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자원봉사 활동에 참여하는 자원봉사 기관의 특성과 봉사활동 만족도를 파악하고, 봉사활동 기관의 특성이 봉사활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 남구 지역 사회복지관에서 활동하고 있는 자원봉사자 150명으로, 2012년 4월 2일부터 2012년 4월 2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자원봉사자의 봉사활동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최 경 분
영남대학교 행정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전공
지도교수 이 재 모
요약
본 연구는 자원봉사 활동에 참여하는 자원봉사 기관의 특성과 봉사활동 만족도를 파악하고, 봉사활동 기관의 특성이 봉사활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 남구 지역 사회복지관에서 활동하고 있는 자원봉사자 150명으로, 2012년 4월 2일부터 2012년 4월 2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백분율, 표준편차,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한 후 Tukey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조사 응답자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을 빈도와 백분율로 파악하였고, 기관의 특성이 봉사활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회귀분석 및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인 자원봉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평균 연령은 50-59세가 가장 많았으며, 학력은 대졸이상이 47%를 차지, 종교는 72%가 가지고 있었으며 조사대상자의 45.8%는 자신의 경제상태가 중하위로서 가난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봉사활동 기간은 3년 이상이 64.5%, 직업은 회사원이 26.7%, 봉사활동 대상자는 노인이 63.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둘째, 성별과 봉사활동 만족도에서는 유의수준 0.05에서 사회적 접촉욕구 영역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10대와 70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자원봉사자의 직업과 봉사활동 만족도에서는 유의수준 0.05에서 사회적 접촉욕구와 성취욕구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사회적 접촉욕구는 학생이(M=4.10) 가장 높고 종교단체(M=3.47)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취 욕구는 회사원(M=3.84)이 가장 높고 종교단체(M=3.33)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셋째, 봉사활동 기관의 특성과 봉사활동 만족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기관의 인지도가 높을수록 기관시설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적 인정욕구, 사회적 교환욕구, 타인기대 부응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봉사활동기관 직원의 태도와 봉사활동 만족도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적률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최고 관리자의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적 접촉욕구와 사회적 교환욕구가 높았다. 자원봉사 담당자의 태도 점수가 높을수록 타인기대 부응욕구가 높고, 자원봉사 담당자이외의 직원태도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적 인정욕구와 성취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봉사활동 기관의 자원봉사자 관리방법과 기관의 지원이 봉사활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한 결과 자원봉사 기초교육은 64.3%가 받았던 반면 재교육은 받지 않았으며, 봉사활동 기관의 지원과 만족도를 살펴보면 유의수준 0.05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원봉사자의 봉사활동 만족도를 파악하고 그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자원봉사자의 봉사활동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최 경 분
영남대학교 행정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전공
지도교수 이 재 모
요약
본 연구는 자원봉사 활동에 참여하는 자원봉사 기관의 특성과 봉사활동 만족도를 파악하고, 봉사활동 기관의 특성이 봉사활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 남구 지역 사회복지관에서 활동하고 있는 자원봉사자 150명으로, 2012년 4월 2일부터 2012년 4월 2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백분율, 표준편차,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한 후 Tukey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조사 응답자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을 빈도와 백분율로 파악하였고, 기관의 특성이 봉사활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회귀분석 및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인 자원봉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평균 연령은 50-59세가 가장 많았으며, 학력은 대졸이상이 47%를 차지, 종교는 72%가 가지고 있었으며 조사대상자의 45.8%는 자신의 경제상태가 중하위로서 가난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봉사활동 기간은 3년 이상이 64.5%, 직업은 회사원이 26.7%, 봉사활동 대상자는 노인이 63.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둘째, 성별과 봉사활동 만족도에서는 유의수준 0.05에서 사회적 접촉욕구 영역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10대와 70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자원봉사자의 직업과 봉사활동 만족도에서는 유의수준 0.05에서 사회적 접촉욕구와 성취욕구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사회적 접촉욕구는 학생이(M=4.10) 가장 높고 종교단체(M=3.47)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취 욕구는 회사원(M=3.84)이 가장 높고 종교단체(M=3.33)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셋째, 봉사활동 기관의 특성과 봉사활동 만족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기관의 인지도가 높을수록 기관시설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적 인정욕구, 사회적 교환욕구, 타인기대 부응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봉사활동기관 직원의 태도와 봉사활동 만족도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적률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최고 관리자의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적 접촉욕구와 사회적 교환욕구가 높았다. 자원봉사 담당자의 태도 점수가 높을수록 타인기대 부응욕구가 높고, 자원봉사 담당자이외의 직원태도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적 인정욕구와 성취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봉사활동 기관의 자원봉사자 관리방법과 기관의 지원이 봉사활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한 결과 자원봉사 기초교육은 64.3%가 받았던 반면 재교육은 받지 않았으며, 봉사활동 기관의 지원과 만족도를 살펴보면 유의수준 0.05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원봉사자의 봉사활동 만족도를 파악하고 그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