 정도를 분석함으로써 간소화된 MNA-SF의 노인 환자의 영양상태 판정의 유용성을 규명하는데 있다.
전북지역 3개의 요양시설에서 남녀 노인들을 대상으로 남자33명, 여자 67명으로 총 100명이 설문조사에 응답하여 분석하였다.
노인환자의 평균연령은 76.7±8.4세이며, 평균 신장은 158.35±9.32cm이고, ...
본 연구는 노인의 영양불량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인 MNA와 신체계측 항목을 간소화 시킨 MNA-SF을 사용하여 전북지역 요양시설 남녀 노인들의 식습관과 영양소 실태 및 건강상태에 관해 조사하여, 두 평가도구의 상관성 정도를 분석함으로써 간소화된 MNA-SF의 노인 환자의 영양상태 판정의 유용성을 규명하는데 있다.
전북지역 3개의 요양시설에서 남녀 노인들을 대상으로 남자33명, 여자 67명으로 총 100명이 설문조사에 응답하여 분석하였다.
노인환자의 평균연령은 76.7±8.4세이며, 평균 신장은 158.35±9.32cm이고, 체중은 56.25±9.90kg이며, BMI는 22.34±2.92kg/m²로 조사되었다. 노인환자 100명 중 MNA 평가로 영양상태 양호는 18.0%, 영양불량 위험은 54.0%, 영양불량은 28.0%로 나타났고 MNA-SF 평가로 영양상태 양호는 26.0%, 영양불량 위험은 51.0%, 영양불량은 23.0%로 나타났다. MNA 결과에 따른 수면상태, 정기적 운동여부, 운동정도, 치아상태, 질병 및 질환 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p<.05) MNA-SF 결과에 따른 연령, 수면상태, 운동정도, 치아상태. 질병 및 질환 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분석결과 전반적인 MNA는 MNA-SF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923, p<.001).
따라서 본 연구결과 간소화된 MNA-SF 평가를 가지고 노인 환자의 영양 상태 판정의 좋은 지표로 이용될 수 있다고 판단되며 이를 활용한 요양시설 노인의 지속적인 영양평가를 통한 영양 개선 활동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노인의 영양불량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인 MNA와 신체계측 항목을 간소화 시킨 MNA-SF을 사용하여 전북지역 요양시설 남녀 노인들의 식습관과 영양소 실태 및 건강상태에 관해 조사하여, 두 평가도구의 상관성 정도를 분석함으로써 간소화된 MNA-SF의 노인 환자의 영양상태 판정의 유용성을 규명하는데 있다.
전북지역 3개의 요양시설에서 남녀 노인들을 대상으로 남자33명, 여자 67명으로 총 100명이 설문조사에 응답하여 분석하였다.
노인환자의 평균연령은 76.7±8.4세이며, 평균 신장은 158.35±9.32cm이고, 체중은 56.25±9.90kg이며, BMI는 22.34±2.92kg/m²로 조사되었다. 노인환자 100명 중 MNA 평가로 영양상태 양호는 18.0%, 영양불량 위험은 54.0%, 영양불량은 28.0%로 나타났고 MNA-SF 평가로 영양상태 양호는 26.0%, 영양불량 위험은 51.0%, 영양불량은 23.0%로 나타났다. MNA 결과에 따른 수면상태, 정기적 운동여부, 운동정도, 치아상태, 질병 및 질환 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p<.05) MNA-SF 결과에 따른 연령, 수면상태, 운동정도, 치아상태. 질병 및 질환 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분석결과 전반적인 MNA는 MNA-SF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923, p<.001).
따라서 본 연구결과 간소화된 MNA-SF 평가를 가지고 노인 환자의 영양 상태 판정의 좋은 지표로 이용될 수 있다고 판단되며 이를 활용한 요양시설 노인의 지속적인 영양평가를 통한 영양 개선 활동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eating habits, nutrient intake and health status of elderly men and women at nursing care institution in Jeonbuk area using MNA and MNA-SF which simplify the items of anthropometric measurement, and to determine the efficiency of MNA-SF as a assessment t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eating habits, nutrient intake and health status of elderly men and women at nursing care institution in Jeonbuk area using MNA and MNA-SF which simplify the items of anthropometric measurement, and to determine the efficiency of MNA-SF as a assessment tools for elderly patients.
In this study, a survey was carried out on total 100 elderly men(33 persons) and women(67 persons) at 3 elderly care facilities in Jeonbuk area.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Elderly patients' average age, height, weight and BMI were 76.7±8.4years, 158.35±9.32cm, 56.25±9.90kg and 22.34±2.92kg/m², respectively. The MNA respectively assessed 18.0 %, 54.0 % and 28.0 % of 100 elderly patients as well nourished, malnourished risk and malnourished status. The MNA-SF respectively assessed 26.0 %, 51.0 % and 23.0 % of 100 elderly patients as well nourished, malnourished risk and malnourished statu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lderly patients according to sleep state, regular exercise, exercise grade, teeth state, disease and number of diseases by MNA (p<.05).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lderly patients according to age, sleep state, exercise grade, teeth state, disease and number of diseases by MNA-SF (p<.05).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of between MNA and MNA-SF (r=.923, p<.001).
Consequently, it seems that the simplified MNA-SF assessment can be used as a good indicator for nutritional assessment of elderly patients, and it should be approached through continuous nutritional assessment for the elderly at institutionali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eating habits, nutrient intake and health status of elderly men and women at nursing care institution in Jeonbuk area using MNA and MNA-SF which simplify the items of anthropometric measurement, and to determine the efficiency of MNA-SF as a assessment tools for elderly patients.
In this study, a survey was carried out on total 100 elderly men(33 persons) and women(67 persons) at 3 elderly care facilities in Jeonbuk area.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Elderly patients' average age, height, weight and BMI were 76.7±8.4years, 158.35±9.32cm, 56.25±9.90kg and 22.34±2.92kg/m², respectively. The MNA respectively assessed 18.0 %, 54.0 % and 28.0 % of 100 elderly patients as well nourished, malnourished risk and malnourished status. The MNA-SF respectively assessed 26.0 %, 51.0 % and 23.0 % of 100 elderly patients as well nourished, malnourished risk and malnourished statu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lderly patients according to sleep state, regular exercise, exercise grade, teeth state, disease and number of diseases by MNA (p<.05).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lderly patients according to age, sleep state, exercise grade, teeth state, disease and number of diseases by MNA-SF (p<.05).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of between MNA and MNA-SF (r=.923, p<.001).
Consequently, it seems that the simplified MNA-SF assessment can be used as a good indicator for nutritional assessment of elderly patients, and it should be approached through continuous nutritional assessment for the elderly at institutionalize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