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암성통증 관리에 대한 지식을 확인함으로써 간호사를 위한 암성통증 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2개의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267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는 2012년 11월 1일에서 11월 30일까지 편의표집하였다. 연구도구는 Ferrell과 McCaffery(2008)가 개발한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s survey regarding pain을 김미라(2008)가 번역하여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암성통증 관리에 대한 지식을 확인함으로써 간호사를 위한 암성통증 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2개의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267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는 2012년 11월 1일에서 11월 30일까지 편의표집하였다. 연구도구는 Ferrell과 McCaffery(2008)가 개발한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s survey regarding pain을 김미라(2008)가 번역하여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0.0 WIN program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및 Scheff 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호사들의 암성 통증 관리에 대한 지식의 평균은 20.53점 이었고, 하위영역별 점수는 통증사정 영역의 평균이 2.99점, 연령에 따른 통증간호영역의 평균은 2.23점, 약물의 작용과 부작용, 투약경로 및 간호영역의 평균은 10.74점,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 간호영역의 평균은 4.13점, 그리고 위약항목의 평균은 0.4점 이었다. 2. 일반적 특성 및 근무관련 특성에 따른 암성 통증관리에 관한 지식의 차이에 서 간호사의 연령(F=7.810, p=.001), 학력(F=7.241, p=.001), 직위(F=9.226, p<.001), 근무년수(F=12.812, p<.001), 교육경험(t-3.756, p<.001), 교육 횟수(F=11.551, p<.001)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실무 현장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암성 통증관리에 대한 지식이 부족함을 알수 있었다. 따라서 암성 통증 관리 지식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암성통증 관리에 대한 지식을 확인함으로써 간호사를 위한 암성통증 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2개의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267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는 2012년 11월 1일에서 11월 30일까지 편의표집하였다. 연구도구는 Ferrell과 McCaffery(2008)가 개발한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s survey regarding pain을 김미라(2008)가 번역하여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0.0 WIN program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및 Scheff 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호사들의 암성 통증 관리에 대한 지식의 평균은 20.53점 이었고, 하위영역별 점수는 통증사정 영역의 평균이 2.99점, 연령에 따른 통증간호영역의 평균은 2.23점, 약물의 작용과 부작용, 투약경로 및 간호영역의 평균은 10.74점,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 간호영역의 평균은 4.13점, 그리고 위약항목의 평균은 0.4점 이었다. 2. 일반적 특성 및 근무관련 특성에 따른 암성 통증관리에 관한 지식의 차이에 서 간호사의 연령(F=7.810, p=.001), 학력(F=7.241, p=.001), 직위(F=9.226, p<.001), 근무년수(F=12.812, p<.001), 교육경험(t-3.756, p<.001), 교육 횟수(F=11.551, p<.001)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실무 현장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암성 통증관리에 대한 지식이 부족함을 알수 있었다. 따라서 암성 통증 관리 지식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basic data in the development of cancer pain management program for clinical nurses by confirming their knowledge of the pain management. The subjects were 267 nurses working at 2 hospitals in Busan, Korea. Period for the data from Nov. 1st through Nov. ...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basic data in the development of cancer pain management program for clinical nurses by confirming their knowledge of the pain management. The subjects were 267 nurses working at 2 hospitals in Busan, Korea. Period for the data from Nov. 1st through Nov. 30th, 2012. The original instrument was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 survey regarding pain" by Ferrell and McCaffery(2008) but in this research the one was used translated and revised by Kim mi-ra(2008). The data were analysed by real number,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one way ANOVA and Schaff test using SPSS 20.0 WIN. program.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The subjects' mean score of the management knowledge for cancer pain was 20.53 points. And here are other mean scores of main questions. 2.99points for the questions of pain assessments, 2.23points of pain nursing according to age, 10.74points of nursing and administration, side effects of drug, 4.13points of nursing the patients who are complaining pain and 0.4points of placebo.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knowledge of cancer pain management according as nurses' age (F=7.810, p=.001), educational background(F=7.241, p=001), status(F=9.226, p<.001) years of service(F=12.812, p<.001), educational experience(t=3.756, p<.001) and frequency of education(F=11.551, p<.001). With the findings above, it has been revealed that nurses in the working field generally are not fully aware of the cancer pain management. It is therefore needed for them to have a systematic education program for the pain management and its application.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basic data in the development of cancer pain management program for clinical nurses by confirming their knowledge of the pain management. The subjects were 267 nurses working at 2 hospitals in Busan, Korea. Period for the data from Nov. 1st through Nov. 30th, 2012. The original instrument was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 survey regarding pain" by Ferrell and McCaffery(2008) but in this research the one was used translated and revised by Kim mi-ra(2008). The data were analysed by real number,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one way ANOVA and Schaff test using SPSS 20.0 WIN. program.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The subjects' mean score of the management knowledge for cancer pain was 20.53 points. And here are other mean scores of main questions. 2.99points for the questions of pain assessments, 2.23points of pain nursing according to age, 10.74points of nursing and administration, side effects of drug, 4.13points of nursing the patients who are complaining pain and 0.4points of placebo.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knowledge of cancer pain management according as nurses' age (F=7.810, p=.001), educational background(F=7.241, p=001), status(F=9.226, p<.001) years of service(F=12.812, p<.001), educational experience(t=3.756, p<.001) and frequency of education(F=11.551, p<.001). With the findings above, it has been revealed that nurses in the working field generally are not fully aware of the cancer pain management. It is therefore needed for them to have a systematic education program for the pain management and its applica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