칵테일 믹솔로지스트의 역량 평가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호텔기업의 식음료 부서에서 mixologist의 역할이 중요해짐에 따라 mixologist의 역량을 개발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mixologist의 역량에 대한 명확한 개념과 측정도구 부재 등의 문제를 인식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mixologist가 갖추어야 할 역량에 대한 측정항목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mixologist가 갖추어야 할 역량에 대한 척도개발을 진행하기 위해서 초기 설문항목 추출 및 구성 단계, 초기 측정항목 수정 및 보완 단계, 측정항목의 ...
칵테일 믹솔로지스트의 역량 평가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호텔기업의 식음료 부서에서 mixologist의 역할이 중요해짐에 따라 mixologist의 역량을 개발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mixologist의 역량에 대한 명확한 개념과 측정도구 부재 등의 문제를 인식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mixologist가 갖추어야 할 역량에 대한 측정항목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mixologist가 갖추어야 할 역량에 대한 척도개발을 진행하기 위해서 초기 설문항목 추출 및 구성 단계, 초기 측정항목 수정 및 보완 단계, 측정항목의 타당성 검증 단계의 순으로 진행하였다. 예비 1차 전문가 심층 인터뷰에서 선행연구의 부재와 전문가의 자유로운 의견수렴을 위해서 개방형 설문조사를 통해서 초기 측정항목을 도출하였다. 예비 2차 전문가 심층 조사에서는 예비 1차 전문가 예비조사를 통해서 도출된 설문문항을 전문가의 공통적인 의견에 따라 유사하거나 동일한 문항은 제거하였고, 누락된 문항은 추가하는 과정을 통해 설문항목을 정제하였고, 공통적인 성격의 상위차원 7가지와 총 55개의 설문항목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초기 측정항목의 수정 및 보완 단계에서는 전문가 예비조사를 통해 도출된 55개의 초기 측정항목에 대해 10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1차 전문가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식음료 지식 및 개발 능력에 대한 9개 측정항목 중에서 3개 항목을 삭제하였고, 3개의 항목을 수정하여 총 9개의 설문항목으로 정제되었다. 칵테일 메이킹 스킬과 관련된 7개 측정항목은 4개 항목을 삭제하고 2개의 문항은 수정하여 총 5개의 설문항목으로 재구성하였다. 기획 및 영업 능력에 대한 7개 측정항목 중에서 2개 항목을 삭제하였고, 1개의 항목을 수정하여 총 5개의 설문항목으로 정제되었다. 외적 특성과 관련된 8개 측정항목은 1개 항목을 삭제하고 1개의 문항은 수정하여 총 7개의 설문항목으로 재구성하였다. 고객 서비스에 대한 10개 측정항목 중에서 1개 항목을 삭제하였고, 3개의 항목을 수정하여 총 9개의 설문항목으로 정제되었다. 경력 및 자격 조건과 관련된 7개 측정항목은 1개 항목을 삭제하고 1개의 문항은 수정하여 총 6개의 설문항목으로 재구성하였다. 업무 수행 능력에 대한 7개 측정항목 중에서 3개 항목을 삭제하였고, 2개의 항목을 수정하여 총 4개의 설문항목으로 정제되었다. 이러한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통해 측정항목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고, 다른 추가 사항이나 수정 및 삭제할 문항이 있을 때에는 의견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과정에서 총 45개의 설문항목으로 재구성되었다. 2차 전문가 설문조사에서는 켄달의 W검증을 실시하여 평균순위값이 상대적으로 낮은 항목과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한 결과, 음료 지식 및 개발 능력은 9개 중 2개 항목 삭제, 기획 및 영업 능력은 5개 중 1개 항목 삭제, 외적 특성은 7개 중 2개 항목 삭제, 고객 서비스는 9개 중 2개 항목 삭제, 경력 및 자격 조건은 6개 중 1개 항목 삭제, 업무 수행 능력은 4개 중 1개 항목 삭제하여 2차 전문가 설문조사의 결과에 따라 총 36개의 항목으로 재구성하였다. 측정항목의 평가 단계는 전․현직 특급호텔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는 mixologist를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차원성 검증을 위해서 음료 지식 및 개발 능력, 칵테일 메이킹 스킬, 기획 및 영업 능력, 외적 특성, 고객 서비스, 경력 및 자격 조건, 업무 수행 능력의 7가지 요인에 대해 개별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도출된 항목들의 신뢰도 검증하기 위하여 초기 연구의 성향을 지니거나 척도개발을 위한 신뢰도 기준값으로 0.5 이상의 계수값이면 만족할 수준이다는 선행연구의 의견을 수용하여 요인들에 대한 측정항목의 차원성 및 신뢰성에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 차원의 재검증을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 실시 결과, 각 요인에 대한 개별적으로 실시한 확인적 요인분석의 결과는 식음료 지식 및 개발 능력, 칵테일 메이킹 스킬, 기획 및 영업 능력, 외적 특성, 고객 서비스, 경력 및 자격 조건, 업무 수행 능력 등 각 요인의 적합도 지수가 대부분 최적모형의 기준치에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나 개별요인에 대한 구성항목의 선정에는 큰 무리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mixologist가 갖추어야 할 역량을 구성하는 요인 간의 상관관계수를 포함하는 상관관계 행렬에서 모든 상관관계 계수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0.7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나 측정항목의 판별타당성을 확보하였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30개 설문항목을 mixologist가 갖추어야 할 역량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통해 mixologist가 되기 위해 준비하는 학생들이나 일반인에게는 스스로 자신 역량을 진단하여 필요한 부분을 개발하기 위한 자기노력의 도구와 준비지표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또한 기업에게 역량 중심의 효율적인 선발, mixologist의 역량과 업무에 필요한 구체적인 지식, 기술의 교육훈련 및 관리의 자료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주제어: mixologist, 역량, 척도개발
칵테일 믹솔로지스트의 역량 평가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호텔기업의 식음료 부서에서 mixologist의 역할이 중요해짐에 따라 mixologist의 역량을 개발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mixologist의 역량에 대한 명확한 개념과 측정도구 부재 등의 문제를 인식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mixologist가 갖추어야 할 역량에 대한 측정항목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mixologist가 갖추어야 할 역량에 대한 척도개발을 진행하기 위해서 초기 설문항목 추출 및 구성 단계, 초기 측정항목 수정 및 보완 단계, 측정항목의 타당성 검증 단계의 순으로 진행하였다. 예비 1차 전문가 심층 인터뷰에서 선행연구의 부재와 전문가의 자유로운 의견수렴을 위해서 개방형 설문조사를 통해서 초기 측정항목을 도출하였다. 예비 2차 전문가 심층 조사에서는 예비 1차 전문가 예비조사를 통해서 도출된 설문문항을 전문가의 공통적인 의견에 따라 유사하거나 동일한 문항은 제거하였고, 누락된 문항은 추가하는 과정을 통해 설문항목을 정제하였고, 공통적인 성격의 상위차원 7가지와 총 55개의 설문항목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초기 측정항목의 수정 및 보완 단계에서는 전문가 예비조사를 통해 도출된 55개의 초기 측정항목에 대해 10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1차 전문가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식음료 지식 및 개발 능력에 대한 9개 측정항목 중에서 3개 항목을 삭제하였고, 3개의 항목을 수정하여 총 9개의 설문항목으로 정제되었다. 칵테일 메이킹 스킬과 관련된 7개 측정항목은 4개 항목을 삭제하고 2개의 문항은 수정하여 총 5개의 설문항목으로 재구성하였다. 기획 및 영업 능력에 대한 7개 측정항목 중에서 2개 항목을 삭제하였고, 1개의 항목을 수정하여 총 5개의 설문항목으로 정제되었다. 외적 특성과 관련된 8개 측정항목은 1개 항목을 삭제하고 1개의 문항은 수정하여 총 7개의 설문항목으로 재구성하였다. 고객 서비스에 대한 10개 측정항목 중에서 1개 항목을 삭제하였고, 3개의 항목을 수정하여 총 9개의 설문항목으로 정제되었다. 경력 및 자격 조건과 관련된 7개 측정항목은 1개 항목을 삭제하고 1개의 문항은 수정하여 총 6개의 설문항목으로 재구성하였다. 업무 수행 능력에 대한 7개 측정항목 중에서 3개 항목을 삭제하였고, 2개의 항목을 수정하여 총 4개의 설문항목으로 정제되었다. 이러한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통해 측정항목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고, 다른 추가 사항이나 수정 및 삭제할 문항이 있을 때에는 의견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과정에서 총 45개의 설문항목으로 재구성되었다. 2차 전문가 설문조사에서는 켄달의 W검증을 실시하여 평균순위값이 상대적으로 낮은 항목과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한 결과, 음료 지식 및 개발 능력은 9개 중 2개 항목 삭제, 기획 및 영업 능력은 5개 중 1개 항목 삭제, 외적 특성은 7개 중 2개 항목 삭제, 고객 서비스는 9개 중 2개 항목 삭제, 경력 및 자격 조건은 6개 중 1개 항목 삭제, 업무 수행 능력은 4개 중 1개 항목 삭제하여 2차 전문가 설문조사의 결과에 따라 총 36개의 항목으로 재구성하였다. 측정항목의 평가 단계는 전․현직 특급호텔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는 mixologist를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차원성 검증을 위해서 음료 지식 및 개발 능력, 칵테일 메이킹 스킬, 기획 및 영업 능력, 외적 특성, 고객 서비스, 경력 및 자격 조건, 업무 수행 능력의 7가지 요인에 대해 개별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도출된 항목들의 신뢰도 검증하기 위하여 초기 연구의 성향을 지니거나 척도개발을 위한 신뢰도 기준값으로 0.5 이상의 계수값이면 만족할 수준이다는 선행연구의 의견을 수용하여 요인들에 대한 측정항목의 차원성 및 신뢰성에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 차원의 재검증을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 실시 결과, 각 요인에 대한 개별적으로 실시한 확인적 요인분석의 결과는 식음료 지식 및 개발 능력, 칵테일 메이킹 스킬, 기획 및 영업 능력, 외적 특성, 고객 서비스, 경력 및 자격 조건, 업무 수행 능력 등 각 요인의 적합도 지수가 대부분 최적모형의 기준치에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나 개별요인에 대한 구성항목의 선정에는 큰 무리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mixologist가 갖추어야 할 역량을 구성하는 요인 간의 상관관계수를 포함하는 상관관계 행렬에서 모든 상관관계 계수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0.7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나 측정항목의 판별타당성을 확보하였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30개 설문항목을 mixologist가 갖추어야 할 역량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통해 mixologist가 되기 위해 준비하는 학생들이나 일반인에게는 스스로 자신 역량을 진단하여 필요한 부분을 개발하기 위한 자기노력의 도구와 준비지표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또한 기업에게 역량 중심의 효율적인 선발, mixologist의 역량과 업무에 필요한 구체적인 지식, 기술의 교육훈련 및 관리의 자료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주제어: mixologist, 역량, 척도개발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