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공감능력이 학교생활적응과 학교폭력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공감능력, 학교생활적응, 학교폭력태도의 차이는 어떠한지를 살펴보았으며, 공감능력이 학교생활적응과 학교폭력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공감능력이 학교폭력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공감능력, 학교생활적응, 학교폭력태도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성별에 따른 공감능력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하여 공감능력이 높았다. 성별에 따른 학교생활적응과 학교 폭력태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학업성적에 따른 공감능력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학업성적이 상위권인 학생들과 중위권인 학생들이 학업성적이 하위권인 학생들에 비하여 공감능력이 높았다. 또한 학업성적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학업성적이 상위권인 학생들과 중위권인 학생들이 학업성적이 하위권인 학생들에 비하여 학교생활에 적응을 잘하고 있었다. 학업성적에 따른 학교폭력태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가족과의 일일 평균 대화시간에 따른 공감능력과 학교폭력태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학교생활적응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가족과의 일일 평균 대화시간이 3시간 이상인 학생들이 가족과의 일일 평균 대화시간이 30분 미만인 학생들에 비하여 학교생활에 적응을 잘하고 있었다. 둘째, 공감능력이 학교생활적응 및 학교폭력태도와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공감능력과 학교생활적응은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었으며,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였다. 또한 공감능력의 ...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공감능력이 학교생활적응과 학교폭력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공감능력, 학교생활적응, 학교폭력태도의 차이는 어떠한지를 살펴보았으며, 공감능력이 학교생활적응과 학교폭력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공감능력이 학교폭력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공감능력, 학교생활적응, 학교폭력태도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성별에 따른 공감능력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하여 공감능력이 높았다. 성별에 따른 학교생활적응과 학교 폭력태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학업성적에 따른 공감능력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학업성적이 상위권인 학생들과 중위권인 학생들이 학업성적이 하위권인 학생들에 비하여 공감능력이 높았다. 또한 학업성적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학업성적이 상위권인 학생들과 중위권인 학생들이 학업성적이 하위권인 학생들에 비하여 학교생활에 적응을 잘하고 있었다. 학업성적에 따른 학교폭력태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가족과의 일일 평균 대화시간에 따른 공감능력과 학교폭력태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학교생활적응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가족과의 일일 평균 대화시간이 3시간 이상인 학생들이 가족과의 일일 평균 대화시간이 30분 미만인 학생들에 비하여 학교생활에 적응을 잘하고 있었다. 둘째, 공감능력이 학교생활적응 및 학교폭력태도와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공감능력과 학교생활적응은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었으며,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였다. 또한 공감능력의 인지적 공감능력과 정서적 공감능력은 학교생활적응의 사회적 적응과 학교환경 및 일반적 적응과의 관계에서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감능력과 학교폭력태도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었으며,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학교폭력태도가 바람직하다는 것을 의미하였다. 또한 공감능력의 인지적 공감능력과 정서적 공감능력이 학교폭력태도의 허용적 태도, 가해 및 피해자에 대한 태도와 학교폭력 대처와의 관계에서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었다. 한편 학교생활적응과 학교폭력태도는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학교생활적응을 잘 할수록 학교폭력태도가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교생활적응의 사회적 적응과 학교환경 및 일반적 적응은 학교폭력태도의 허용적 태도, 가해 및 피해자에 대한 태도와 학교폭력 대처와의 관계에서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감능력이 학교생활적응과 학교폭력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공감능력은 학교생활적응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공감능력은 학교생활적응을 돕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또한 공감능력은 학교폭력태도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공감능력은 학교폭력에 대한 태도를 바람직하게 하였다. 학교생활적응은 학교폭력태도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학교생활적응은 학교폭력에 대한 태도를 바람직하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공감능력이 학교폭력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의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감능력이 학교폭력태도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서 학교생활적응은 매개효과를 수행하였다. 학교생활 적응이 매개효과를 보임에 있어서 부분매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공감능력이 학교생활적응과 학교폭력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공감능력, 학교생활적응, 학교폭력태도의 차이는 어떠한지를 살펴보았으며, 공감능력이 학교생활적응과 학교폭력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공감능력이 학교폭력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공감능력, 학교생활적응, 학교폭력태도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성별에 따른 공감능력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하여 공감능력이 높았다. 성별에 따른 학교생활적응과 학교 폭력태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학업성적에 따른 공감능력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학업성적이 상위권인 학생들과 중위권인 학생들이 학업성적이 하위권인 학생들에 비하여 공감능력이 높았다. 또한 학업성적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학업성적이 상위권인 학생들과 중위권인 학생들이 학업성적이 하위권인 학생들에 비하여 학교생활에 적응을 잘하고 있었다. 학업성적에 따른 학교폭력태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가족과의 일일 평균 대화시간에 따른 공감능력과 학교폭력태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학교생활적응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가족과의 일일 평균 대화시간이 3시간 이상인 학생들이 가족과의 일일 평균 대화시간이 30분 미만인 학생들에 비하여 학교생활에 적응을 잘하고 있었다. 둘째, 공감능력이 학교생활적응 및 학교폭력태도와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공감능력과 학교생활적응은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었으며,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였다. 또한 공감능력의 인지적 공감능력과 정서적 공감능력은 학교생활적응의 사회적 적응과 학교환경 및 일반적 적응과의 관계에서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감능력과 학교폭력태도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었으며,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학교폭력태도가 바람직하다는 것을 의미하였다. 또한 공감능력의 인지적 공감능력과 정서적 공감능력이 학교폭력태도의 허용적 태도, 가해 및 피해자에 대한 태도와 학교폭력 대처와의 관계에서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었다. 한편 학교생활적응과 학교폭력태도는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학교생활적응을 잘 할수록 학교폭력태도가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교생활적응의 사회적 적응과 학교환경 및 일반적 적응은 학교폭력태도의 허용적 태도, 가해 및 피해자에 대한 태도와 학교폭력 대처와의 관계에서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감능력이 학교생활적응과 학교폭력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공감능력은 학교생활적응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공감능력은 학교생활적응을 돕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또한 공감능력은 학교폭력태도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공감능력은 학교폭력에 대한 태도를 바람직하게 하였다. 학교생활적응은 학교폭력태도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학교생활적응은 학교폭력에 대한 태도를 바람직하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공감능력이 학교폭력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의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감능력이 학교폭력태도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서 학교생활적응은 매개효과를 수행하였다. 학교생활 적응이 매개효과를 보임에 있어서 부분매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sympathizing ability on school life adaptation and school violence attitude. For the purpose, investigated were difference among the sympathizing abilit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chool life adaptation a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sympathizing ability on school life adaptation and school violence attitude. For the purpose, investigated were difference among the sympathizing abilit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chool life adaptation and school violence attitude, and also the effect of sympathizing ability on school life adaptation and school violence attitude. Finally, in the effect of sympathizing ability on school violence attitude, the mediating effect of school life adaptation was verified.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difference among the sympathizing abilit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chool life adaptation and school violence attitude are as follows. The sympathizing ability according to gende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female showing it higher than ma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 life adaptation and school violence attitude according to gender. The sympathizing ability according to school record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upper and middle level students showing it higher than lower level studen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school records. Upper and middle level students in school records adapted themselves to school life better than lower level stud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 violence attitude according to school record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ympathizing ability and school violence attitude according to average daily conversation time with family,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 life adaptation. Students having average 3 hours' daily conversation time with family adapted themselves to school life better than those having less than 30 minutes.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sympathizing ability and school life adaptation and school violence attitude is as follow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ympathizing ability and school life adaptation, showing that the higher the sympathizing ability is, the higher the school life adaptation. The cognitive sympathizing ability and the emotional sympathizing abil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adaptation, school environment and general adapt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ympathizing ability and school violence attitude, showing that the higher the sympathizing ability is, the more the school violence attitude is desirable. The cognitive sympathizing ability and the emotional sympathizing abil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dmissive attitude to school violence, the attitude to aggressors and victims and coping with school violence.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chool life adaptation and school violence attitude, showing that the better the school life adaptation, the more the school violence attitude is desirable. The social adaptation, school environment and general adapt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o the admissive attitude to school violence, the attitude to aggressors and victims and coping with school violence. Third, followings are the effect of sympathizing ability on school life adaptation and school violence attitude. The sympathizing abil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chool life adaptation, showing that sympathizing ability has a positive role in helping school life adaptation. Also sympathizing abil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chool violence attitude, showing that sympathizing ability makes school violence attitude desirable. School life adapt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chool violence attitude, showing that school life adaptation makes school violence attitude desirable. Finally, in the effect of sympathizing ability on school violence attitude, the mediating effect of school life adaptation was verified. Followings are the results. School life adaptation played a mediating effect in that sympathizing ability has an effect on school violence attitude. It was investigated that school life adaptation played a partial media in showing the mediating eff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sympathizing ability on school life adaptation and school violence attitude. For the purpose, investigated were difference among the sympathizing abilit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chool life adaptation and school violence attitude, and also the effect of sympathizing ability on school life adaptation and school violence attitude. Finally, in the effect of sympathizing ability on school violence attitude, the mediating effect of school life adaptation was verified.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difference among the sympathizing abilit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chool life adaptation and school violence attitude are as follows. The sympathizing ability according to gende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female showing it higher than ma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 life adaptation and school violence attitude according to gender. The sympathizing ability according to school record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upper and middle level students showing it higher than lower level studen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school records. Upper and middle level students in school records adapted themselves to school life better than lower level stud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 violence attitude according to school record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ympathizing ability and school violence attitude according to average daily conversation time with family,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 life adaptation. Students having average 3 hours' daily conversation time with family adapted themselves to school life better than those having less than 30 minutes.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sympathizing ability and school life adaptation and school violence attitude is as follow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ympathizing ability and school life adaptation, showing that the higher the sympathizing ability is, the higher the school life adaptation. The cognitive sympathizing ability and the emotional sympathizing abil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adaptation, school environment and general adapt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ympathizing ability and school violence attitude, showing that the higher the sympathizing ability is, the more the school violence attitude is desirable. The cognitive sympathizing ability and the emotional sympathizing abil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dmissive attitude to school violence, the attitude to aggressors and victims and coping with school violence.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chool life adaptation and school violence attitude, showing that the better the school life adaptation, the more the school violence attitude is desirable. The social adaptation, school environment and general adapt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o the admissive attitude to school violence, the attitude to aggressors and victims and coping with school violence. Third, followings are the effect of sympathizing ability on school life adaptation and school violence attitude. The sympathizing abil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chool life adaptation, showing that sympathizing ability has a positive role in helping school life adaptation. Also sympathizing abil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chool violence attitude, showing that sympathizing ability makes school violence attitude desirable. School life adapt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chool violence attitude, showing that school life adaptation makes school violence attitude desirable. Finally, in the effect of sympathizing ability on school violence attitude, the mediating effect of school life adaptation was verified. Followings are the results. School life adaptation played a mediating effect in that sympathizing ability has an effect on school violence attitude. It was investigated that school life adaptation played a partial media in showing the mediating effect.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