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개 대학병원 간호사의 암성통증관리에 대한 지식과 태도
A University Hospital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Cancer Pain Management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3 no.1, 2012년, pp.254 - 263  

김선화 (대구과학대학교 간호과) ,  박상연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일 대학병원 간호사 303명을 대상으로 암성통증관리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알아보고 통증 관리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조사연구로 진행되었다. 연구 도구는 일반적 특성과 통증의 지식과 태도와 관련한 107문항으로 구성되었고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통증에 대한 일반적 지식의 정답률은 79.6%, 암성 통증 지식 점수의 정답률은 82.2%로 나타났고, 진통제 사용에 대한 지식의 정답률은 55.6%, 통증관리에 대한 태도의 정답률은 65.2%, 통증관리에 대한 지식과 태도의 전체 정답률은 70.7%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진통제 사용에 대한 지식은 연령, 교육정도, 직위, 총 근무경력, 현 근무지, 현 근무처 경력, 통증교육 경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통증관리에 대한 태도는 성별, 교육정도, 현 근무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환자의 통증을 관리해야 하는 간호사의 통증과 관련한 항목별 지식과 태도의 평균점수가 높지 않음을 알 수 있고 대부분 통증 중재 방법으로는 진통제 투여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사의 암성통증관리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실무에 적용 가능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고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임상간호사의 통증관리에 대한 지식과 태도의 변화를 반복 연구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a hospital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cancer pain management and to make use of base material for education. The research design was descriptive survey study, an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03 nurses who were working at a university hospital. A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D광역시 소재의 일개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303명을 대상으로 임상간호사의 암성통증관리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알아보고 통증 교육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서술적 조사연구로 진행되었다.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통증조절, 진통제 사용, 통증 중재법 등의 암성통증관리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일개 대학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통증, 암성 통증, 진통제 사용, 통증 사정 척도, 통증 중재법 등의 통증관리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조사하고 확인함으로써 통증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절한 통증관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임상 간호사의 통증관리에 있어 지식과 태도는 암환자를 간호하는데 중요한 요소임을 인식할 때 항목별 부족한 사항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통증 사정 척도에 대한 지식과 사용 정도, 통증 중재에 대한 지식과 수행 정도를 파악하여 적절한 암성통증관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의 암성통증관리에 대한 지식과 태도의 항목별 정답률을 높이기 위해 개인과 근무부서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해야 하는 이유는? 결론적으로 간호사의 암성통증관리에 대한 지식과 태도의 평균점수가 높지 않음을 알 수 있고 연령, 교육정도, 근무경력, 통증교육 경험 등이 통증관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부분 통증 중재 방법으로는 진통제 투여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사의 암성통증관리에 대한 지식과 태도의 항목별 정답률을 높이기 위해 개인과 근무부서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암성통증은 언제 발생하나? 암은 건강을 위협하는 심각한 질병으로 세계적으로도 매년 암을 진단받는 환자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암 환자가 경험하는 가장 고통스럽고 두려움을 갖게 하는 주된 문제는 암성통증이며 이는 암의 진단 시 30~40%, 치료 중 40~70%에서 나타나고 70~90%는 완화치료 중에 발생한다[1]. 암성통증은 암환자가 종양자체나 암 치료 또는 변비와 관련된 문제들로 인한 생리적, 감각적, 정서적, 인지적, 행동적 그리고 사회 문화적 요소를 포함하는 다양한 차원의 경험이며, 통증발생은 대부분 병리적 진전을 의미하며 통증이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전문가들은 암의 통증문제가 상당히 심각하다는 것을 충분히 인식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2].
암성통증의 가장 흔한 원인은? 암성통증은 암환자가 종양자체나 암 치료 또는 변비와 관련된 문제들로 인한 생리적, 감각적, 정서적, 인지적, 행동적 그리고 사회 문화적 요소를 포함하는 다양한 차원의 경험이며, 통증발생은 대부분 병리적 진전을 의미하며 통증이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전문가들은 암의 통증문제가 상당히 심각하다는 것을 충분히 인식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2]. 암성통증의 가장 흔한 원인은 암세포에 의한 골 전이, 신경압박이나 혈관침범, 임파절 및 장기침윤이나 도관 폐색, 혈관 폐색 등인데[3], 종양자체와 관련이 있는 경우가 70%, 암 치료와 관련된 통증이 25%, 암과 무관한 통증이 10%를 차지한다. 암환자의 80% 이상이 두 가지 이상의 통증을 호소하며 세 가지 이상의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도 30~40%에 이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L. C. Goudas, R. Bloch, M. Gialeli-Goudas, J. Lau, and D. B. Carr, "The Epidemiology of Cancer Pain", Cancer Invest, Vol. 23, pp. 182-190, 2005. 

  2. S. K. Choi, "Pain Management in Terminal Cancer Patient Admmited to Hospice Ward", Unpulished master's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1996. 

  3. S. H. Lee, "Knowledge and Attitudes of Clinical Nurses and Doctors toward Cancer Pain Management", Unpulished master's dissertation, Dae Jeon university, 2003. 

  4. M. Z. Cohen, M. K. Easley, C. Ellis, and B. Hughes, "Cancer Pain Management and the JCAHO's Pain Standards: An Institutional Challenge",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Vol. 25, pp. 519-527, 2003. 

  5. N. Cherny, "The Management of Cancer Pain", CA: A Cancer Journal for Clinicians, Vol. 50, pp. 70-116, 2000. 

  6. J. E. Yi, and M. H. Park, "The Effects of Patient and Family Education Guideline on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Cancer Pain Control".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15, No. 1, pp. 123-132, 2009. 

  7. Y. R. Yoon, "A study on the Pattern and Management of Pain in Terminal Cancer Patients: Based on Patients at Hospice Facilities", Unpulished master's dissertation, Inje University, 2003. 

  8. S. R. Suh, H. S. So, B. Y. Chung, Y. O. Kim. and S. K. Sohn, "Oncology Nursing of Nursing Practice", Hyunmoon : Seoul, 2000. 

  9. S. W. Lee, H. S. Kim, S. Y. Kim, Y. S. Hong, and E. K. Kim, "Patient Satisfaction with Cancer Pain Management",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ol 6, No. 1, pp. 22-33, 2003. 

  10. M. McCaffery, and B. R. Ferrell, "Nurses Knowledge about Pain Assessment and Management: How Much have We Made?",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Vol. 14, No. 3, pp. 175-188, 1997. 

  11. D. Howell, L. Butler, L. Vincent, J. Watt-Watson, and N. Stearns, "Influencing Nurses'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 in Cancer Pain Management", Cancer Nursing, Vol. 23, pp. 55-63, 2000. 

  12. S. Barnason, M. Merboth, B. Pozehl, and M. Tietjen, "Utilising an Outcomes Approach to Improve Pain Management by Nurses: A Pilot Study", Clinical Nurse Specialist, Vol. 12, pp. 28-36, 1998. 

  13. M. J. Kim, J. A. Park, and S. J. Shin, "Pain and Pain Management in Hospitalized Cancer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 15, No. 2, pp. 161-170, 2008. 

  14. J. W. Oliver, R. L. Kravitz, S. H. Kaplan, and F. J. Meyers, "Individualized Patient Education and Coaching to Improve Pain Control among Outpatients,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Vol. 19, No. 8. pp. 2206-2212, 2001. 

  15. J. A. Paice, and B. Ferrell, "The Management of Cancer Pain". A Cancer Journal for Clinician, Vol. 61, No. 3, pp. 157-182, 2011. 

  16. J. J. Seo, "Evaluation of the Cancer Pain Management Progra", Unpulished master's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2011. 

  17. World Health Organization Access to Controlled Medications Programme : Framework.Geneva, Switzerland, 2007. 

  18. World Health Organization, "Cancer Pain Relief", Geneva, 1986. 

  19. M. Zenz, A. Willweber-Strumpf, "Opiophobia and Cancer Pain in Europe", Lancet 341: 1075-1076, 1993. 

  20. S. W. Gong, "Effect of Information Service about Cancer related Pain Control on Pain of the Outpatient with terminal Stomach Cancer", Unpulished master's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2003. 

  2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0, http://www. cancer.go.kr/cms/data/edudata/1642061-1619.html 

  22. C. A. Tafas, E. Patiraki, D. D. McDonald, and C. Lemonidou, "Testing an Instrument Measuring Greek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s Regarding Pain", Cancer Nursing, Vol. 25, No. 1, pp. 8-14, 2002. 

  23. K. H. Hwang, E. N. Ryoo, and K. S. Park, "A Study of the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Pain Management",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3, No.1, pp. 41-50, 2007. 

  24. M. R. Kim, "Knowlege about Cancer Pain Management of Clinical Nurses", Unpulished master's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2008. 

  25. J. H. Watt-Watson. "Pain Management: Nursing Perspective", Mosby-year Book, Inc, pp. 36-58, 1992. 

  26. J. Hyun, "Clinical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s on Pain Management", Unpulished master's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1999. 

  27. M. S. Nam, "A Survey about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s of Cancer Pain management", Unpulished master's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2003. 

  28. S. W. Gong, et al., "Knowledge and Attitudes of Oncology Nurses Toward Cancer Pain Managem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Vol. 16, No. 1, pp. 5-16, 2004. 

  29. E. O. Lee, and M. A. Choi, "Pain Theory and Intervention". Shinkwangpub: Seoul, 1993. 

  30. M, Bernardi, G. Catania, A. Lambert, G. Tridello and M. Luzzani, "Knowledge and Attitudes about Cancer Pain Management: A National Survey of Italian Oncology Nurses", Europe Journal of Oncology Nursing, Vol. 30, No. 2, pp. 20-26,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