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언어활동의 전반적인 구성 경향을 알아보고 내용범주, 활동접근방법, 집단유형, 활동자료, 발문형식을 각 기관별로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어린이집과 유치원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언어활동의 특징과 차이점을 살펴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육현장에서 바람직한 언어활동이 이루어지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언어활동의 구성 경향은 어떠한가, 둘째,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언어활동은 내용범주, 활동접근방법, 집단유형, 활동자료, 발문형식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가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보건복지부에서 발간한 ‘5세 누리과정에 기초한 어린이집 프로그램'(2012) 4권과 교육과학기술부에서 발간한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2012) 11권 및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수정·보완서'(2013) 1권의 의사소통영역에 제시된 언어활동 587개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기준은 5세 누리과정에 제시된 생활주제와 진술체계를 기준으로 언어활동의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보았으며, 내용범주는 누리과정의 의사소통 영역에 제시된 내용범주와 하위내용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활동접근방법은 박선희와 박찬옥(2013)에 제시한 유아 언어교육의 실제부분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집단유형은 대집단, 소집단, 개별활동으로 구분하였고, 활동자료는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자료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 후 자료의 특성을 고려하여 구분하였다. 발문형식은 Bloom의 발문형식을 수정한 이혜경과 박성희(2007)의 6가지 발문형식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연구절차는 선행연구를 통해 연구대상과 분석기준을 구성하고, 유아교육 전문가 1인의 조언을 받아 수정·보완하였으며, 분석자간 신뢰도 확보를 위하여 연구보조자 2인과 함께 분석기준이 명확하지 않거나 불일치하는 경우 반복적인 수정과 확인 작업을 거쳐 분석자간 신뢰도를 100%로 일치시켰다. ...
본 연구는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언어활동의 전반적인 구성 경향을 알아보고 내용범주, 활동접근방법, 집단유형, 활동자료, 발문형식을 각 기관별로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어린이집과 유치원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언어활동의 특징과 차이점을 살펴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육현장에서 바람직한 언어활동이 이루어지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언어활동의 구성 경향은 어떠한가, 둘째,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언어활동은 내용범주, 활동접근방법, 집단유형, 활동자료, 발문형식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가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보건복지부에서 발간한 ‘5세 누리과정에 기초한 어린이집 프로그램'(2012) 4권과 교육과학기술부에서 발간한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2012) 11권 및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수정·보완서'(2013) 1권의 의사소통영역에 제시된 언어활동 587개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기준은 5세 누리과정에 제시된 생활주제와 진술체계를 기준으로 언어활동의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보았으며, 내용범주는 누리과정의 의사소통 영역에 제시된 내용범주와 하위내용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활동접근방법은 박선희와 박찬옥(2013)에 제시한 유아 언어교육의 실제부분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집단유형은 대집단, 소집단, 개별활동으로 구분하였고, 활동자료는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자료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 후 자료의 특성을 고려하여 구분하였다. 발문형식은 Bloom의 발문형식을 수정한 이혜경과 박성희(2007)의 6가지 발문형식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연구절차는 선행연구를 통해 연구대상과 분석기준을 구성하고, 유아교육 전문가 1인의 조언을 받아 수정·보완하였으며, 분석자간 신뢰도 확보를 위하여 연구보조자 2인과 함께 분석기준이 명확하지 않거나 불일치하는 경우 반복적인 수정과 확인 작업을 거쳐 분석자간 신뢰도를 100%로 일치시켰다. 자료분석은 분석기준에 따라 데이터자료를 수집한 후 SPSS 18.0 프로그램을 통하여 빈도와 교차분석으로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언어활동의 전반적인 구성 경향은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언어활동이 비슷한 분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언어활동 진술체계는 어린이집에서는 초등연계와 활동평가부분이 전혀 제시되지 않은 반면 유치원에서는 초등연계만 부분적으로 제시되고, 유의점 및 참고사항, 활동평가, 확장활동은 모든 언어활동에 포함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5세 교사용 지도서 언어활동을 내용범주별로 비교분석한 결과 어린이집은 말하기, 쓰기, 듣기, 읽기 순으로 높은 분포를 보였으며, 유치원은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 순으로 나타나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하위내용은 어린이집은 ‘쓰기에 관심가지기’에서, 유치원은 ‘동요, 동시, 동화 듣고 이해하기’에서 두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셋째,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5세 교사용 지도서 언어활동의 활동접근방법은 어린이집은 이야기 나누기, 문학, 조작교구활동 순으로 높은 분포를 보인 반면 유치원은 문학, 이야기 나누기, 평가활동 순으로 높은 분포를 보였다. 특히 어린이집은 게임활동, 조작교구활동, 탐구활동에서, 유치원은 평가활동에서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5세 교사용 지도서 언어활동의 집단유형은 어린이집은 개별활동의 분포가 높게 나타난 반면, 유치원은 대집단활동의 분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두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5세 교사용 지도서 언어활동의 활동자료는 어린이집은 사진/그림, 쓰기자료, 교구 순으로, 유치원은 사진/그림, 동화자료, 쓰기자료 순으로 높은 분포를 보이며,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또한 동화자료, 동요·동시자료의 하위목록 비교에서도 차이를 보였는데 어린이집은 동화에서 그림책(인쇄책자), 동요·동시자료에서는 인쇄/구성자료에 집중된 분포를 보인 반면 유치원은 동화자료인 그림책(인쇄책자/멀티미디어), 플래시, 멀티미디어, 매체활용에서 고른 분포를 보였으며, 동요·동시자료에서도 인쇄/구성자료와 멀티미디어에서 비슷한 분포를 보였다. 여섯째,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5세 교사용 지도서 언어활동의 발문형식은 어린이집과 유치원 모두 이해와 지식·기억에서 높은 분포를 보였으나, 유치원은 종합, 평가발문에서 더 높은 분포를 보이며 어린이집 교사용 지도서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5세 누리과정이 통합된 교육과정으로 교육적 평등을 위해 제정된 만큼 다른 기관에서 언어교육을 받더라도 교육적 차이가 생기지 않도록 교사용 지도서의 언어활동을 구성하는데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며, 또한 유아의 올바른 언어발달을 위해
본 연구는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언어활동의 전반적인 구성 경향을 알아보고 내용범주, 활동접근방법, 집단유형, 활동자료, 발문형식을 각 기관별로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어린이집과 유치원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언어활동의 특징과 차이점을 살펴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육현장에서 바람직한 언어활동이 이루어지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언어활동의 구성 경향은 어떠한가, 둘째,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언어활동은 내용범주, 활동접근방법, 집단유형, 활동자료, 발문형식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가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보건복지부에서 발간한 ‘5세 누리과정에 기초한 어린이집 프로그램'(2012) 4권과 교육과학기술부에서 발간한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2012) 11권 및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수정·보완서'(2013) 1권의 의사소통영역에 제시된 언어활동 587개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기준은 5세 누리과정에 제시된 생활주제와 진술체계를 기준으로 언어활동의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보았으며, 내용범주는 누리과정의 의사소통 영역에 제시된 내용범주와 하위내용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활동접근방법은 박선희와 박찬옥(2013)에 제시한 유아 언어교육의 실제부분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집단유형은 대집단, 소집단, 개별활동으로 구분하였고, 활동자료는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자료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 후 자료의 특성을 고려하여 구분하였다. 발문형식은 Bloom의 발문형식을 수정한 이혜경과 박성희(2007)의 6가지 발문형식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연구절차는 선행연구를 통해 연구대상과 분석기준을 구성하고, 유아교육 전문가 1인의 조언을 받아 수정·보완하였으며, 분석자간 신뢰도 확보를 위하여 연구보조자 2인과 함께 분석기준이 명확하지 않거나 불일치하는 경우 반복적인 수정과 확인 작업을 거쳐 분석자간 신뢰도를 100%로 일치시켰다. 자료분석은 분석기준에 따라 데이터자료를 수집한 후 SPSS 18.0 프로그램을 통하여 빈도와 교차분석으로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언어활동의 전반적인 구성 경향은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언어활동이 비슷한 분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언어활동 진술체계는 어린이집에서는 초등연계와 활동평가부분이 전혀 제시되지 않은 반면 유치원에서는 초등연계만 부분적으로 제시되고, 유의점 및 참고사항, 활동평가, 확장활동은 모든 언어활동에 포함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5세 교사용 지도서 언어활동을 내용범주별로 비교분석한 결과 어린이집은 말하기, 쓰기, 듣기, 읽기 순으로 높은 분포를 보였으며, 유치원은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 순으로 나타나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하위내용은 어린이집은 ‘쓰기에 관심가지기’에서, 유치원은 ‘동요, 동시, 동화 듣고 이해하기’에서 두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셋째,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5세 교사용 지도서 언어활동의 활동접근방법은 어린이집은 이야기 나누기, 문학, 조작교구활동 순으로 높은 분포를 보인 반면 유치원은 문학, 이야기 나누기, 평가활동 순으로 높은 분포를 보였다. 특히 어린이집은 게임활동, 조작교구활동, 탐구활동에서, 유치원은 평가활동에서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5세 교사용 지도서 언어활동의 집단유형은 어린이집은 개별활동의 분포가 높게 나타난 반면, 유치원은 대집단활동의 분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두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5세 교사용 지도서 언어활동의 활동자료는 어린이집은 사진/그림, 쓰기자료, 교구 순으로, 유치원은 사진/그림, 동화자료, 쓰기자료 순으로 높은 분포를 보이며,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또한 동화자료, 동요·동시자료의 하위목록 비교에서도 차이를 보였는데 어린이집은 동화에서 그림책(인쇄책자), 동요·동시자료에서는 인쇄/구성자료에 집중된 분포를 보인 반면 유치원은 동화자료인 그림책(인쇄책자/멀티미디어), 플래시, 멀티미디어, 매체활용에서 고른 분포를 보였으며, 동요·동시자료에서도 인쇄/구성자료와 멀티미디어에서 비슷한 분포를 보였다. 여섯째,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5세 교사용 지도서 언어활동의 발문형식은 어린이집과 유치원 모두 이해와 지식·기억에서 높은 분포를 보였으나, 유치원은 종합, 평가발문에서 더 높은 분포를 보이며 어린이집 교사용 지도서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5세 누리과정이 통합된 교육과정으로 교육적 평등을 위해 제정된 만큼 다른 기관에서 언어교육을 받더라도 교육적 차이가 생기지 않도록 교사용 지도서의 언어활동을 구성하는데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며, 또한 유아의 올바른 언어발달을 위해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