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자녀가 독립한 중년여성들이 경험하는 부부친밀감의 현상과 그 본질적 의미를 현상학적으로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 참여자들은 다음과 같은 기준에 맞는 10명의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첫째, 성인자녀를 독립시키고 현재 부부친밀감이 좋다고 스스로 평가하고 있으며 둘째, 40세에서 60세 사이의 중년여성이다.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성인자녀가 독립한 중년여성들의 경험과 관련하여 5개의 범주, 14개의 주제군, 29개의 주제, 160개의 의미단위가 발견되었다. 도출된 5개의 범주는 유사, 접촉, 공유, 수용, 상호작용이다. 다섯 개 범주들을 통합적으로 이해하여 도출한 부부친밀감 현상의 본질적 의미는 ‘부부가 시공간적으로 ...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자녀가 독립한 중년여성들이 경험하는 부부친밀감의 현상과 그 본질적 의미를 현상학적으로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 참여자들은 다음과 같은 기준에 맞는 10명의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첫째, 성인자녀를 독립시키고 현재 부부친밀감이 좋다고 스스로 평가하고 있으며 둘째, 40세에서 60세 사이의 중년여성이다.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성인자녀가 독립한 중년여성들의 경험과 관련하여 5개의 범주, 14개의 주제군, 29개의 주제, 160개의 의미단위가 발견되었다. 도출된 5개의 범주는 유사, 접촉, 공유, 수용, 상호작용이다. 다섯 개 범주들을 통합적으로 이해하여 도출한 부부친밀감 현상의 본질적 의미는 ‘부부가 시공간적으로 일상사를 함께하면서 축적된 안정적이고 호혜적인 관계에서 느끼는 가치롭고 만족스러운 감정’이다. 성인 자녀가 독립한 중년여성들이 경험하는 부부친밀감의 첫 번째 현상은 유사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배우자와 삶을 바라보는 원칙과 사고 뿐 아니라 가치관, 사회적 현상이나 주변 상황을 보는 시각이 거의 비슷할 때 친밀하다고 경험하고 있다. 두 번째 현상은 접촉이다. 참여자들은 정서적, 신체적 그리고 성적으로 서로 가까워지는 경험들을 진술하고 있다. 참여자들은 부모의 역할이 사라진 공간에서 남성과 여성으로 만나면서 새로운 감정들을 느끼고 있다. 세 번째 현상은 공유이다. 시간과 공간을 함께하면서 삶에 대해 같은 지향을 갖고 있는 것을 뜻한다. 연구 참여자들은 일상과 여가를 함께 하고 자녀양육, 살림을 같이 하며 양가 가족의 일원이 되면서 친밀감을 경험한다고 진술한다. 또한 이들은 같은 목표를 갖고 미래를 바라보며 이를 이루어가기 위해 노력하면서 친밀하다는 경험을 하고 있다. 다섯 번째 현상은 수용이다. 본 연구 참여자들은 함께하는 시간이 축적되면서 배우자의 사고나 기질, 행동유형이 어떠하든지 통제하거나 변화시키려하지 않고 인정해주고 있다. 배우자의 장단점을 모두 알지만 오랜 연륜에 힘입어 상대방을 존중하며 받아들일 수 있게 된 현상 자체를 친밀함으로 경험하고 있다. 다섯 번째는 상호작용이다. 참여자들은 아내와 가까워지기 위해 남편이 노력하거나 남편에게 자신이 중요한 대상이라는 확신이 들 때 그리고 이전과는 달리 의존이나 종속이 아니라 개인적 성향을 서로 인정해주는 독립적인 방향으로 상호작용하면서 친밀감을 경험하고 있다. 성인 자녀가 독립한 중년여성들에게 부부친밀감이라고 하는, 긴 시간 동안 삶을 공유하며 축적한 안정적이고 호혜적인 정서적 든든함은 삶의 원동력으로서 중년여성들로 하여금 개인의 삶을 펼쳐 나아가도록 지지기반이 되어주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자녀가 독립한 중년여성들이 경험하는 부부친밀감의 현상과 그 본질적 의미를 현상학적으로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 참여자들은 다음과 같은 기준에 맞는 10명의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첫째, 성인자녀를 독립시키고 현재 부부친밀감이 좋다고 스스로 평가하고 있으며 둘째, 40세에서 60세 사이의 중년여성이다.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성인자녀가 독립한 중년여성들의 경험과 관련하여 5개의 범주, 14개의 주제군, 29개의 주제, 160개의 의미단위가 발견되었다. 도출된 5개의 범주는 유사, 접촉, 공유, 수용, 상호작용이다. 다섯 개 범주들을 통합적으로 이해하여 도출한 부부친밀감 현상의 본질적 의미는 ‘부부가 시공간적으로 일상사를 함께하면서 축적된 안정적이고 호혜적인 관계에서 느끼는 가치롭고 만족스러운 감정’이다. 성인 자녀가 독립한 중년여성들이 경험하는 부부친밀감의 첫 번째 현상은 유사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배우자와 삶을 바라보는 원칙과 사고 뿐 아니라 가치관, 사회적 현상이나 주변 상황을 보는 시각이 거의 비슷할 때 친밀하다고 경험하고 있다. 두 번째 현상은 접촉이다. 참여자들은 정서적, 신체적 그리고 성적으로 서로 가까워지는 경험들을 진술하고 있다. 참여자들은 부모의 역할이 사라진 공간에서 남성과 여성으로 만나면서 새로운 감정들을 느끼고 있다. 세 번째 현상은 공유이다. 시간과 공간을 함께하면서 삶에 대해 같은 지향을 갖고 있는 것을 뜻한다. 연구 참여자들은 일상과 여가를 함께 하고 자녀양육, 살림을 같이 하며 양가 가족의 일원이 되면서 친밀감을 경험한다고 진술한다. 또한 이들은 같은 목표를 갖고 미래를 바라보며 이를 이루어가기 위해 노력하면서 친밀하다는 경험을 하고 있다. 다섯 번째 현상은 수용이다. 본 연구 참여자들은 함께하는 시간이 축적되면서 배우자의 사고나 기질, 행동유형이 어떠하든지 통제하거나 변화시키려하지 않고 인정해주고 있다. 배우자의 장단점을 모두 알지만 오랜 연륜에 힘입어 상대방을 존중하며 받아들일 수 있게 된 현상 자체를 친밀함으로 경험하고 있다. 다섯 번째는 상호작용이다. 참여자들은 아내와 가까워지기 위해 남편이 노력하거나 남편에게 자신이 중요한 대상이라는 확신이 들 때 그리고 이전과는 달리 의존이나 종속이 아니라 개인적 성향을 서로 인정해주는 독립적인 방향으로 상호작용하면서 친밀감을 경험하고 있다. 성인 자녀가 독립한 중년여성들에게 부부친밀감이라고 하는, 긴 시간 동안 삶을 공유하며 축적한 안정적이고 호혜적인 정서적 든든함은 삶의 원동력으로서 중년여성들로 하여금 개인의 삶을 펼쳐 나아가도록 지지기반이 되어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some phenomenological features of couple intimacy whose children have grown up and left home. For this research, ten subjects were chosen among mid-aged women between forty and sixty, who currently kept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ir husbands. They were ...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some phenomenological features of couple intimacy whose children have grown up and left home. For this research, ten subjects were chosen among mid-aged women between forty and sixty, who currently kept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ir husbands. They were interviewed on their own experiences of being left alone with their husban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couple of interviews with the ten participants and analyzed in terms of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The data were classified into 5 categories, 14 subcategories, 29 themes, and 160 meanings. The mid-aged women who successfully developed intimacy with their husbands were found to commonly feature five broad categories of experiences: commonalities in values, romantic closeness, togetherness, approval, and reciprocity. On the basis of the five categories, it was concluded that couple intimacy was a feeling of fulfillment and admiration emerged from secure and mutually benefitting relationships that had been accumulated by sharing everyday life for a long time. The first feature of couple intimacy was commonalities in values. The mid-aged women subjects were found to feel intimate with their husbands when they discovered some commonalities in their views and principles on life and social matters. The second feature was romantic closeness. When their parentings were played out, their relationship turned towards a romantic one as an individual, developing emotional and sexual affinity. Sharing almost all aspects of life together was the third feature of couple intimacy. Living everyday life together, taking off for leisure and vacation together, planning family finance together, raising children together, and belonging to both families at the same time―all those together-experiences amounted to the common goals that they were trying to achieve together. The fourth feature of couple intimacy was approval. In virtue of longtime togetherness, the subjects were able to approve their husbands’ dispositions, temperaments, and views without struggling to correct or change them. Their knowledge of strengths and weaknesses about their husbands did not hinder them from respecting and approving their spouses. Finally, reciprocity featured couple intimacy. In their middle years, the subjects were able to achieve self-confidence overcoming their psychological subordination and also elicit their husbands’ endeavor to increase intimacy with them. Such self-confidence and independenc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reciprocity, that is, mutual respect for individual disposition.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some phenomenological features of couple intimacy whose children have grown up and left home. For this research, ten subjects were chosen among mid-aged women between forty and sixty, who currently kept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ir husbands. They were interviewed on their own experiences of being left alone with their husban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couple of interviews with the ten participants and analyzed in terms of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The data were classified into 5 categories, 14 subcategories, 29 themes, and 160 meanings. The mid-aged women who successfully developed intimacy with their husbands were found to commonly feature five broad categories of experiences: commonalities in values, romantic closeness, togetherness, approval, and reciprocity. On the basis of the five categories, it was concluded that couple intimacy was a feeling of fulfillment and admiration emerged from secure and mutually benefitting relationships that had been accumulated by sharing everyday life for a long time. The first feature of couple intimacy was commonalities in values. The mid-aged women subjects were found to feel intimate with their husbands when they discovered some commonalities in their views and principles on life and social matters. The second feature was romantic closeness. When their parentings were played out, their relationship turned towards a romantic one as an individual, developing emotional and sexual affinity. Sharing almost all aspects of life together was the third feature of couple intimacy. Living everyday life together, taking off for leisure and vacation together, planning family finance together, raising children together, and belonging to both families at the same time―all those together-experiences amounted to the common goals that they were trying to achieve together. The fourth feature of couple intimacy was approval. In virtue of longtime togetherness, the subjects were able to approve their husbands’ dispositions, temperaments, and views without struggling to correct or change them. Their knowledge of strengths and weaknesses about their husbands did not hinder them from respecting and approving their spouses. Finally, reciprocity featured couple intimacy. In their middle years, the subjects were able to achieve self-confidence overcoming their psychological subordination and also elicit their husbands’ endeavor to increase intimacy with them. Such self-confidence and independenc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reciprocity, that is, mutual respect for individual disposi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