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식생활에 대한 습관 및 태도를 조사하였다. 초등학생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식습관 및 태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여 초등학생의 식생활 교육에 사용할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가정 내의 식생활 관리자는 어머니가 대부분으로 나타났으며, 가정 형편이 넉넉한 경우 식품선택 시 영양적인 면을 고려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바른 식생활에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식의 횟수는 가정 형편이 넉넉할수록 적게, 가정 내 식생활 관리자가 어머니인 경우에 간식섭취를 많이 하여 식사를...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식생활에 대한 습관 및 태도를 조사하였다. 초등학생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식습관 및 태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여 초등학생의 식생활 교육에 사용할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가정 내의 식생활 관리자는 어머니가 대부분으로 나타났으며, 가정 형편이 넉넉한 경우 식품선택 시 영양적인 면을 고려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바른 식생활에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식의 횟수는 가정 형편이 넉넉할수록 적게, 가정 내 식생활 관리자가 어머니인 경우에 간식섭취를 많이 하여 식사를 거른다는 응답이 많은 것으로 보아 취업하지 않은 어머니들이 가정에서 간식을 많이 제공하는 것으로 보였다. 평소 고쳐야할 식습관으로는 편식으로 어머니가 취업일 경우 편식하는 경우가 많았고, 인스턴트 음식에 대해 나쁘게 생각하는 경우는 남자보다 여자가 높았으며, 평소 식생활 습관에 대해서는 여자들이 더 많이 알고 있거나 관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인의 식습관 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부모님의 영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어머니라고 대답하는 경우가 가장 높았다. 식생활 교육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 여자는 올바른 식습관을 위해서가 높았고, 남자는 건강이나 질병예방이라는 인식이 높았으므로 여자보다는 남자가 건강이나 질병을 더 많이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식생활교육은 급변하는 사회에서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올바른 식습관 형성에 중요하다고 생각되었다. 따라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식생활 교육이 초등학생에게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다. 어머니의 취업으로 인한 부재에 대한 대책으로 학교 급식시간이나 교과시간에 식생활 교육을 실시한다면 좋은 식습관 형성이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되었다. 올바른 식생활 교육은 성장기의 학생에 대한 바람직한 영양관리로 국민 건강에 이바지 할 수 있으며 나아가 체력 증진을 유도하여 질병예방과 체력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되어 초등학생에 대한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식생활에 대한 습관 및 태도를 조사하였다. 초등학생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식습관 및 태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여 초등학생의 식생활 교육에 사용할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가정 내의 식생활 관리자는 어머니가 대부분으로 나타났으며, 가정 형편이 넉넉한 경우 식품선택 시 영양적인 면을 고려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바른 식생활에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식의 횟수는 가정 형편이 넉넉할수록 적게, 가정 내 식생활 관리자가 어머니인 경우에 간식섭취를 많이 하여 식사를 거른다는 응답이 많은 것으로 보아 취업하지 않은 어머니들이 가정에서 간식을 많이 제공하는 것으로 보였다. 평소 고쳐야할 식습관으로는 편식으로 어머니가 취업일 경우 편식하는 경우가 많았고, 인스턴트 음식에 대해 나쁘게 생각하는 경우는 남자보다 여자가 높았으며, 평소 식생활 습관에 대해서는 여자들이 더 많이 알고 있거나 관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인의 식습관 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부모님의 영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어머니라고 대답하는 경우가 가장 높았다. 식생활 교육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 여자는 올바른 식습관을 위해서가 높았고, 남자는 건강이나 질병예방이라는 인식이 높았으므로 여자보다는 남자가 건강이나 질병을 더 많이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식생활교육은 급변하는 사회에서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올바른 식습관 형성에 중요하다고 생각되었다. 따라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식생활 교육이 초등학생에게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다. 어머니의 취업으로 인한 부재에 대한 대책으로 학교 급식시간이나 교과시간에 식생활 교육을 실시한다면 좋은 식습관 형성이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되었다. 올바른 식생활 교육은 성장기의 학생에 대한 바람직한 영양관리로 국민 건강에 이바지 할 수 있으며 나아가 체력 증진을 유도하여 질병예방과 체력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되어 초등학생에 대한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basic data that will be used in dietary life education by closely examining which difference there is in eating habit and dietary life level according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after surveying students' habit, attitude, and life p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basic data that will be used in dietary life education by closely examining which difference there is in eating habit and dietary life level according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after surveying students' habit, attitude, and life pattern on dietary life targeting high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 manager of dietary life at home was mostly indicated to be mother. The appearance of mother's employment and a case of comfortable family circumstances were shown to have many cases of considering the nutritional aspect given right eating habit or food choice. As for frequency of snack, the richer family situation leads to the smaller. Snack intake is made when a dietary-life manager within home is mother, resulting in being much in response as saying of skipping a meal. In this regard, mothers without employment seemed to have a case of making a snack taken much at home. Eating habit, which will need to be changed at ordinary times, was given response as saying of imbalanced diet. Mother's employment led to many cases of imbalanced diet. A case of thinking badly about instant food was higher in girls than boys. Thus, girls were indicated to know more or be interested in usually dietary-life habit. A factor of having influence upon formation in own eating habit was indicated to be the highest in parents' influence. Even out of it, a case of being given answer as saying of mother was the highest. As for a reason of being needed the dietary-life education, the girls were high in the aim of right eating habit. The boys were high in perception as saying of health or disease prevention. Hence, compared to girls, the boys were shown to think more about health or disease. In this way, the dietary-life education was thought to be necessary for forming a right eating habit as for children who grow in the rapidly-changing whole society. Accordingly, the systematic and specific dietary-life education was considered to be certainly needed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a measure for the absence due to mother's employment, the formation of a good eating habit was thought to be likely available given carrying out the dietary-life education during school meal time or curricular time. As the right dietary-life education is the desirable nutritional management for students in growth period, it can contribute to the national health and further induces promotion in fitness, thereby having been considered to possibly contribute to preventing disease and enhancing fitness. Hence, the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thought to be surely necess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basic data that will be used in dietary life education by closely examining which difference there is in eating habit and dietary life level according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after surveying students' habit, attitude, and life pattern on dietary life targeting high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 manager of dietary life at home was mostly indicated to be mother. The appearance of mother's employment and a case of comfortable family circumstances were shown to have many cases of considering the nutritional aspect given right eating habit or food choice. As for frequency of snack, the richer family situation leads to the smaller. Snack intake is made when a dietary-life manager within home is mother, resulting in being much in response as saying of skipping a meal. In this regard, mothers without employment seemed to have a case of making a snack taken much at home. Eating habit, which will need to be changed at ordinary times, was given response as saying of imbalanced diet. Mother's employment led to many cases of imbalanced diet. A case of thinking badly about instant food was higher in girls than boys. Thus, girls were indicated to know more or be interested in usually dietary-life habit. A factor of having influence upon formation in own eating habit was indicated to be the highest in parents' influence. Even out of it, a case of being given answer as saying of mother was the highest. As for a reason of being needed the dietary-life education, the girls were high in the aim of right eating habit. The boys were high in perception as saying of health or disease prevention. Hence, compared to girls, the boys were shown to think more about health or disease. In this way, the dietary-life education was thought to be necessary for forming a right eating habit as for children who grow in the rapidly-changing whole society. Accordingly, the systematic and specific dietary-life education was considered to be certainly needed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a measure for the absence due to mother's employment, the formation of a good eating habit was thought to be likely available given carrying out the dietary-life education during school meal time or curricular time. As the right dietary-life education is the desirable nutritional management for students in growth period, it can contribute to the national health and further induces promotion in fitness, thereby having been considered to possibly contribute to preventing disease and enhancing fitness. Hence, the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thought to be surely necessar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