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대학원은 교육이론 연구와 우수한 자질을 가지고 교육계에 봉사할 인재를 양성할 목표로 1963년부터 대학에 설치하기 시작하였지만 1965년부터는 정교사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육대학원도 제한적으로나마 중등교원양성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교육대학원은 현직교사의 재교육과 예비교사의 양성교육을 복합적으로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여러 선행 연구에서 지적되었듯이 교육대학원은 설립 이래 양적팽창을 거듭해왔지만 이와 비례하여 질적 문제 또한 증대해온 것도 사실이다. 학교에 따라 교육의 질이 상이하거나, ...
교육대학원은 교육이론 연구와 우수한 자질을 가지고 교육계에 봉사할 인재를 양성할 목표로 1963년부터 대학에 설치하기 시작하였지만 1965년부터는 정교사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육대학원도 제한적으로나마 중등교원양성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교육대학원은 현직교사의 재교육과 예비교사의 양성교육을 복합적으로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여러 선행 연구에서 지적되었듯이 교육대학원은 설립 이래 양적팽창을 거듭해왔지만 이와 비례하여 질적 문제 또한 증대해온 것도 사실이다. 학교에 따라 교육의 질이 상이하거나, 부실한 교육을 제공하고 행정 운영을 하는 등 손쉬운 학위 취득을 위한 도구로 전락했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의 해결을 위해서는 교육대학원의 실태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며, 교육대학원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둘러싼 다양한 관점 중 수요자 관점에서 질을 논의하거나 측정할 때 가장 널리 활용되는 지표는 만족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경기 소재 교육대학원 학생 242명을 대상으로 교육대학원에 대한 인식을 비롯하여 교육만족도를 교육과정, 수업운영, 교육여건, 졸업 및 취업관리 4가지로 구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연령, 차수, 현직교사 여부를 배경변인으로 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육대학원 학생은 교육대학원이 현재 수행하고 있는 여러 가지 기능 가운데 학위 취득을 위한 기능을 핵심 기능으로 인식하고 있었지만, 향후 교육대학원이 수행해야 할 기능으로 일반대학원과 같은 전공 심화교육 및 연구 기능을 원하는 사람이 가장 많았다. 둘째, 교육만족도의 4가지 구분 중 수업 운영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고, 수업 외적인 요건이라 할 수 있는 교육 여건에 대해서는 보통 이하의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셋째, 연령이 낮을수록, 차수(학기)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낮았고, 현직교사와 비현직교사로 구분한 만족도 비교는 대부분 현직교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결론에 기초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의 질을 개선해야 한다. 둘째, 교육대학원의 교육 여건을 확충해야 한다. 셋째, 비현직교사의 만족도를 높일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교육대학원은 교육이론 연구와 우수한 자질을 가지고 교육계에 봉사할 인재를 양성할 목표로 1963년부터 대학에 설치하기 시작하였지만 1965년부터는 정교사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육대학원도 제한적으로나마 중등교원양성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교육대학원은 현직교사의 재교육과 예비교사의 양성교육을 복합적으로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여러 선행 연구에서 지적되었듯이 교육대학원은 설립 이래 양적팽창을 거듭해왔지만 이와 비례하여 질적 문제 또한 증대해온 것도 사실이다. 학교에 따라 교육의 질이 상이하거나, 부실한 교육을 제공하고 행정 운영을 하는 등 손쉬운 학위 취득을 위한 도구로 전락했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의 해결을 위해서는 교육대학원의 실태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며, 교육대학원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둘러싼 다양한 관점 중 수요자 관점에서 질을 논의하거나 측정할 때 가장 널리 활용되는 지표는 만족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경기 소재 교육대학원 학생 242명을 대상으로 교육대학원에 대한 인식을 비롯하여 교육만족도를 교육과정, 수업운영, 교육여건, 졸업 및 취업관리 4가지로 구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연령, 차수, 현직교사 여부를 배경변인으로 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육대학원 학생은 교육대학원이 현재 수행하고 있는 여러 가지 기능 가운데 학위 취득을 위한 기능을 핵심 기능으로 인식하고 있었지만, 향후 교육대학원이 수행해야 할 기능으로 일반대학원과 같은 전공 심화교육 및 연구 기능을 원하는 사람이 가장 많았다. 둘째, 교육만족도의 4가지 구분 중 수업 운영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고, 수업 외적인 요건이라 할 수 있는 교육 여건에 대해서는 보통 이하의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셋째, 연령이 낮을수록, 차수(학기)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낮았고, 현직교사와 비현직교사로 구분한 만족도 비교는 대부분 현직교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결론에 기초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의 질을 개선해야 한다. 둘째, 교육대학원의 교육 여건을 확충해야 한다. 셋째, 비현직교사의 만족도를 높일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as first established in Korea in 1963 to conduct educational studies and to cultivate educational leaders who serve in education with expertise. As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have started to give a regular teacher's certificate to the enrolled students since 1965, ...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as first established in Korea in 1963 to conduct educational studies and to cultivate educational leaders who serve in education with expertise. As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have started to give a regular teacher's certificate to the enrolled students since 1965, they play a role in training secondary school teachers. At the present tim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ake charge of education for both in-service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But, as many preceding researches indicated, problems arise with respect to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1) establishment purpose without obvious legal basis; and (2) coexistence of two different functions, re-education of in-service teachers and education of pre-service teachers. Since their foundation,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have expanded qualitatively while a considerable number of qualitative problems occur. The quality of each graduate school differ. Some studies criticize these schools under the ground that they grant the degree easily in spite of the poor education quality.
Understanding graduate school's actual condition is prerequisite for solving these problems. Further,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current state and problems of the school. From the perspective of student, the most widely used index to discuss or estimate the quality is satisfaction. As a standard of value-oriented analysis, satisfaction is not only applied to appreciating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service, and it also easy to be utilized. In this research,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tudents' perception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as investigated. Four area were selected to compare student's perception: curriculum, classroom management, learning environment and, graduation and career management.
Our thre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graduate students perceive th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performs only a role of granting a degree among its various function. The highest percentage of the students hope that in the future the graduate to provide intensive major courses and to improve educational research which general graduate schools offer. Second, in the survey of 4 parts of education satisfaction, the satisfaction of classroom management was the highest part and the learning environment, the indirect factor of class, was the lowest part which was even lower than average. Finally, the comparison of satisfaction level between in-service teachers and others showed that in-service teachers' satisfaction level was higher.
Based on the findings, we suggest the following three things for the future study. First, the quality of course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needs to be enhanced. The graduate schools are expected to improve facilities and other services as well as quality of education. Finally, the method to increase pre-service teacher students' satisfaction needs to be considered since the prospective teacher take the majority of student group.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should make an effort to clarify their identity an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as first established in Korea in 1963 to conduct educational studies and to cultivate educational leaders who serve in education with expertise. As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have started to give a regular teacher's certificate to the enrolled students since 1965, they play a role in training secondary school teachers. At the present tim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ake charge of education for both in-service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But, as many preceding researches indicated, problems arise with respect to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1) establishment purpose without obvious legal basis; and (2) coexistence of two different functions, re-education of in-service teachers and education of pre-service teachers. Since their foundation,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have expanded qualitatively while a considerable number of qualitative problems occur. The quality of each graduate school differ. Some studies criticize these schools under the ground that they grant the degree easily in spite of the poor education quality.
Understanding graduate school's actual condition is prerequisite for solving these problems. Further,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current state and problems of the school. From the perspective of student, the most widely used index to discuss or estimate the quality is satisfaction. As a standard of value-oriented analysis, satisfaction is not only applied to appreciating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service, and it also easy to be utilized. In this research,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tudents' perception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as investigated. Four area were selected to compare student's perception: curriculum, classroom management, learning environment and, graduation and career management.
Our thre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graduate students perceive th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performs only a role of granting a degree among its various function. The highest percentage of the students hope that in the future the graduate to provide intensive major courses and to improve educational research which general graduate schools offer. Second, in the survey of 4 parts of education satisfaction, the satisfaction of classroom management was the highest part and the learning environment, the indirect factor of class, was the lowest part which was even lower than average. Finally, the comparison of satisfaction level between in-service teachers and others showed that in-service teachers' satisfaction level was higher.
Based on the findings, we suggest the following three things for the future study. First, the quality of course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needs to be enhanced. The graduate schools are expected to improve facilities and other services as well as quality of education. Finally, the method to increase pre-service teacher students' satisfaction needs to be considered since the prospective teacher take the majority of student group.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should make an effort to clarify their identity an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