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와 원장을 대상으로 보육교사가 구비해야 할 기초지식, 전문능력, 자질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전라남도 S시와 Y시에 소재하고 있는 보육교사 172명과 원장 99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 각 영역별 신뢰도 Cronbach α 는 기초지식 .938, 전문능력 .909, 자질 .896로 나타났다. 분석방법은 t검증방법을 사용하여 보육교사와 원장 집단을 대상으로 보육교사가 구비해야 하는 기초지식, 전문능력, 자질에 대한 인식 차이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직위, 경력의 2개요인과 기초지식, 전문능력, 자질의 3개 하위영역을 중심으로 χ2검증(chi-square분석) 및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육교사와 원장의「기초지식」에 대한 인식 차이
첫째, 총 10개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전 항목에서 보육교사보다 원장이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보육교사는 「기초지식」에 대해서 ‘(4) 경험과 놀이의 중요성 이해’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원장은 ‘(2) 활동과정에서 나타나는 개인차의 이해’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ⅳ-
반면에 보육교사 및 원장 모두 ‘(8) 장애유아 신변자립’을 그다지 중요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와 원장 경력별 「기초지식」에 대한 인식 차이는 보육교사 근무경력이 4년 이하는 56.5%, 5년~10년은 64.8%, 11년~15년은 65%, 16년 이상은 66.5%가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장 경력 별 인식은 원장 근무경력이 4년 이하는 70.3%, 5년~10년은 71.7%, 11년~15년은 84%, 16년 이상은 76.9%가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보육교사 및 원장의「전문능력」에 대한 인식 차이
첫째, 보육교사 및 원장의「전문능력」에 대한 인식 차이는 총 9개 항목에서 보육교사와 원장에 있어서 9개 항목에서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즉 원장이 보육교사보다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와 원장 경력별「전문능력」에 대한 인식 차이는 보육교사 근무경력이 4년 이하는 82.7%, 5년~10년은 87.1%, 11년~15년은 84.8%, 16년 이상은 87.2%가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장 경력 별 「전문능력」에 대한 인식은 근무경력이 4년 이하는 88.7%, 5년~10년은 91.1%, 11년~15년은 88.6%, 16년 이상은 92.3%가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보육교사 및 원장의「자질」에 대한 인식 차이
첫째, 보육교사 및 원장의「자질」에 대한 인식 차이는 총 10개 항목 중 3개 항목에서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즉 ‘(3) 정서적 안정 요구’, ‘(4) 협력하는 태도 요구’, ‘(6) 일에 대한 성실성 요구’의 3개 항목에서 유의차가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 및 원장 경력에 따른「자질」에 대한 인식 차이는 보육교사의 경력별「자질」에 대한 인식은 근무경력이 4년 이하는 97.3%, 5년~10년은 95.6%(, 11년~15년은 97.3%, 16년 이상은 98.3%가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원장 경력별「자질」에 대한 인식은 원장 근무경력이 4년 이하는 95.7%, 5년~10년은 97.4%, 11년~15년은 95%, 16년 이상은 99.6%가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ⅴ-
를 토대로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하여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구비해야 할 기초지식, 전문능력, 자질에 대해서 보육교사와 원장의「기초지식」,「전문능력」,「자질」의 3개 하위영역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한 ...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와 원장을 대상으로 보육교사가 구비해야 할 기초지식, 전문능력, 자질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전라남도 S시와 Y시에 소재하고 있는 보육교사 172명과 원장 99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 각 영역별 신뢰도 Cronbach α 는 기초지식 .938, 전문능력 .909, 자질 .896로 나타났다. 분석방법은 t검증방법을 사용하여 보육교사와 원장 집단을 대상으로 보육교사가 구비해야 하는 기초지식, 전문능력, 자질에 대한 인식 차이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직위, 경력의 2개요인과 기초지식, 전문능력, 자질의 3개 하위영역을 중심으로 χ2검증(chi-square분석) 및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육교사와 원장의「기초지식」에 대한 인식 차이
첫째, 총 10개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전 항목에서 보육교사보다 원장이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보육교사는 「기초지식」에 대해서 ‘(4) 경험과 놀이의 중요성 이해’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원장은 ‘(2) 활동과정에서 나타나는 개인차의 이해’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ⅳ-
반면에 보육교사 및 원장 모두 ‘(8) 장애유아 신변자립’을 그다지 중요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와 원장 경력별 「기초지식」에 대한 인식 차이는 보육교사 근무경력이 4년 이하는 56.5%, 5년~10년은 64.8%, 11년~15년은 65%, 16년 이상은 66.5%가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장 경력 별 인식은 원장 근무경력이 4년 이하는 70.3%, 5년~10년은 71.7%, 11년~15년은 84%, 16년 이상은 76.9%가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보육교사 및 원장의「전문능력」에 대한 인식 차이
첫째, 보육교사 및 원장의「전문능력」에 대한 인식 차이는 총 9개 항목에서 보육교사와 원장에 있어서 9개 항목에서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즉 원장이 보육교사보다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와 원장 경력별「전문능력」에 대한 인식 차이는 보육교사 근무경력이 4년 이하는 82.7%, 5년~10년은 87.1%, 11년~15년은 84.8%, 16년 이상은 87.2%가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장 경력 별 「전문능력」에 대한 인식은 근무경력이 4년 이하는 88.7%, 5년~10년은 91.1%, 11년~15년은 88.6%, 16년 이상은 92.3%가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보육교사 및 원장의「자질」에 대한 인식 차이
첫째, 보육교사 및 원장의「자질」에 대한 인식 차이는 총 10개 항목 중 3개 항목에서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즉 ‘(3) 정서적 안정 요구’, ‘(4) 협력하는 태도 요구’, ‘(6) 일에 대한 성실성 요구’의 3개 항목에서 유의차가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 및 원장 경력에 따른「자질」에 대한 인식 차이는 보육교사의 경력별「자질」에 대한 인식은 근무경력이 4년 이하는 97.3%, 5년~10년은 95.6%(, 11년~15년은 97.3%, 16년 이상은 98.3%가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원장 경력별「자질」에 대한 인식은 원장 근무경력이 4년 이하는 95.7%, 5년~10년은 97.4%, 11년~15년은 95%, 16년 이상은 99.6%가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ⅴ-
를 토대로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하여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구비해야 할 기초지식, 전문능력, 자질에 대해서 보육교사와 원장의「기초지식」,「전문능력」,「자질」의 3개 하위영역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한 양적분석에 그친 한계점이 있다. 금후에는 「기초지식」,「전문능력」,「자질」에 대한 질적 연구를 추가하여 좀 더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구비해야 할 기초지식, 전문능력, 자질에 대해서 보육교사와 원장이라는 직위와 경력 변인만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금후에는 특수교육 전공 여부, 통합보육 경험 여부 등의 다양한 변인을 확대하여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구비해야 할 기초지식, 전문능력, 자질에 대해서 보육교사와 원장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조사대상을 학부모 등 다양한 대상으로 확대하여 각 대상에 따른 차이 등에 대한 논의도 필요 것이다.
-ⅵ-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와 원장을 대상으로 보육교사가 구비해야 할 기초지식, 전문능력, 자질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전라남도 S시와 Y시에 소재하고 있는 보육교사 172명과 원장 99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 각 영역별 신뢰도 Cronbach α 는 기초지식 .938, 전문능력 .909, 자질 .896로 나타났다. 분석방법은 t검증방법을 사용하여 보육교사와 원장 집단을 대상으로 보육교사가 구비해야 하는 기초지식, 전문능력, 자질에 대한 인식 차이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직위, 경력의 2개요인과 기초지식, 전문능력, 자질의 3개 하위영역을 중심으로 χ2검증(chi-square분석) 및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육교사와 원장의「기초지식」에 대한 인식 차이
첫째, 총 10개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전 항목에서 보육교사보다 원장이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보육교사는 「기초지식」에 대해서 ‘(4) 경험과 놀이의 중요성 이해’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원장은 ‘(2) 활동과정에서 나타나는 개인차의 이해’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ⅳ-
반면에 보육교사 및 원장 모두 ‘(8) 장애유아 신변자립’을 그다지 중요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와 원장 경력별 「기초지식」에 대한 인식 차이는 보육교사 근무경력이 4년 이하는 56.5%, 5년~10년은 64.8%, 11년~15년은 65%, 16년 이상은 66.5%가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장 경력 별 인식은 원장 근무경력이 4년 이하는 70.3%, 5년~10년은 71.7%, 11년~15년은 84%, 16년 이상은 76.9%가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보육교사 및 원장의「전문능력」에 대한 인식 차이
첫째, 보육교사 및 원장의「전문능력」에 대한 인식 차이는 총 9개 항목에서 보육교사와 원장에 있어서 9개 항목에서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즉 원장이 보육교사보다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와 원장 경력별「전문능력」에 대한 인식 차이는 보육교사 근무경력이 4년 이하는 82.7%, 5년~10년은 87.1%, 11년~15년은 84.8%, 16년 이상은 87.2%가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장 경력 별 「전문능력」에 대한 인식은 근무경력이 4년 이하는 88.7%, 5년~10년은 91.1%, 11년~15년은 88.6%, 16년 이상은 92.3%가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보육교사 및 원장의「자질」에 대한 인식 차이
첫째, 보육교사 및 원장의「자질」에 대한 인식 차이는 총 10개 항목 중 3개 항목에서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즉 ‘(3) 정서적 안정 요구’, ‘(4) 협력하는 태도 요구’, ‘(6) 일에 대한 성실성 요구’의 3개 항목에서 유의차가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 및 원장 경력에 따른「자질」에 대한 인식 차이는 보육교사의 경력별「자질」에 대한 인식은 근무경력이 4년 이하는 97.3%, 5년~10년은 95.6%(, 11년~15년은 97.3%, 16년 이상은 98.3%가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원장 경력별「자질」에 대한 인식은 원장 근무경력이 4년 이하는 95.7%, 5년~10년은 97.4%, 11년~15년은 95%, 16년 이상은 99.6%가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ⅴ-
를 토대로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하여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구비해야 할 기초지식, 전문능력, 자질에 대해서 보육교사와 원장의「기초지식」,「전문능력」,「자질」의 3개 하위영역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한 양적분석에 그친 한계점이 있다. 금후에는 「기초지식」,「전문능력」,「자질」에 대한 질적 연구를 추가하여 좀 더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구비해야 할 기초지식, 전문능력, 자질에 대해서 보육교사와 원장이라는 직위와 경력 변인만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금후에는 특수교육 전공 여부, 통합보육 경험 여부 등의 다양한 변인을 확대하여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구비해야 할 기초지식, 전문능력, 자질에 대해서 보육교사와 원장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조사대상을 학부모 등 다양한 대상으로 확대하여 각 대상에 따른 차이 등에 대한 논의도 필요 것이다.
-ⅵ-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