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석연료의 사용의 증가로 인하여 전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Global Warming) 현상이 심각해지고 있다. 이러한 지구온난화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1992년 6월 UN기후변화협약이 채택되었다. 기후변화협약은 지구온난화의 원인인 CO2와 같은 온실가스의 배출 억제를 주도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1차 에너지 소비 증가율과 이산화탄소 배출증가율이 높은 증가세에 있는 상황이며 CO2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면 이는 국내 경제에 큰 영향을 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온실가스 배출현황을 살펴보고, 온실가스의 배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이산화탄소에 초점을 맞춰 그 배출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산업연관분석(...
화석연료의 사용의 증가로 인하여 전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Global Warming) 현상이 심각해지고 있다. 이러한 지구온난화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1992년 6월 UN기후변화협약이 채택되었다. 기후변화협약은 지구온난화의 원인인 CO2와 같은 온실가스의 배출 억제를 주도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1차 에너지 소비 증가율과 이산화탄소 배출증가율이 높은 증가세에 있는 상황이며 CO2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면 이는 국내 경제에 큰 영향을 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온실가스 배출현황을 살펴보고, 온실가스의 배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이산화탄소에 초점을 맞춰 그 배출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산업연관분석(Input-Output Analysis)을 이용하여 2000-2010년 기간의 산업부문별 CO2 배출계수, 배출유발계수를 추정하고, 산업연관분석의 연장선상에 있는 구조분해분석을 통하여 이 기간 중 CO2 배출량 변화를 에너지원단위 변화효과, CO2 배출원단위 변화효과, 경제성장 효과, 국내최종수요 변화효과, 수출 변화효과, 최종재 수입비율 변화효과, 중간재 수입비율 변화효과, 투입구조 변화효과 등의 총 8가지 요인으로 분해하여 각 요소의 배출량에 대한 기여도를 산출하고 이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CO2 배출량 변화를 다음과 같이 추정하였다. 2000년에는 2억8,243만TC의 CO2를 배출하였고, 2005년에는 3억2,359만TC의 CO2를 배출하여 2000년보다 CO2 배출량이 1.15배 증가하였고, 2010년에는 3억5,932만TC의 CO2를 배출하여 2000년 보다 1.3배의 CO2 배출량이 증가하였다. CO2 배출량 변화요인 중 가장 큰 변화요인으로 나타난 것은 경제성장 변화요인효과로 나타났다. 이는 경제성장에서의 규제를 통해 CO2 배출량을 낮출 수 있지만 이는 경제성장에 제약을 통해 CO2 배출량을 낮추는 것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므로 CO2 배출량을 낮추는 방법으로 산업공정에서의 높은 배출원단위의 상품생산에서 낮은 배출원단위의 상품생산의 변환이나, CO2 배출계수와 에너지원단위를 통해 CO2 배출량을 낮추는 방법이 있다.
화석연료의 사용의 증가로 인하여 전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Global Warming) 현상이 심각해지고 있다. 이러한 지구온난화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1992년 6월 UN기후변화협약이 채택되었다. 기후변화협약은 지구온난화의 원인인 CO2와 같은 온실가스의 배출 억제를 주도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1차 에너지 소비 증가율과 이산화탄소 배출증가율이 높은 증가세에 있는 상황이며 CO2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면 이는 국내 경제에 큰 영향을 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온실가스 배출현황을 살펴보고, 온실가스의 배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이산화탄소에 초점을 맞춰 그 배출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산업연관분석(Input-Output Analysis)을 이용하여 2000-2010년 기간의 산업부문별 CO2 배출계수, 배출유발계수를 추정하고, 산업연관분석의 연장선상에 있는 구조분해분석을 통하여 이 기간 중 CO2 배출량 변화를 에너지원단위 변화효과, CO2 배출원단위 변화효과, 경제성장 효과, 국내최종수요 변화효과, 수출 변화효과, 최종재 수입비율 변화효과, 중간재 수입비율 변화효과, 투입구조 변화효과 등의 총 8가지 요인으로 분해하여 각 요소의 배출량에 대한 기여도를 산출하고 이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CO2 배출량 변화를 다음과 같이 추정하였다. 2000년에는 2억8,243만TC의 CO2를 배출하였고, 2005년에는 3억2,359만TC의 CO2를 배출하여 2000년보다 CO2 배출량이 1.15배 증가하였고, 2010년에는 3억5,932만TC의 CO2를 배출하여 2000년 보다 1.3배의 CO2 배출량이 증가하였다. CO2 배출량 변화요인 중 가장 큰 변화요인으로 나타난 것은 경제성장 변화요인효과로 나타났다. 이는 경제성장에서의 규제를 통해 CO2 배출량을 낮출 수 있지만 이는 경제성장에 제약을 통해 CO2 배출량을 낮추는 것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므로 CO2 배출량을 낮추는 방법으로 산업공정에서의 높은 배출원단위의 상품생산에서 낮은 배출원단위의 상품생산의 변환이나, CO2 배출계수와 에너지원단위를 통해 CO2 배출량을 낮추는 방법이 있다.
Global warning damages climate seriously all over the world because using of fossil fuel has increased. UNFCCC(United National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was adopted in June, 1992 as making international issue of global warning. UNFCCC makes emission of greenhouse gases such as CO2 redu...
Global warning damages climate seriously all over the world because using of fossil fuel has increased. UNFCCC(United National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was adopted in June, 1992 as making international issue of global warning. UNFCCC makes emission of greenhouse gases such as CO2 reduce to prevent abnormal climate by global warning. Now, the fate of increase in the first energy and the rate of increase in CO2 emission is tending upward rapidly in Korea. If CO2 emission is reduced, it will affect Korean economy much. In this context, this paper quantifies energy use and carbon emission during 2000-2010 for industrial sector and clculates induces carbon emission coefficients using Input-Output Analysis. This paper also shows how energy intensity, carbon intensity, economic growth, domestic final demand, export, import of final and intermediate goods, and production technology have been shaped carbon emission using Structural Decomposition Analysis. The assumption result of CO2 emission change is like below. CO2 emission volume had increased 1.15times ; 28,243 MT of CO2 in 2000 to 32,359 MT of CO2 in 2005. In 2010, it estimated as 35,932 MT of CO2. This figure means CO2 emission had increased 1.3 times than those in 2000. The major factor to increase CO2 emission volume is economic growth. We need to lower the tempo of economic growth to reduce CO2 emission volume. However, it is not desirable to decrease CO2 emission volume through the shrinkage of economic growth. Therefore, I suggest other way to reduce CO2 emission volume with minimizing contraction of economic growth. It is to replace high emission intermediate goods to low emission one in the production process. There is also other way to improve CO2 emission coefficient and energy intensity.
Global warning damages climate seriously all over the world because using of fossil fuel has increased. UNFCCC(United National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was adopted in June, 1992 as making international issue of global warning. UNFCCC makes emission of greenhouse gases such as CO2 reduce to prevent abnormal climate by global warning. Now, the fate of increase in the first energy and the rate of increase in CO2 emission is tending upward rapidly in Korea. If CO2 emission is reduced, it will affect Korean economy much. In this context, this paper quantifies energy use and carbon emission during 2000-2010 for industrial sector and clculates induces carbon emission coefficients using Input-Output Analysis. This paper also shows how energy intensity, carbon intensity, economic growth, domestic final demand, export, import of final and intermediate goods, and production technology have been shaped carbon emission using Structural Decomposition Analysis. The assumption result of CO2 emission change is like below. CO2 emission volume had increased 1.15times ; 28,243 MT of CO2 in 2000 to 32,359 MT of CO2 in 2005. In 2010, it estimated as 35,932 MT of CO2. This figure means CO2 emission had increased 1.3 times than those in 2000. The major factor to increase CO2 emission volume is economic growth. We need to lower the tempo of economic growth to reduce CO2 emission volume. However, it is not desirable to decrease CO2 emission volume through the shrinkage of economic growth. Therefore, I suggest other way to reduce CO2 emission volume with minimizing contraction of economic growth. It is to replace high emission intermediate goods to low emission one in the production process. There is also other way to improve CO2 emission coefficient and energy intensit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