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의 대한민국 사회는 마른 체형에 대한 문화 규범과 체형 정체성 및 자기 인식평가를 따르는 지나친 외모 중심 사회로 자리를 잡고 있다. 외모를 중시하는 사회 환경으로 인해 청소년들은 신체상에 대한 염려, 신체 불만족으로 ‘건강을 위협하는 신체 변화 전략’을 사용할 정도로, 청소년이 느끼는 외모에 대한 압박감이 커지고 있다. 청소년기는 사회참여에 필요한 가치, 태도, 기능을 개발해 나가는 과정으로 매스미디어, 부모, 또래집단, 학교 등 4가지 사회화 요인을 통하여 외모의 사회적 이상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중요하게 여기며, 나아가 자신의 가치를 내면화 하는 시기이다. 외모를 중시하는 사회 환경으로 인해 청소년이 느끼는 외모에 대한 압박감이 커지고 있다. 외모 관련 매스미디어의 사회적 압박에 대해서는 보고되었으나, 또래와 부모의 영향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주변인인 또래와 부모에 의한 외모관련 사회적 압박의 형태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시에 위치한 3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일반적 사항, 체형인식 및 만족도, 외모관련 사회적 압박, 신체부위 만족도,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고, 불성실한 응답 및 중도 포기를 제외한 총 1,000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
현재의 대한민국 사회는 마른 체형에 대한 문화 규범과 체형 정체성 및 자기 인식평가를 따르는 지나친 외모 중심 사회로 자리를 잡고 있다. 외모를 중시하는 사회 환경으로 인해 청소년들은 신체상에 대한 염려, 신체 불만족으로 ‘건강을 위협하는 신체 변화 전략’을 사용할 정도로, 청소년이 느끼는 외모에 대한 압박감이 커지고 있다. 청소년기는 사회참여에 필요한 가치, 태도, 기능을 개발해 나가는 과정으로 매스미디어, 부모, 또래집단, 학교 등 4가지 사회화 요인을 통하여 외모의 사회적 이상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중요하게 여기며, 나아가 자신의 가치를 내면화 하는 시기이다. 외모를 중시하는 사회 환경으로 인해 청소년이 느끼는 외모에 대한 압박감이 커지고 있다. 외모 관련 매스미디어의 사회적 압박에 대해서는 보고되었으나, 또래와 부모의 영향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주변인인 또래와 부모에 의한 외모관련 사회적 압박의 형태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시에 위치한 3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일반적 사항, 체형인식 및 만족도, 외모관련 사회적 압박, 신체부위 만족도,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고, 불성실한 응답 및 중도 포기를 제외한 총 1,000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SAS 9.2 version을 사용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첫째, 측정변인 간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기 위해 t-test를 시행하였다. 둘째, 측정변인에 따른 특성의 차이를 보기 위해 Chi-square test를 시행하였다. 셋째, 측정변인간의 관계를 보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넷째, 외모관련 사회적 압박이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직·간접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시행하였다. 다섯째, 외모관련 사회적 압박이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특성, 외모관련 사회적 압박의 정도와 외모만족도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성형태도에 있어 여학생의 92.42%가 성형에 대해 긍정적 태도를 보였다. 둘째, 외모관련 사회적 압박과 외모만족도 및 자아존중감의 관련성에 있어 전반적으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모든 영역에서 중등도 이상의 부적 상관성이 있었다.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 남녀학생 모두 긍정적 평가는 중등도 이상의 정적 상관성을 부정적 평가는 중등도 이상의 부적 상관성을 보였다. 셋째, 외모만족도는 여학생에 있어 또래에 의한 사회적 압박이 높을수록, 다이어트 약물을 복용한 집단일수록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자아존중감의 부정적 평가는 여학생에 한해 또래에 의한 사회적 압박에 대한 유의한 설명변수였다. 여학생들이 남학생들에 비해 외모관련 사회적 압박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었으며, 성형에 대해 더 긍정적이었다. 또한 여학생은 외모관련 사회적 압박에 대해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따라서, 위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또래에 의한 사회적 압박을 해소하면서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지도와 교육, 개입, 대책 방안 마련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현재의 대한민국 사회는 마른 체형에 대한 문화 규범과 체형 정체성 및 자기 인식평가를 따르는 지나친 외모 중심 사회로 자리를 잡고 있다. 외모를 중시하는 사회 환경으로 인해 청소년들은 신체상에 대한 염려, 신체 불만족으로 ‘건강을 위협하는 신체 변화 전략’을 사용할 정도로, 청소년이 느끼는 외모에 대한 압박감이 커지고 있다. 청소년기는 사회참여에 필요한 가치, 태도, 기능을 개발해 나가는 과정으로 매스미디어, 부모, 또래집단, 학교 등 4가지 사회화 요인을 통하여 외모의 사회적 이상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중요하게 여기며, 나아가 자신의 가치를 내면화 하는 시기이다. 외모를 중시하는 사회 환경으로 인해 청소년이 느끼는 외모에 대한 압박감이 커지고 있다. 외모 관련 매스미디어의 사회적 압박에 대해서는 보고되었으나, 또래와 부모의 영향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주변인인 또래와 부모에 의한 외모관련 사회적 압박의 형태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시에 위치한 3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일반적 사항, 체형인식 및 만족도, 외모관련 사회적 압박, 신체부위 만족도,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고, 불성실한 응답 및 중도 포기를 제외한 총 1,000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SAS 9.2 version을 사용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첫째, 측정변인 간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기 위해 t-test를 시행하였다. 둘째, 측정변인에 따른 특성의 차이를 보기 위해 Chi-square test를 시행하였다. 셋째, 측정변인간의 관계를 보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넷째, 외모관련 사회적 압박이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직·간접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시행하였다. 다섯째, 외모관련 사회적 압박이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특성, 외모관련 사회적 압박의 정도와 외모만족도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성형태도에 있어 여학생의 92.42%가 성형에 대해 긍정적 태도를 보였다. 둘째, 외모관련 사회적 압박과 외모만족도 및 자아존중감의 관련성에 있어 전반적으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모든 영역에서 중등도 이상의 부적 상관성이 있었다.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 남녀학생 모두 긍정적 평가는 중등도 이상의 정적 상관성을 부정적 평가는 중등도 이상의 부적 상관성을 보였다. 셋째, 외모만족도는 여학생에 있어 또래에 의한 사회적 압박이 높을수록, 다이어트 약물을 복용한 집단일수록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자아존중감의 부정적 평가는 여학생에 한해 또래에 의한 사회적 압박에 대한 유의한 설명변수였다. 여학생들이 남학생들에 비해 외모관련 사회적 압박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었으며, 성형에 대해 더 긍정적이었다. 또한 여학생은 외모관련 사회적 압박에 대해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따라서, 위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또래에 의한 사회적 압박을 해소하면서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지도와 교육, 개입, 대책 방안 마련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Keyword
#외모 관련 사회적 압박
#외모만족도
#자아존중감
#appearance-relate social pressure
#satisfaction with appearance
#self-esteem
학위논문 정보
저자
이현진
학위수여기관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건강증진교육전공
지도교수
김희진
발행연도
2014
총페이지
viii, 113 p.
키워드
외모 관련 사회적 압박,
외모만족도,
자아존중감,
appearance-relate social pressure,
satisfaction with appearance,
self-esteem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