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법교육과 시뮬레이션 게임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시뮬레이션 게임을 개발하고 수업에 적용하여 법교육에서 얻을 수 있는 시뮬레이션 게임의 효과를 실제적으로 파악하는 가운데 초등학교 법교육을 위한 시뮬레이션 게임의 설계의 기틀을 제안하고자 한다. 시뮬레이션 게임의 개발은 Livingston & Stoll(1973)과 Thomas(1972)가 제시한 시뮬레이션 게임의 모델 개발 절차를 참고하여 이루어졌다. 연구자가 개발한 시뮬레이션 게임은 법을 제정하거나 개정하는 원리를 이해하고, 국회 본회의 절차에 따라 학급 규칙을 정하는 것을 학습 목표로 하고 교실에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학급회의 장면을 게임의 소재로 삼았다. 본 게임은 Birt & Nichol(1975)이 제시한 토론형 게임 유형으로 게임 참가자들은 학급의장, 학생의원(토론자, 평가자)의 역할을 나누어 맡는다. 학급 회의에 제안된 규칙은 각 상임위원회에서 심사하여 규칙안을 확정한다. 확정된 규칙안은 본회의에 상정되고 전체 토론을 통해 학급 규칙으로의 결정 여부를 정한다. 연구자는 시뮬레이션 게임을 개발한 후 이론적ㆍ정량적 연구에서 밝혀진 시뮬레이션 게임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서울 G초등학교 5학년 한 학급 학생들에게 본 게임을 적용하여 실제 수업의 모습을 참여관찰법을 통해 관찰하고 학생 소감문을 분석하고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시뮬레이션 게임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과정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법의식의 인지적 측면에서 볼 때 입법 기관에 대한 인식이 정확해졌다. 법이 제정되는 기관에 대해 가지고 있던 ...
본 연구에서는 법교육과 시뮬레이션 게임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시뮬레이션 게임을 개발하고 수업에 적용하여 법교육에서 얻을 수 있는 시뮬레이션 게임의 효과를 실제적으로 파악하는 가운데 초등학교 법교육을 위한 시뮬레이션 게임의 설계의 기틀을 제안하고자 한다. 시뮬레이션 게임의 개발은 Livingston & Stoll(1973)과 Thomas(1972)가 제시한 시뮬레이션 게임의 모델 개발 절차를 참고하여 이루어졌다. 연구자가 개발한 시뮬레이션 게임은 법을 제정하거나 개정하는 원리를 이해하고, 국회 본회의 절차에 따라 학급 규칙을 정하는 것을 학습 목표로 하고 교실에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학급회의 장면을 게임의 소재로 삼았다. 본 게임은 Birt & Nichol(1975)이 제시한 토론형 게임 유형으로 게임 참가자들은 학급의장, 학생의원(토론자, 평가자)의 역할을 나누어 맡는다. 학급 회의에 제안된 규칙은 각 상임위원회에서 심사하여 규칙안을 확정한다. 확정된 규칙안은 본회의에 상정되고 전체 토론을 통해 학급 규칙으로의 결정 여부를 정한다. 연구자는 시뮬레이션 게임을 개발한 후 이론적ㆍ정량적 연구에서 밝혀진 시뮬레이션 게임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서울 G초등학교 5학년 한 학급 학생들에게 본 게임을 적용하여 실제 수업의 모습을 참여관찰법을 통해 관찰하고 학생 소감문을 분석하고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시뮬레이션 게임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과정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법의식의 인지적 측면에서 볼 때 입법 기관에 대한 인식이 정확해졌다. 법이 제정되는 기관에 대해 가지고 있던 오개념이 수정되었다. 국회에서 법률을 제정하는 절차에 따라 학급 규칙을 정하는 활동을 통해 입법기관으로서 국회의 역할에 대해 올바르게 파악하게 된 것이다. 또한 법의 필요성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공감하는 학생들이 늘어났다. 학급 규칙을 제정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학생들과 공감대를 형성한 뒤 규칙을 제정하는 과정을 거쳤기 때문에 법이 사회에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학생들이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법의 필요성에 대해 학생들이 긍정적인 인식을 갖게 되었다. 둘째, 정의적 측면에서 볼 때 법적 친근감이 상승하였다. 법적 친근감이란 법에 대한 정서적인 반응으로 대다수의 학생들이 법은 일상생활과 관련이 많다고 대답하였다. 학생들의 학교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학급 규칙이 시행되면서 그들의 생활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인지하게 된 것이다. 한편으로는 대다수의 학생들이 법은 복잡하고 까다롭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학급 규칙을 제정하기 위한 과정이 토론 과정을 여러 번 거치고 규칙안을 작성하는데 고려해야 할 점이 많았기 때문이다. 이 밖에 준법의식은 차이가 미세하지만 높아졌다. 셋째, 행동적 측면에서 볼 때 시뮬레이션 게임은 학생들의 법적 참여 의식과 법사용 의사를 고취시킨다. 시뮬레이션 게임을 통해 학급 규칙을 제정해 본 학생들은 규칙을 제정 과정에서 자신들의 의견이 반영되는 것을 경험하였고, 게임을 끝낸 뒤 실제로 학생들의 의견이 법을 제정하는 데에도 반영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이것이 법적 효능감의 상승으로 연결되었다. 법적 효능감이 높아진 학생들 중에는 어린이 국회의원이나 어린이 법제관에 관심을 보이며 구체적인 역할과 참여방법에 대해 자발적으로 알아보기도 하였다. 이 밖에 시뮬레이션 게임을 통해 학생들은 다수결의 원리나 비판적인 토론을 통한 갈등 해결 방법 등 사회에서 작용되고 있는 원리를 현실과 유사한 상황이 구현된 교실 속에서 체험 활동을 통해 익힐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학습 태도와 관련하여 시뮬레이션 게임은 학생의 흥미나 관심을 유발한다. 게임의 가장 큰 요소인 승패의 결정은 학생들로 하여금 수업에 더 집중하고자 하는 욕구를 일으켰다. 또한 학급 규칙에 대해 비판적으로 의견을 주고받고 주체적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자신감과 자기 만족감도 얻었다. 사회과 법교육 시뮬레이션 게임의 개발 및 적용 시 고려할 점들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법교육 구성요소에 적합한 다양한 시뮬레이션 게임을 개발하여 초등학교에서 법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데 큰 기여를 해야 한다. 둘째, 학습요소를 적절하게 담고 있는 시뮬레이션 게임을 개발하여 흥미와 학습효과를 동시에 거둘 수 있어야 한다. 게임의 절차와 방법에 대해 학생들에게 잘 인식시키고 시뮬레이션 게임에 임해야 한다. 그리고 현장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게임을 개발하고 활용할 수 있는 자료들을 보급하는데 많은 노력과 관심이 필요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법교육에 적합한 시뮬레이션 게임이 충분히 개발되어 교수ㆍ학습 방법으로 일반화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학생들은 시뮬레이션 게임을 통해 사회에 적용되는 원리를 발견하고 사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사회 구성원으로서 역할을 다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법교육과 시뮬레이션 게임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시뮬레이션 게임을 개발하고 수업에 적용하여 법교육에서 얻을 수 있는 시뮬레이션 게임의 효과를 실제적으로 파악하는 가운데 초등학교 법교육을 위한 시뮬레이션 게임의 설계의 기틀을 제안하고자 한다. 시뮬레이션 게임의 개발은 Livingston & Stoll(1973)과 Thomas(1972)가 제시한 시뮬레이션 게임의 모델 개발 절차를 참고하여 이루어졌다. 연구자가 개발한 시뮬레이션 게임은 법을 제정하거나 개정하는 원리를 이해하고, 국회 본회의 절차에 따라 학급 규칙을 정하는 것을 학습 목표로 하고 교실에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학급회의 장면을 게임의 소재로 삼았다. 본 게임은 Birt & Nichol(1975)이 제시한 토론형 게임 유형으로 게임 참가자들은 학급의장, 학생의원(토론자, 평가자)의 역할을 나누어 맡는다. 학급 회의에 제안된 규칙은 각 상임위원회에서 심사하여 규칙안을 확정한다. 확정된 규칙안은 본회의에 상정되고 전체 토론을 통해 학급 규칙으로의 결정 여부를 정한다. 연구자는 시뮬레이션 게임을 개발한 후 이론적ㆍ정량적 연구에서 밝혀진 시뮬레이션 게임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서울 G초등학교 5학년 한 학급 학생들에게 본 게임을 적용하여 실제 수업의 모습을 참여관찰법을 통해 관찰하고 학생 소감문을 분석하고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시뮬레이션 게임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과정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법의식의 인지적 측면에서 볼 때 입법 기관에 대한 인식이 정확해졌다. 법이 제정되는 기관에 대해 가지고 있던 오개념이 수정되었다. 국회에서 법률을 제정하는 절차에 따라 학급 규칙을 정하는 활동을 통해 입법기관으로서 국회의 역할에 대해 올바르게 파악하게 된 것이다. 또한 법의 필요성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공감하는 학생들이 늘어났다. 학급 규칙을 제정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학생들과 공감대를 형성한 뒤 규칙을 제정하는 과정을 거쳤기 때문에 법이 사회에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학생들이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법의 필요성에 대해 학생들이 긍정적인 인식을 갖게 되었다. 둘째, 정의적 측면에서 볼 때 법적 친근감이 상승하였다. 법적 친근감이란 법에 대한 정서적인 반응으로 대다수의 학생들이 법은 일상생활과 관련이 많다고 대답하였다. 학생들의 학교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학급 규칙이 시행되면서 그들의 생활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인지하게 된 것이다. 한편으로는 대다수의 학생들이 법은 복잡하고 까다롭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학급 규칙을 제정하기 위한 과정이 토론 과정을 여러 번 거치고 규칙안을 작성하는데 고려해야 할 점이 많았기 때문이다. 이 밖에 준법의식은 차이가 미세하지만 높아졌다. 셋째, 행동적 측면에서 볼 때 시뮬레이션 게임은 학생들의 법적 참여 의식과 법사용 의사를 고취시킨다. 시뮬레이션 게임을 통해 학급 규칙을 제정해 본 학생들은 규칙을 제정 과정에서 자신들의 의견이 반영되는 것을 경험하였고, 게임을 끝낸 뒤 실제로 학생들의 의견이 법을 제정하는 데에도 반영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이것이 법적 효능감의 상승으로 연결되었다. 법적 효능감이 높아진 학생들 중에는 어린이 국회의원이나 어린이 법제관에 관심을 보이며 구체적인 역할과 참여방법에 대해 자발적으로 알아보기도 하였다. 이 밖에 시뮬레이션 게임을 통해 학생들은 다수결의 원리나 비판적인 토론을 통한 갈등 해결 방법 등 사회에서 작용되고 있는 원리를 현실과 유사한 상황이 구현된 교실 속에서 체험 활동을 통해 익힐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학습 태도와 관련하여 시뮬레이션 게임은 학생의 흥미나 관심을 유발한다. 게임의 가장 큰 요소인 승패의 결정은 학생들로 하여금 수업에 더 집중하고자 하는 욕구를 일으켰다. 또한 학급 규칙에 대해 비판적으로 의견을 주고받고 주체적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자신감과 자기 만족감도 얻었다. 사회과 법교육 시뮬레이션 게임의 개발 및 적용 시 고려할 점들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법교육 구성요소에 적합한 다양한 시뮬레이션 게임을 개발하여 초등학교에서 법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데 큰 기여를 해야 한다. 둘째, 학습요소를 적절하게 담고 있는 시뮬레이션 게임을 개발하여 흥미와 학습효과를 동시에 거둘 수 있어야 한다. 게임의 절차와 방법에 대해 학생들에게 잘 인식시키고 시뮬레이션 게임에 임해야 한다. 그리고 현장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게임을 개발하고 활용할 수 있는 자료들을 보급하는데 많은 노력과 관심이 필요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법교육에 적합한 시뮬레이션 게임이 충분히 개발되어 교수ㆍ학습 방법으로 일반화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학생들은 시뮬레이션 게임을 통해 사회에 적용되는 원리를 발견하고 사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사회 구성원으로서 역할을 다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ctual effect of simulation game on law-related education by developing and applying simulation game to classe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law-related education and simulation game, and to suggest the basis for the design of simulation game for elementary school law...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ctual effect of simulation game on law-related education by developing and applying simulation game to classe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law-related education and simulation game, and to suggest the basis for the design of simulation game for elementary school law-related education. In order to develop simulation game, the development procedures of the model for simulation game suggested by Livingston & Stoll(1973) and Thomas(1972) were referred. The goal of the simulation game developed by the researcher was to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legislating or reforming law and to decide class rules in accordance with the procedures of the Assembly plenary session as also taking the scene of a class meeting to maintain the class order as the material of the game. Based on the debate-type game suggested by Birt & Nichol(1975). The rules suggested to the class meeting are screened by each standing committee and the items of rule are confirmed. After bringing confirmed items of rule in the plenary session, it is decided if the rules will be decided as the class rules through the general debate. In order to see the effect of simulation game that has been revealed by theoretical and quantitative researches after developing the simulation game, the researcher applied this game to the whole class students of the 5th grade in Seoul G Elementary School and also observed the actual class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analyzed students' essay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 The results received through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applying simulation game are like below. In the aspect of cognizing legal consciousness, first, the cognition of the legislature became accurate. The wrong concept of the legislature was corrected. Through the activity of deciding class rules in accordance with the procedures of legislating in the National Assembly, students were able to correctly understand the roles of the National Assembly as the legislature. Also the number of students who could sympathize the necessity of law was increased. Since they experienced the process of deciding rules after forming a bond of sympathy with students about the reason why class rules should be decided, they could understand the meaning of law in society and have positive 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law. Second, the sense of closeness towards law was increased in the affective aspect. The sense of closeness towards law is an emotional reaction. Most of the students responded that law is a lot related to daily life. As the class rules that were closely related to their school life were enforced, they also recognized that it had influence on their lives. Meanwhile, most students responded that law is complex and difficult. This is because there were many things to be considered to write the items of rule after going through several debate processes to decide class rules. Besides them, the law-abiding spirit was minutely increased. In the aspect of behavior, third, simulation game inspires consciousness of legal participation and intention of using law. The students who decided class rules through simulation game experienced that their opinions were reflected to the process of deciding rules and also understood the fact that their opinions could be actually reflected to legislating after finishing the game, and this was connected to the improvement of sense of legal efficacy. Some students with improved sense of legal efficacy showed interested in child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or child Legislative Officer as voluntarily looking for its detailed roles and participation methods. Through simulation game, students are able to learn the principles that work in society like conflict resolution methods through majority decision or critical debate in their class where conditions similar to reality is realized. Related to learning attitude, lastly, simulation game induces students' interest. The outcome of the game which is the biggest element of game aroused students' concentration on classes. Through the process of sharing opinions critically and deciding rules, they got confidence and self-satisfaction. What should be considered in case of developing/applying simulation game for social department and law-related education can be suggested like below. First, various simulation games suitable for the components of law-related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and contributed to active law-related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By developing simulation game that contains learning elements properly, second, both interest and learning effect should be obtained. Students should be involved in simulation game after fully recognizing the process and methods of the game. Based on the study results above, simulation games suitable for elementary school law education should be more developed and generalized as a teaching/learning method. Also students can play a role as social members that actively participate in society and discover principles of society through simulation gam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ctual effect of simulation game on law-related education by developing and applying simulation game to classe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law-related education and simulation game, and to suggest the basis for the design of simulation game for elementary school law-related education. In order to develop simulation game, the development procedures of the model for simulation game suggested by Livingston & Stoll(1973) and Thomas(1972) were referred. The goal of the simulation game developed by the researcher was to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legislating or reforming law and to decide class rules in accordance with the procedures of the Assembly plenary session as also taking the scene of a class meeting to maintain the class order as the material of the game. Based on the debate-type game suggested by Birt & Nichol(1975). The rules suggested to the class meeting are screened by each standing committee and the items of rule are confirmed. After bringing confirmed items of rule in the plenary session, it is decided if the rules will be decided as the class rules through the general debate. In order to see the effect of simulation game that has been revealed by theoretical and quantitative researches after developing the simulation game, the researcher applied this game to the whole class students of the 5th grade in Seoul G Elementary School and also observed the actual class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analyzed students' essay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 The results received through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applying simulation game are like below. In the aspect of cognizing legal consciousness, first, the cognition of the legislature became accurate. The wrong concept of the legislature was corrected. Through the activity of deciding class rules in accordance with the procedures of legislating in the National Assembly, students were able to correctly understand the roles of the National Assembly as the legislature. Also the number of students who could sympathize the necessity of law was increased. Since they experienced the process of deciding rules after forming a bond of sympathy with students about the reason why class rules should be decided, they could understand the meaning of law in society and have positive 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law. Second, the sense of closeness towards law was increased in the affective aspect. The sense of closeness towards law is an emotional reaction. Most of the students responded that law is a lot related to daily life. As the class rules that were closely related to their school life were enforced, they also recognized that it had influence on their lives. Meanwhile, most students responded that law is complex and difficult. This is because there were many things to be considered to write the items of rule after going through several debate processes to decide class rules. Besides them, the law-abiding spirit was minutely increased. In the aspect of behavior, third, simulation game inspires consciousness of legal participation and intention of using law. The students who decided class rules through simulation game experienced that their opinions were reflected to the process of deciding rules and also understood the fact that their opinions could be actually reflected to legislating after finishing the game, and this was connected to the improvement of sense of legal efficacy. Some students with improved sense of legal efficacy showed interested in child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or child Legislative Officer as voluntarily looking for its detailed roles and participation methods. Through simulation game, students are able to learn the principles that work in society like conflict resolution methods through majority decision or critical debate in their class where conditions similar to reality is realized. Related to learning attitude, lastly, simulation game induces students' interest. The outcome of the game which is the biggest element of game aroused students' concentration on classes. Through the process of sharing opinions critically and deciding rules, they got confidence and self-satisfaction. What should be considered in case of developing/applying simulation game for social department and law-related education can be suggested like below. First, various simulation games suitable for the components of law-related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and contributed to active law-related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By developing simulation game that contains learning elements properly, second, both interest and learning effect should be obtained. Students should be involved in simulation game after fully recognizing the process and methods of the game. Based on the study results above, simulation games suitable for elementary school law education should be more developed and generalized as a teaching/learning method. Also students can play a role as social members that actively participate in society and discover principles of society through simulation gam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