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반적인 부분에서 발달장애인들은 직·간접적인 차별을 받고 소외되는 경우가 많다.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장애와 소질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이를 은연중에 동일시하면서 발달장애인들의 소질계발이 등한시되어 온 것이다. 장애라는 특수요인을 고려하며 그들의 소질을 계발하고 꿈을 펼쳐서, 동등한 사회구성원으로서 그들이 속해있는 사회에서 만족감을 느끼고 행복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교육적인 프로그램의 개발이 선행되어 야 한다. 현재 음악 프로그램에서도 교육적인 차원보다는 치료목적이 우선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우리 사회 발달장애인들의 음악적 재능을 새롭게 조명해 보고, 그들의 재능을 계발하기 위한 음악적 기초 이론의 중요성을 감안한 체계적인 전문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음악기술훈련이 발달장애 학생들의 악기실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이러한 것들이 악기실기능력향상에 얼마나 큰 영향을 주는지 새로운 프로그램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실천현장 및 이제 새로 시작하는 발달장애학생들과 그 가족 구성원들에게 꿈과 희망을 주는데 그 실천적 함의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의 가설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가설1. 음악기술훈련을 받거나 받지 않은 두 집단의 악기실기능력에 차이가 있다. 가설2. 음악기술훈련에 대한 효과성이 대상자가 가지고 있는 음감, 박자 및 리듬 수준에 따라 달라진다. 연구가설2-1. 음감능력에 따라 악기실기능력에 차이가 있다. 연구가설2-2. 박자 및 리듬수준에 따라 악기실기능력에 차이가 있다. 이상의 연구가설을 다루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12년 3월부터 2012년 8월까지 서울 송파구 가락동에 위치한 H재단 내, 발달장애 및 지적, 정신적장애, ...
사회 전반적인 부분에서 발달장애인들은 직·간접적인 차별을 받고 소외되는 경우가 많다.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장애와 소질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이를 은연중에 동일시하면서 발달장애인들의 소질계발이 등한시되어 온 것이다. 장애라는 특수요인을 고려하며 그들의 소질을 계발하고 꿈을 펼쳐서, 동등한 사회구성원으로서 그들이 속해있는 사회에서 만족감을 느끼고 행복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교육적인 프로그램의 개발이 선행되어 야 한다. 현재 음악 프로그램에서도 교육적인 차원보다는 치료목적이 우선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우리 사회 발달장애인들의 음악적 재능을 새롭게 조명해 보고, 그들의 재능을 계발하기 위한 음악적 기초 이론의 중요성을 감안한 체계적인 전문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음악기술훈련이 발달장애 학생들의 악기실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이러한 것들이 악기실기능력향상에 얼마나 큰 영향을 주는지 새로운 프로그램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실천현장 및 이제 새로 시작하는 발달장애학생들과 그 가족 구성원들에게 꿈과 희망을 주는데 그 실천적 함의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의 가설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가설1. 음악기술훈련을 받거나 받지 않은 두 집단의 악기실기능력에 차이가 있다. 가설2. 음악기술훈련에 대한 효과성이 대상자가 가지고 있는 음감, 박자 및 리듬 수준에 따라 달라진다. 연구가설2-1. 음감능력에 따라 악기실기능력에 차이가 있다. 연구가설2-2. 박자 및 리듬수준에 따라 악기실기능력에 차이가 있다. 이상의 연구가설을 다루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12년 3월부터 2012년 8월까지 서울 송파구 가락동에 위치한 H재단 내, 발달장애 및 지적, 정신적장애, 자폐성장애, 정신지체 등으로 장애등급을 1급~3급 받은 H오케스트라단원 중, 12세~27세까지의 발달장애학생들 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은 모두 3년 이상 10년 미만의 기악을 전공하는 발달장애학생들이다. 음악에 기초가 되는 3가지 이론영역인 음감, 박자 및 리듬을 음악기술훈련이라 명명하였고, 악기실기능력은 발달장애학생들이 다루고 있는 개개인의 악기 실기능력이며, 이들을 연구하였다. 첫 번째, 가설을 위해 24명을 12명씩 분류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눠 연구하였고, 음악기술훈련 3가지영역과 악기실기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기초선 및 재기초선 단계를 거쳐 기초선 평균(M)을 산출하였다. 음악기술훈련 3가지영역에서 음감은 피아노를 이용해 절대음감 및 상대음감, 청음 등으로 검사하였고, 박자 및 리듬은 코다이교수법 이론을 적용한 리듬읽기와 국악기소고를 활용한 리듬치기 놀이 등으로 검사함으로써 흥미 유발에 도움을 주고자하였다. 또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훈련 개입 전 집단 간 차이가 있었는지를 검증하는 동질성 검사를 살펴보았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음악기술훈련을 받거나 받지 않은 후 1차, 3차, 5차 점수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독립표본t 검정(independent samples t-test)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집단 안에서 차수에 따라 악기실기능력이 향상되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기초선, 1차, 3차, 그리고 5차의 점수 차이를 대응표본 t 검정(paired t-test)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두 번째 가설인 음악기술훈련에 대한 효과성이 대상자가 가지고 있는 음감, 리듬 및 박자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 및 통제집단의 음감, 박자 및 리듬 각각의 수준에 따른 기초선, 1차, 3차, 그리고 5차의 점수 차이를 독립표본 t 검정(independent samples t-test)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 자료는 SPSS 16.0 window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유의도가 p<.05인 경우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또한 음악기술훈련을 독립변인으로 보았고, 악기실기능력을 종속변인으로 보고 연구하였다. 위의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음악기술훈련을 받거나 받지 않은 두 집단 간의 차이는 시간이 갈수록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음악기술훈련을 받은 집단과 받지 않은 집단 모두 악기실기능력이 상승하는 결과도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음악기술훈련을 받은 집단은 시간이 갈수록 크게 악기실기능력이 상승한 반면, 음악기술훈련을 받지 않은 집단 또한 악기실기능력이 상승하는 결과는 있었지만 음악기술훈련을 받은 집단보다 다소 낮은 악기실기능력이 상승하는 결과가 있었다. 둘째, 음악기술훈련에 대한 효과성이 대상자가 가지고 있는 음감, 박자 및 리듬 수준에 따라 달라졌다. 두 집단 모두 구체적인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음악기술훈련을 받은 고집단과 저집단, 음악기술훈련을 받지 않은 고집단과 저집단을 구분 조사하였다. 그로인해 음감과 박자 및 리듬 저집단과 고집단 발달장애 학생들의 악기실기능력 점수를 비교한 결과, 음감 능력보다는 박자 및 리듬 능력이 개인 악기실기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발달장애 학생들에 있어서 음감 능력은 음악기술훈련을 받거나 받지 않은 조건에 따라 전혀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박자 및 리듬 능력은 음악기술훈련을 받았을 때 기존에 가지고 있었던 학생들의 능력 수준과 상관없이 악기실기능력이 유의미하게 상승하는 결과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두 연구 결과로 인해 수많은 발달장애학생들과 그의 가족구성원들에게 꿈과 희망을 주고 타고난 음악적 재능 및 능력을 조금 더 계발시켜 주고자 하는데 의미가 있다. 또한, 정신적인 장애를 가지고 음악을 한다는 것 자체가 무리한 것일 수 있다는 주위의 편견과 비장애인에 비해 쉽게 늘지 않는 악기실기능력을 올려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발달장애아들의 음악적 재능계발과 악기실기능력향상에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사회 전반적인 부분에서 발달장애인들은 직·간접적인 차별을 받고 소외되는 경우가 많다.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장애와 소질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이를 은연중에 동일시하면서 발달장애인들의 소질계발이 등한시되어 온 것이다. 장애라는 특수요인을 고려하며 그들의 소질을 계발하고 꿈을 펼쳐서, 동등한 사회구성원으로서 그들이 속해있는 사회에서 만족감을 느끼고 행복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교육적인 프로그램의 개발이 선행되어 야 한다. 현재 음악 프로그램에서도 교육적인 차원보다는 치료목적이 우선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우리 사회 발달장애인들의 음악적 재능을 새롭게 조명해 보고, 그들의 재능을 계발하기 위한 음악적 기초 이론의 중요성을 감안한 체계적인 전문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음악기술훈련이 발달장애 학생들의 악기실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이러한 것들이 악기실기능력향상에 얼마나 큰 영향을 주는지 새로운 프로그램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실천현장 및 이제 새로 시작하는 발달장애학생들과 그 가족 구성원들에게 꿈과 희망을 주는데 그 실천적 함의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의 가설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가설1. 음악기술훈련을 받거나 받지 않은 두 집단의 악기실기능력에 차이가 있다. 가설2. 음악기술훈련에 대한 효과성이 대상자가 가지고 있는 음감, 박자 및 리듬 수준에 따라 달라진다. 연구가설2-1. 음감능력에 따라 악기실기능력에 차이가 있다. 연구가설2-2. 박자 및 리듬수준에 따라 악기실기능력에 차이가 있다. 이상의 연구가설을 다루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12년 3월부터 2012년 8월까지 서울 송파구 가락동에 위치한 H재단 내, 발달장애 및 지적, 정신적장애, 자폐성장애, 정신지체 등으로 장애등급을 1급~3급 받은 H오케스트라단원 중, 12세~27세까지의 발달장애학생들 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은 모두 3년 이상 10년 미만의 기악을 전공하는 발달장애학생들이다. 음악에 기초가 되는 3가지 이론영역인 음감, 박자 및 리듬을 음악기술훈련이라 명명하였고, 악기실기능력은 발달장애학생들이 다루고 있는 개개인의 악기 실기능력이며, 이들을 연구하였다. 첫 번째, 가설을 위해 24명을 12명씩 분류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눠 연구하였고, 음악기술훈련 3가지영역과 악기실기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기초선 및 재기초선 단계를 거쳐 기초선 평균(M)을 산출하였다. 음악기술훈련 3가지영역에서 음감은 피아노를 이용해 절대음감 및 상대음감, 청음 등으로 검사하였고, 박자 및 리듬은 코다이교수법 이론을 적용한 리듬읽기와 국악기소고를 활용한 리듬치기 놀이 등으로 검사함으로써 흥미 유발에 도움을 주고자하였다. 또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훈련 개입 전 집단 간 차이가 있었는지를 검증하는 동질성 검사를 살펴보았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음악기술훈련을 받거나 받지 않은 후 1차, 3차, 5차 점수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독립표본t 검정(independent samples t-test)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집단 안에서 차수에 따라 악기실기능력이 향상되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기초선, 1차, 3차, 그리고 5차의 점수 차이를 대응표본 t 검정(paired t-test)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두 번째 가설인 음악기술훈련에 대한 효과성이 대상자가 가지고 있는 음감, 리듬 및 박자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 및 통제집단의 음감, 박자 및 리듬 각각의 수준에 따른 기초선, 1차, 3차, 그리고 5차의 점수 차이를 독립표본 t 검정(independent samples t-test)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 자료는 SPSS 16.0 window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유의도가 p<.05인 경우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또한 음악기술훈련을 독립변인으로 보았고, 악기실기능력을 종속변인으로 보고 연구하였다. 위의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음악기술훈련을 받거나 받지 않은 두 집단 간의 차이는 시간이 갈수록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음악기술훈련을 받은 집단과 받지 않은 집단 모두 악기실기능력이 상승하는 결과도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음악기술훈련을 받은 집단은 시간이 갈수록 크게 악기실기능력이 상승한 반면, 음악기술훈련을 받지 않은 집단 또한 악기실기능력이 상승하는 결과는 있었지만 음악기술훈련을 받은 집단보다 다소 낮은 악기실기능력이 상승하는 결과가 있었다. 둘째, 음악기술훈련에 대한 효과성이 대상자가 가지고 있는 음감, 박자 및 리듬 수준에 따라 달라졌다. 두 집단 모두 구체적인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음악기술훈련을 받은 고집단과 저집단, 음악기술훈련을 받지 않은 고집단과 저집단을 구분 조사하였다. 그로인해 음감과 박자 및 리듬 저집단과 고집단 발달장애 학생들의 악기실기능력 점수를 비교한 결과, 음감 능력보다는 박자 및 리듬 능력이 개인 악기실기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발달장애 학생들에 있어서 음감 능력은 음악기술훈련을 받거나 받지 않은 조건에 따라 전혀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박자 및 리듬 능력은 음악기술훈련을 받았을 때 기존에 가지고 있었던 학생들의 능력 수준과 상관없이 악기실기능력이 유의미하게 상승하는 결과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두 연구 결과로 인해 수많은 발달장애학생들과 그의 가족구성원들에게 꿈과 희망을 주고 타고난 음악적 재능 및 능력을 조금 더 계발시켜 주고자 하는데 의미가 있다. 또한, 정신적인 장애를 가지고 음악을 한다는 것 자체가 무리한 것일 수 있다는 주위의 편견과 비장애인에 비해 쉽게 늘지 않는 악기실기능력을 올려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발달장애아들의 음악적 재능계발과 악기실기능력향상에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get from direct and indirect discrimination and are alienated a lot from overall social sectors. Even though disability and character having been kept each person are different, character development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s been neglected ...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get from direct and indirect discrimination and are alienated a lot from overall social sectors. Even though disability and character having been kept each person are different, character development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s been neglected while the difference is being identified tacitly. By considering the specific factor called disability and developing character of the disabled for their dreams,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preceded so that they could be alⅣe happily and feel satisfaction in the belonged society as equal social members. As therapeutic purposes are mostly prioritized to educational dimension in current music programs, systematic special education is necessary that considers basic theory of music for developing their talents after lightening up musical talents of people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our society. This study aimed at finding out practical implications in gⅣing dreams and hopes to th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ving started newly from now on together with their family members and on practice fields by suggesting a new program model through looking into effects of musical skill training on the instrumental skill ability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grasping how much these affected to improvement of instrument practicing abilities largely. For achieving these purposes, this study set up the hypotheses same as follows. First, there are differences in instrumental skill abilities between one group that gets the musical skill training and the other group having not gotten it. Second, effectⅣeness on the musical skill training differs according to pitch, rhythm, and tempo levels belonged to objects. In order to deal with above hypothesis, this study was selected H Foundation located in Garak-dong, Songpa-gu, Seoul, and investigated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during March ~August 2010. And then the study objected 24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etween 12~27 years old among H orchestra members who got Class 1~3 disability rating from developmental disability, intellectual or mental disability, autistic disorder, and mental retardation etc. They wer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majored in instrumental music for over 3~ below 10 years. This study was dⅣided into only pitch, tempo, and rhythm that were 3 kinds in the theoretical scopes, basics in music, as the musical skill training, and named instrumental skill abilities as instrument practicing abilities of indⅣiduals who wer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researched these matters. First, this study researched after dⅣiding 24 persons into 12 ones respectⅣely such as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for the hypothesis, and then calculated baseline average (M) through baseline and re-baseline step so as to find out instrumental skill abilities together with 3 kind scopes of the musical skill training. In 3 kinds of scopes of musical skill training, pitch was inspected with absolute pitch, relatⅣe pitch, and listening etc by using the piano, and tempo, rhythm by applying Kodaly method. Also, the study looked into homogeneity inspection that verified differences between pre-training group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one, and examined 1st, 3rd, 5th score differences of students who got the musical skill training or not. For doing it, this study verified the differences by using independent samples t-test. In order to see whether the instrumental skill ability was improved in the group by orders, the study verified differences of baseline, 1st, 3rd, and 5th scores by using paired t-test. Second, to find out whether effectⅣeness of the musical skill training was changed by pitch, rhythm, tempo levels of research objects as the second hypothesis, this study verified differences of baseline, 1st, 3rd, 5th scores according to each level on pitch, rhythm, tempo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one by using independent samples t-test. These research materials were utilized by SPSS 16.0 Windows program, and the result was interpret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ase of p<.05 significance. Also the independence variable used in this study is musical skill training and the dependence variable is instrumental skill abilities. Through above results, following conclusion could be gotten. First, as the result of comparing scores of instrumental skill abilities on students with low-hig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pitch, tempo, and rhyme regardless of getting the musical skill training or not, it could be known that tempo and rhythm abilities were more sensitⅣe to pitch abilities, and also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were appeared significantly according as time went by. Second, effectⅣeness on the musical skill training became different according to levels of pitch, rhythm, and tempo having been kept to research objects. Though pitch abilities to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not affected at all regardless of getting the music skill training or not, tempo and rhythm abilities were found as the result to be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instrumental skill abilities when they have trained the musical skill without any relations with ability levels of students who had kept it before. This study has a meaning in developing inherent musical talent and abilities a little more and in gⅣing dreams and hopes to a lot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family members. Also, the study aims at raising instrument practicing abilities of the disabled that are not enhanced easily as compared with the people without disabilities and putting down surrounding prejudices such like it could be unreasonable to play music with mental disabilities. Therefore, this study expects that research results will be largely helpful to developing musical talent and enhancing instrument practicing abilitie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get from direct and indirect discrimination and are alienated a lot from overall social sectors. Even though disability and character having been kept each person are different, character development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s been neglected while the difference is being identified tacitly. By considering the specific factor called disability and developing character of the disabled for their dreams,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preceded so that they could be alⅣe happily and feel satisfaction in the belonged society as equal social members. As therapeutic purposes are mostly prioritized to educational dimension in current music programs, systematic special education is necessary that considers basic theory of music for developing their talents after lightening up musical talents of people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our society. This study aimed at finding out practical implications in gⅣing dreams and hopes to th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ving started newly from now on together with their family members and on practice fields by suggesting a new program model through looking into effects of musical skill training on the instrumental skill ability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grasping how much these affected to improvement of instrument practicing abilities largely. For achieving these purposes, this study set up the hypotheses same as follows. First, there are differences in instrumental skill abilities between one group that gets the musical skill training and the other group having not gotten it. Second, effectⅣeness on the musical skill training differs according to pitch, rhythm, and tempo levels belonged to objects. In order to deal with above hypothesis, this study was selected H Foundation located in Garak-dong, Songpa-gu, Seoul, and investigated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during March ~August 2010. And then the study objected 24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etween 12~27 years old among H orchestra members who got Class 1~3 disability rating from developmental disability, intellectual or mental disability, autistic disorder, and mental retardation etc. They wer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majored in instrumental music for over 3~ below 10 years. This study was dⅣided into only pitch, tempo, and rhythm that were 3 kinds in the theoretical scopes, basics in music, as the musical skill training, and named instrumental skill abilities as instrument practicing abilities of indⅣiduals who wer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researched these matters. First, this study researched after dⅣiding 24 persons into 12 ones respectⅣely such as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for the hypothesis, and then calculated baseline average (M) through baseline and re-baseline step so as to find out instrumental skill abilities together with 3 kind scopes of the musical skill training. In 3 kinds of scopes of musical skill training, pitch was inspected with absolute pitch, relatⅣe pitch, and listening etc by using the piano, and tempo, rhythm by applying Kodaly method. Also, the study looked into homogeneity inspection that verified differences between pre-training group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one, and examined 1st, 3rd, 5th score differences of students who got the musical skill training or not. For doing it, this study verified the differences by using independent samples t-test. In order to see whether the instrumental skill ability was improved in the group by orders, the study verified differences of baseline, 1st, 3rd, and 5th scores by using paired t-test. Second, to find out whether effectⅣeness of the musical skill training was changed by pitch, rhythm, tempo levels of research objects as the second hypothesis, this study verified differences of baseline, 1st, 3rd, 5th scores according to each level on pitch, rhythm, tempo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one by using independent samples t-test. These research materials were utilized by SPSS 16.0 Windows program, and the result was interpret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ase of p<.05 significance. Also the independence variable used in this study is musical skill training and the dependence variable is instrumental skill abilities. Through above results, following conclusion could be gotten. First, as the result of comparing scores of instrumental skill abilities on students with low-hig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pitch, tempo, and rhyme regardless of getting the musical skill training or not, it could be known that tempo and rhythm abilities were more sensitⅣe to pitch abilities, and also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were appeared significantly according as time went by. Second, effectⅣeness on the musical skill training became different according to levels of pitch, rhythm, and tempo having been kept to research objects. Though pitch abilities to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not affected at all regardless of getting the music skill training or not, tempo and rhythm abilities were found as the result to be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instrumental skill abilities when they have trained the musical skill without any relations with ability levels of students who had kept it before. This study has a meaning in developing inherent musical talent and abilities a little more and in gⅣing dreams and hopes to a lot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family members. Also, the study aims at raising instrument practicing abilities of the disabled that are not enhanced easily as compared with the people without disabilities and putting down surrounding prejudices such like it could be unreasonable to play music with mental disabilities. Therefore, this study expects that research results will be largely helpful to developing musical talent and enhancing instrument practicing abilitie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