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자의 역할을 단순히 정보를 전달받던 역할로 간주하였던 과거와 달리, 21세기 지식기반 사회에서는 학습자 스스로 지식을 창출, 공유, 그리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요구하고 있다. 구성주의는 이러한 시대적 흐름을 뒷받침 해주는 이론적 체계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구성주의에서 학습은 학습자가 의미 있는 경험을 기반으로 스스로 구성하는 것이고, 이에 따라 현실 세계를 반영하는 풍부한 맥락 속에서 효과적 학습이 이루어 질 수 있다고 간주한다.
...
학습자의 역할을 단순히 정보를 전달받던 역할로 간주하였던 과거와 달리, 21세기 지식기반 사회에서는 학습자 스스로 지식을 창출, 공유, 그리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요구하고 있다. 구성주의는 이러한 시대적 흐름을 뒷받침 해주는 이론적 체계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구성주의에서 학습은 학습자가 의미 있는 경험을 기반으로 스스로 구성하는 것이고, 이에 따라 현실 세계를 반영하는 풍부한 맥락 속에서 효과적 학습이 이루어 질 수 있다고 간주한다.
프로젝트 기반 학습은 실제적 맥락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학습자의 탐구 역량과 고차원적 문제 해결능력의 향상을 목표하는 교수학습 방법으로 주목받아 오고 있다. 프로젝트 기반 학습은 참여인원수에 따라 개인 프로젝트 학습과 팀 프로젝트 학습으로 나뉠 수 있지만 동료 학습자들과 상호작용을 통해 적극적으로 지식을 구성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대부분 팀 프로젝트 학습의 형태로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팀 프로젝트 학습은 개인 차원의 인지적, 정의적 속성 뿐 아니라 사회적 속성에 의해 그 효과성이 달라진다.
이처럼 팀 프로젝트 학습과 같이 학습자들이 협동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상황에서 학습자의 사회적 속성을 이해하고 분석하기 위한 이론 및 연구방법으로 사회연결망분석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팀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서는 동료 학습자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지식과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필수적인데, 이 때 학습자가 지식공유연결망 내에서 갖는 위치가 학습의 과정과 결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한편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의 성패를 결정하는 데 있어 연결망의 구조 및 그 안에서의 위치 뿐 아니라 개인의 역할 또한 중요한 요소로 보고되어 왔다. 특히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동료 학습자들과의 상호작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능력으로 많은 연구자들은 팀 기반 학습에서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중요성을 주장하여왔으나 그것이 어떻게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지 그 조건이나 과정에 대한 직접적인 분석은 결여한 일종의 블랙박스 식 접근에 머무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커뮤니케이션 능력, 지식공유연결망 내향중심도를 선정하여 그 예측 관계를 체계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 지식공유연결망 내향중심도는 학업성취도를 예측하는가?
2.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지식공유연결망 내향중심도는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학업성취도 사이를 매개하는가?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A 대학교의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으로 진행되었던 강의를 수강하는 대학생 4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에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측정하였으며,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이 종료되기 2주 전에 지식공유연결망 내향중심도를,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 종료 후 학업성취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Cronbach's α를 산출하였으며,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학업성취도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지식공유연결망 내향중심도의 예측력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후,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학업성취도에 대한 지식공유연결망 내향중심도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Judd와 Kenny(1981)가 제시한 매개 효과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지식공유연결망 내향중심도는 학업성취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클수록 학습자가 다른 학습자들과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하며 학업성취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학습자들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과목, 프로그램 개발, 또는 교수-학습 전략 및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지식공유연결망 내향중심도가 높은 개인은 동료 학습자들로부터 풍부한 정보와 지식을 쉽게 얻을 수 있음은 물론, 개인에 대한 주어진 평판 및 역할에 부응하고자 팀 활동에 더욱 매진하여 긍정적인 학업성취도를 획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을 운영할 때에 직소우 학습과 같은 교수 학습 전략뿐만 아니라 학습자 상호간 개인적인 만남이 가능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지식공유 연결망이 더 강화되고 풍부한 지식과 정보가 공유 될 수 있는 교수 학습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둘째, 지식공유연결망 내향중심도는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학업성취도 사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높은 학습자일수록 동료 학습자들과 원활한 관계를 유지하여 과제 및 학습 수행에 필요한 지식을 더 잘 공유하여 되며, 궁극적으로 학습에 있어서의 성취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에 진행된 연구들이 학업성취도의 예측변인으로 커뮤니케이션 능력임을 밝혀왔지만 어떠한 매커니즘을 통해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였다는 한계를 극복하고,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사회적 속성인 지식공유연결망 내향중심도와 관계하여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제한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모두 여성이었다. 그러나 후속연구에서는 성별에 따라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지식공유연결망 내향중심도의 예측력에 차이가 존재하는지 실증적으로 확인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학업성취도 사이에서 지식공유연결망 내향중심도의 매개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Judd와 Kenny(1981)의 매개 분석 방법에 따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통합적인 모형 내에서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규명할 것을 제안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의 지식공유연결망 내향중심도를 파악하기 위한 원자료로 자기보고식 설문만을 활용하였다. 이에 추후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의 토론게시판을 기반으로 사회연결망을 분석해볼 것을 제안한다. 그럼으로써 학습자의 실제 상호작용의 양상과 학습자 스스로가 인식하는 상호작용과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도 의의가 있을 것이다.
학습자의 역할을 단순히 정보를 전달받던 역할로 간주하였던 과거와 달리, 21세기 지식기반 사회에서는 학습자 스스로 지식을 창출, 공유, 그리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요구하고 있다. 구성주의는 이러한 시대적 흐름을 뒷받침 해주는 이론적 체계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구성주의에서 학습은 학습자가 의미 있는 경험을 기반으로 스스로 구성하는 것이고, 이에 따라 현실 세계를 반영하는 풍부한 맥락 속에서 효과적 학습이 이루어 질 수 있다고 간주한다.
프로젝트 기반 학습은 실제적 맥락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학습자의 탐구 역량과 고차원적 문제 해결능력의 향상을 목표하는 교수학습 방법으로 주목받아 오고 있다. 프로젝트 기반 학습은 참여인원수에 따라 개인 프로젝트 학습과 팀 프로젝트 학습으로 나뉠 수 있지만 동료 학습자들과 상호작용을 통해 적극적으로 지식을 구성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대부분 팀 프로젝트 학습의 형태로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팀 프로젝트 학습은 개인 차원의 인지적, 정의적 속성 뿐 아니라 사회적 속성에 의해 그 효과성이 달라진다.
이처럼 팀 프로젝트 학습과 같이 학습자들이 협동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상황에서 학습자의 사회적 속성을 이해하고 분석하기 위한 이론 및 연구방법으로 사회연결망분석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팀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서는 동료 학습자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지식과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필수적인데, 이 때 학습자가 지식공유연결망 내에서 갖는 위치가 학습의 과정과 결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한편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의 성패를 결정하는 데 있어 연결망의 구조 및 그 안에서의 위치 뿐 아니라 개인의 역할 또한 중요한 요소로 보고되어 왔다. 특히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동료 학습자들과의 상호작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능력으로 많은 연구자들은 팀 기반 학습에서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중요성을 주장하여왔으나 그것이 어떻게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지 그 조건이나 과정에 대한 직접적인 분석은 결여한 일종의 블랙박스 식 접근에 머무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커뮤니케이션 능력, 지식공유연결망 내향중심도를 선정하여 그 예측 관계를 체계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 지식공유연결망 내향중심도는 학업성취도를 예측하는가?
2.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지식공유연결망 내향중심도는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학업성취도 사이를 매개하는가?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A 대학교의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으로 진행되었던 강의를 수강하는 대학생 4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에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측정하였으며,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이 종료되기 2주 전에 지식공유연결망 내향중심도를,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 종료 후 학업성취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Cronbach's α를 산출하였으며,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학업성취도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지식공유연결망 내향중심도의 예측력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후,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학업성취도에 대한 지식공유연결망 내향중심도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Judd와 Kenny(1981)가 제시한 매개 효과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지식공유연결망 내향중심도는 학업성취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클수록 학습자가 다른 학습자들과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하며 학업성취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학습자들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과목, 프로그램 개발, 또는 교수-학습 전략 및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지식공유연결망 내향중심도가 높은 개인은 동료 학습자들로부터 풍부한 정보와 지식을 쉽게 얻을 수 있음은 물론, 개인에 대한 주어진 평판 및 역할에 부응하고자 팀 활동에 더욱 매진하여 긍정적인 학업성취도를 획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을 운영할 때에 직소우 학습과 같은 교수 학습 전략뿐만 아니라 학습자 상호간 개인적인 만남이 가능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지식공유 연결망이 더 강화되고 풍부한 지식과 정보가 공유 될 수 있는 교수 학습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둘째, 지식공유연결망 내향중심도는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학업성취도 사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높은 학습자일수록 동료 학습자들과 원활한 관계를 유지하여 과제 및 학습 수행에 필요한 지식을 더 잘 공유하여 되며, 궁극적으로 학습에 있어서의 성취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에 진행된 연구들이 학업성취도의 예측변인으로 커뮤니케이션 능력임을 밝혀왔지만 어떠한 매커니즘을 통해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였다는 한계를 극복하고,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사회적 속성인 지식공유연결망 내향중심도와 관계하여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제한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모두 여성이었다. 그러나 후속연구에서는 성별에 따라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지식공유연결망 내향중심도의 예측력에 차이가 존재하는지 실증적으로 확인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학업성취도 사이에서 지식공유연결망 내향중심도의 매개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Judd와 Kenny(1981)의 매개 분석 방법에 따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통합적인 모형 내에서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규명할 것을 제안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의 지식공유연결망 내향중심도를 파악하기 위한 원자료로 자기보고식 설문만을 활용하였다. 이에 추후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의 토론게시판을 기반으로 사회연결망을 분석해볼 것을 제안한다. 그럼으로써 학습자의 실제 상호작용의 양상과 학습자 스스로가 인식하는 상호작용과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도 의의가 있을 것이다.
Creating, sharing and utilizing valuable knowledge in knowledge-based society in the 21st century have been considered critically successful factors in learning and performance.
The constructive paradigm plays a role as an fundamental educational theory to support this phenomenon. Learning in constr...
Creating, sharing and utilizing valuable knowledge in knowledge-based society in the 21st century have been considered critically successful factors in learning and performance.
The constructive paradigm plays a role as an fundamental educational theory to support this phenomenon. Learning in constructivism is not a passive concept that learners accept fragmentary knowledge separated from the context, but a active one that they interpret the situation empirically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fellows and create newly knowledge through the internal structural process (Duffy & Jonassen, 1993; Fosnot, 1996).
Project learning has been reputed a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purposed for enhancing learner's fundamental exploration capability and high-level problem-solving skills. Project learning can be divided into personal project learning and team project learning according to the number of participants but mostly, it has been conducted as a form of team learning in terms of constructing knowledge actively through the interaction by doing common tasks. Accordingly, a lot of researches to reveal static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roperties and performance of the team members in a team situation have been done.
In the situation several learners cooperate with each other and solve problems like the team project learning, Social Network Analysis as a theory and research method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learner's social attributes has been proposed. As a result, many research verified the fact that the social network is a key factor in the team-based learning situation. Specifically, indicators like centralities was examined to address the indicator of learning achievement.
On the other hand, it is reported that individual role is regarded as an important factor as well as a property of the network and individual status within it.
Especially, even though, communication skill as a competence that directly affect an interaction with colleagues has been emphasized by many researchers, the analysis of procedures and a certain condition it has impact on interaction has been scar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organic cause-and-effect relationship among the learner's communication skills, the knowledge-sharing network indegree centralities, learning achievement in the team-based project learning, to verify whether the knowledge-sharing network centrality play an intermediary role. Depending on the purpose of further research,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to deal in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Do communication skills of the individuals, the knowledge-sharing network centrality in the team-based project learning predict learning achievement?
Research question 2. Does the knowledge-sharing network centrality in the team-based project learning act an intermediary role in that communication skills predict learning achievement?
For investigating the above research problems, data was collected from 45 students who attended the class progressed in a way of team-based project learning in A University. Before the team-based project learning started in earnest, communication skill was measured. And, the knowledge sharing network centrality was measured 2 weeks before the completion of team-based project learning. Finally, learning achievement was measure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course. To identify the reliability of measuring tools, Cronbach's was calculated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For verifying the research problem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Especially, for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knowledge sharing network centrality, a mediating analysis method suggested by Judd and Kenny(1981) was used.
The results for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communication skill and the knowledge-sharing network centrality on learning achievement affected learning achievement. The communication skill is greater, learners do a positive interaction with other learner and through this, it can be interpreted in the same context as the research result. Therefore, curriculum, program development or teaching-learning strategies and plans to improve three-dimensional communication skill on the basis of the authentic demands or needs of the learner should be sought.
Second, individual learners with high centrality in the knowledge-sharing network do the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such as helping other members and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conducted actively to keep the immersion and centrality in high centrality group as well as they obtain easily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needed for tasks and academic performance from other members. In other words, various efforts are required for increasing the interaction because it has a positive influence on sharing knowledge that the interaction, the meeting or the network between learners in the team-based learning happen actively.
Third, the communication skill in the team-based project learning has been identified to do an indirect influence on learning achievement prediction by mediating the knowledge-sharing network centrality. In other words, the communication skill affects learning achievement prediction directly, and even indirectly.
This is a further study that is aimed at identifying the organic cause-and-effect relationship among the learner's communication skills, the knowledge-sharing network centralities, learning achievement in the team-based project learning. In addition, we investigated logical relationships how personal communication capabilities play a role in the interaction with members, which processes affect learning achievement in line with previous research only focused on an direct effect of communication skill on learning performance.
Based on the limitations in this study, suggestions for the follow-up study were made as followed.
Firs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argeting a small number of female learners who studied particular subjects established in a particular university. Therefore, it is needed to verify additionally whether there is a gender difference in the predictive power of communication skill and knowledge sharing network centrality through the follow-up studies.
Second, this research conducted a regression analysis in accordance with the mediating analysis method of Judd and Kenny(1981) to verify the mediation of knowledge sharing network centrality between communication skill and learning achievement. The follow-up research among the variables in the combines model by applying a structural equation.
Third, this research used self-reporting survey only, to apprehend the communication skill and knowledge sharing network of learners. However, learners' perceived communication skill and knowledge sharing network need to be analyzed qualitatively in-depth in the future. Then, the communication skill and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actual interaction can be understood deeply.
Creating, sharing and utilizing valuable knowledge in knowledge-based society in the 21st century have been considered critically successful factors in learning and performance.
The constructive paradigm plays a role as an fundamental educational theory to support this phenomenon. Learning in constructivism is not a passive concept that learners accept fragmentary knowledge separated from the context, but a active one that they interpret the situation empirically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fellows and create newly knowledge through the internal structural process (Duffy & Jonassen, 1993; Fosnot, 1996).
Project learning has been reputed a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purposed for enhancing learner's fundamental exploration capability and high-level problem-solving skills. Project learning can be divided into personal project learning and team project learning according to the number of participants but mostly, it has been conducted as a form of team learning in terms of constructing knowledge actively through the interaction by doing common tasks. Accordingly, a lot of researches to reveal static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roperties and performance of the team members in a team situation have been done.
In the situation several learners cooperate with each other and solve problems like the team project learning, Social Network Analysis as a theory and research method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learner's social attributes has been proposed. As a result, many research verified the fact that the social network is a key factor in the team-based learning situation. Specifically, indicators like centralities was examined to address the indicator of learning achievement.
On the other hand, it is reported that individual role is regarded as an important factor as well as a property of the network and individual status within it.
Especially, even though, communication skill as a competence that directly affect an interaction with colleagues has been emphasized by many researchers, the analysis of procedures and a certain condition it has impact on interaction has been scar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organic cause-and-effect relationship among the learner's communication skills, the knowledge-sharing network indegree centralities, learning achievement in the team-based project learning, to verify whether the knowledge-sharing network centrality play an intermediary role. Depending on the purpose of further research,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to deal in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Do communication skills of the individuals, the knowledge-sharing network centrality in the team-based project learning predict learning achievement?
Research question 2. Does the knowledge-sharing network centrality in the team-based project learning act an intermediary role in that communication skills predict learning achievement?
For investigating the above research problems, data was collected from 45 students who attended the class progressed in a way of team-based project learning in A University. Before the team-based project learning started in earnest, communication skill was measured. And, the knowledge sharing network centrality was measured 2 weeks before the completion of team-based project learning. Finally, learning achievement was measure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course. To identify the reliability of measuring tools, Cronbach's was calculated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For verifying the research problem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Especially, for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knowledge sharing network centrality, a mediating analysis method suggested by Judd and Kenny(1981) was used.
The results for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communication skill and the knowledge-sharing network centrality on learning achievement affected learning achievement. The communication skill is greater, learners do a positive interaction with other learner and through this, it can be interpreted in the same context as the research result. Therefore, curriculum, program development or teaching-learning strategies and plans to improve three-dimensional communication skill on the basis of the authentic demands or needs of the learner should be sought.
Second, individual learners with high centrality in the knowledge-sharing network do the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such as helping other members and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conducted actively to keep the immersion and centrality in high centrality group as well as they obtain easily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needed for tasks and academic performance from other members. In other words, various efforts are required for increasing the interaction because it has a positive influence on sharing knowledge that the interaction, the meeting or the network between learners in the team-based learning happen actively.
Third, the communication skill in the team-based project learning has been identified to do an indirect influence on learning achievement prediction by mediating the knowledge-sharing network centrality. In other words, the communication skill affects learning achievement prediction directly, and even indirectly.
This is a further study that is aimed at identifying the organic cause-and-effect relationship among the learner's communication skills, the knowledge-sharing network centralities, learning achievement in the team-based project learning. In addition, we investigated logical relationships how personal communication capabilities play a role in the interaction with members, which processes affect learning achievement in line with previous research only focused on an direct effect of communication skill on learning performance.
Based on the limitations in this study, suggestions for the follow-up study were made as followed.
Firs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argeting a small number of female learners who studied particular subjects established in a particular university. Therefore, it is needed to verify additionally whether there is a gender difference in the predictive power of communication skill and knowledge sharing network centrality through the follow-up studies.
Second, this research conducted a regression analysis in accordance with the mediating analysis method of Judd and Kenny(1981) to verify the mediation of knowledge sharing network centrality between communication skill and learning achievement. The follow-up research among the variables in the combines model by applying a structural equation.
Third, this research used self-reporting survey only, to apprehend the communication skill and knowledge sharing network of learners. However, learners' perceived communication skill and knowledge sharing network need to be analyzed qualitatively in-depth in the future. Then, the communication skill and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actual interaction can be understood deepl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