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상담실태와 청소년 전기에 해당하는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의 상담요구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를 수정, 보완하여 문제행동이나 문제 상황을 미연에 대처할 수 있는 효율적인 상담활동과 학생들의 보다 바람직한 성장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는데 기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 의정부시에 소재하고 있는 5개 초등학교 교사 150명과 6학년 아동 200명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교사의 상담실태 및 아동의 상담에 대한 요구를 조사 연구하였다. 그리고 분석방법은 SPSS 13을 사용하였으며 설문지의 각 하위 요인의 각 문항별로 응답의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관련 변인별(교사의 경우는 성별, 교직경력, 상담연수이수 정도, 아동의 경우는 성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검증을 통해 유의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에 상당수 이상 상담실이 설치되어 있으나 아동과의 상담 장소로 주로 교실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상담실의 활용도가 저조하다고 할 수 있다. 즉 교내 상담실이 전문상담교사의 미 배치, 예산부족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제대로 운영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또한 교사의 상담시간도 대부분 30분미만 실시하고 있으므로 체계적으로 운영되지 못하고 있다. 둘째, 교사와 아동 모두 상담 후의 효과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으나 아동은 자신의 상담 대상으로 교사를 많이 선택하지 않고 있다. 또한 상담이 대부분 교사가 요청하는 형식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상담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셋째, 학교 상담 경험이 있는 학생은 전체의 28%에 불과하며 대부분의 아동이 선생님과의 상담을 기피하는 이유는 선생님과 함께 상담하는 것이 어렵고 부담스럽다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넷째, 상담형태로 교사는 일대일 상담을 가장 효과적인 상담이라고 생각하는 반생각하는 반면 아동은 같은 또래끼리의 집단상담, 사이버 상담 등 다양한 상담 방법을 원하고 있다. 다섯째, 교사의 상담활동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과다한 업무와 상담에 대한 기본 지식과 기법의 부족 등을 들 수 있다. 초등학교 교사는 가르쳐야 할 교과목과 학년이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수업 준비에 대한 부담이 매우 크고 방과 후 과중한 업무로 인해 실제로는 활발한 상담활동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상의 의견을 종합해보면 상담실 운영에 대한 행정적․제도적인 면에서 지원방안이 요구되며 상담활동이 활성화되기 위해서 교사는 아동이 부담 없이 이야기 할 수 있도록 학생과의 친밀감 형성(...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상담실태와 청소년 전기에 해당하는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의 상담요구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를 수정, 보완하여 문제행동이나 문제 상황을 미연에 대처할 수 있는 효율적인 상담활동과 학생들의 보다 바람직한 성장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는데 기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 의정부시에 소재하고 있는 5개 초등학교 교사 150명과 6학년 아동 200명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교사의 상담실태 및 아동의 상담에 대한 요구를 조사 연구하였다. 그리고 분석방법은 SPSS 13을 사용하였으며 설문지의 각 하위 요인의 각 문항별로 응답의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관련 변인별(교사의 경우는 성별, 교직경력, 상담연수이수 정도, 아동의 경우는 성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검증을 통해 유의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에 상당수 이상 상담실이 설치되어 있으나 아동과의 상담 장소로 주로 교실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상담실의 활용도가 저조하다고 할 수 있다. 즉 교내 상담실이 전문상담교사의 미 배치, 예산부족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제대로 운영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또한 교사의 상담시간도 대부분 30분미만 실시하고 있으므로 체계적으로 운영되지 못하고 있다. 둘째, 교사와 아동 모두 상담 후의 효과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으나 아동은 자신의 상담 대상으로 교사를 많이 선택하지 않고 있다. 또한 상담이 대부분 교사가 요청하는 형식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상담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셋째, 학교 상담 경험이 있는 학생은 전체의 28%에 불과하며 대부분의 아동이 선생님과의 상담을 기피하는 이유는 선생님과 함께 상담하는 것이 어렵고 부담스럽다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넷째, 상담형태로 교사는 일대일 상담을 가장 효과적인 상담이라고 생각하는 반생각하는 반면 아동은 같은 또래끼리의 집단상담, 사이버 상담 등 다양한 상담 방법을 원하고 있다. 다섯째, 교사의 상담활동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과다한 업무와 상담에 대한 기본 지식과 기법의 부족 등을 들 수 있다. 초등학교 교사는 가르쳐야 할 교과목과 학년이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수업 준비에 대한 부담이 매우 크고 방과 후 과중한 업무로 인해 실제로는 활발한 상담활동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상의 의견을 종합해보면 상담실 운영에 대한 행정적․제도적인 면에서 지원방안이 요구되며 상담활동이 활성화되기 위해서 교사는 아동이 부담 없이 이야기 할 수 있도록 학생과의 친밀감 형성(Rapport)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교사의 업무를 경감할 수 있는 간소화된 행정체계와 행정업무 전문담당 교사를 배치하여 상담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상담실태와 청소년 전기에 해당하는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의 상담요구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를 수정, 보완하여 문제행동이나 문제 상황을 미연에 대처할 수 있는 효율적인 상담활동과 학생들의 보다 바람직한 성장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는데 기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 의정부시에 소재하고 있는 5개 초등학교 교사 150명과 6학년 아동 200명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교사의 상담실태 및 아동의 상담에 대한 요구를 조사 연구하였다. 그리고 분석방법은 SPSS 13을 사용하였으며 설문지의 각 하위 요인의 각 문항별로 응답의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관련 변인별(교사의 경우는 성별, 교직경력, 상담연수이수 정도, 아동의 경우는 성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검증을 통해 유의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에 상당수 이상 상담실이 설치되어 있으나 아동과의 상담 장소로 주로 교실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상담실의 활용도가 저조하다고 할 수 있다. 즉 교내 상담실이 전문상담교사의 미 배치, 예산부족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제대로 운영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또한 교사의 상담시간도 대부분 30분미만 실시하고 있으므로 체계적으로 운영되지 못하고 있다. 둘째, 교사와 아동 모두 상담 후의 효과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으나 아동은 자신의 상담 대상으로 교사를 많이 선택하지 않고 있다. 또한 상담이 대부분 교사가 요청하는 형식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상담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셋째, 학교 상담 경험이 있는 학생은 전체의 28%에 불과하며 대부분의 아동이 선생님과의 상담을 기피하는 이유는 선생님과 함께 상담하는 것이 어렵고 부담스럽다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넷째, 상담형태로 교사는 일대일 상담을 가장 효과적인 상담이라고 생각하는 반생각하는 반면 아동은 같은 또래끼리의 집단상담, 사이버 상담 등 다양한 상담 방법을 원하고 있다. 다섯째, 교사의 상담활동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과다한 업무와 상담에 대한 기본 지식과 기법의 부족 등을 들 수 있다. 초등학교 교사는 가르쳐야 할 교과목과 학년이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수업 준비에 대한 부담이 매우 크고 방과 후 과중한 업무로 인해 실제로는 활발한 상담활동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상의 의견을 종합해보면 상담실 운영에 대한 행정적․제도적인 면에서 지원방안이 요구되며 상담활동이 활성화되기 위해서 교사는 아동이 부담 없이 이야기 할 수 있도록 학생과의 친밀감 형성(Rapport)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교사의 업무를 경감할 수 있는 간소화된 행정체계와 행정업무 전문담당 교사를 배치하여 상담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is to analyze h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hereafter called "the teacher") actually do a counseling for students and what the 6th grader's demand is at the entry of adolescent period, to find out any problems and defects to amend and compensate, and to help lead an efficient counsel...
This research is to analyze h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hereafter called "the teacher") actually do a counseling for students and what the 6th grader's demand is at the entry of adolescent period, to find out any problems and defects to amend and compensate, and to help lead an efficient counseling for preventing bad actions or aggravation and understanding more desirable growth.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was done to survey the state of counseling and children's demand, targeting 150 teachers at five elementary schools and 6th grade of 200 students in the city of Eujeongbu, Gyeonggi-do. And this analysis adopted SPSS 13 to calculate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for each response to a question regarding the subordinate factors in the questionnaire and verified the significance through test to recognize the difference for each variable (sex, teaching career, counseling credits for teachers, and the sex for students).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quite a few elementary schools have a separate counseling room, but seldom use it because the counseling is given at classroom. In other words, it is not well-managed and used due to so many reasons as few professional counselors and little budget. In addition, the time for counseling is just less than 30 minutes mostly, lacking in systematic operation. Second, teachers as well as students think the effect of counseling is positive, but children don't choose a teacher as a counselor. Moreover, most of counseling cases start from teacher's request, but very few cases from student's voluntary request. Third, only 28% of students get a counseling from teachers, and most of them hesitate with teachers because they feel it difficult and reluctant to make a conversation with them. Fourth, teachers think 1:1 meeting is the most effective way in counseling, but children want a group counseling with friends, cyber counseling, and other various methods. Fifth, hindering teacher's active counseling results from a severe burden of duties and lacking in such basic knowledge and skills. The teachers at elementary schools don't have their subjects and graders not limited to teach, so they suffer from preparing for classes and also some hard work after school stunts their voluntary counseling activities.
This research is to analyze h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hereafter called "the teacher") actually do a counseling for students and what the 6th grader's demand is at the entry of adolescent period, to find out any problems and defects to amend and compensate, and to help lead an efficient counseling for preventing bad actions or aggravation and understanding more desirable growth.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was done to survey the state of counseling and children's demand, targeting 150 teachers at five elementary schools and 6th grade of 200 students in the city of Eujeongbu, Gyeonggi-do. And this analysis adopted SPSS 13 to calculate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for each response to a question regarding the subordinate factors in the questionnaire and verified the significance through test to recognize the difference for each variable (sex, teaching career, counseling credits for teachers, and the sex for students).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quite a few elementary schools have a separate counseling room, but seldom use it because the counseling is given at classroom. In other words, it is not well-managed and used due to so many reasons as few professional counselors and little budget. In addition, the time for counseling is just less than 30 minutes mostly, lacking in systematic operation. Second, teachers as well as students think the effect of counseling is positive, but children don't choose a teacher as a counselor. Moreover, most of counseling cases start from teacher's request, but very few cases from student's voluntary request. Third, only 28% of students get a counseling from teachers, and most of them hesitate with teachers because they feel it difficult and reluctant to make a conversation with them. Fourth, teachers think 1:1 meeting is the most effective way in counseling, but children want a group counseling with friends, cyber counseling, and other various methods. Fifth, hindering teacher's active counseling results from a severe burden of duties and lacking in such basic knowledge and skills. The teachers at elementary schools don't have their subjects and graders not limited to teach, so they suffer from preparing for classes and also some hard work after school stunts their voluntary counseling activities.
Keyword
#초등학교 교사 상담실태 상담요구 Counseling Elementary School Teacher Student's Demand
학위논문 정보
저자
정병은
학위수여기관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교육학과
발행연도
2011
총페이지
vi, 64 p.
키워드
초등학교 교사 상담실태 상담요구 Counseling Elementary School Teacher Student's Deman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