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니메이션 기법을 통해 작품이라는 대상을 새롭게 산출해내지 못했다면, 원인은 애니메이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기된 문제들이 원인이 아닌, 다른 매체들의 사용법을 단순 차용한데서 발생한 것일 것이다. 연구자들은 애니메이션이 가진 이야기의 서술방식 즉 서사성을 떼어내고 그 자체의 고유한 존재방식인 ‘운동-이미지movement-image’로 인식하면서 꾸준히 전개되어 왔다. ‘운동-이미지’로부터 출발함으로써 재현 대상이 부재하는 순수 ‘움직이는 이미지’ 자체의 문제로 다시 회귀할 수 있었다. 그림의 문제로부터 실재의 운동의 모방이 ...
애니메이션 기법을 통해 작품이라는 대상을 새롭게 산출해내지 못했다면, 원인은 애니메이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기된 문제들이 원인이 아닌, 다른 매체들의 사용법을 단순 차용한데서 발생한 것일 것이다. 연구자들은 애니메이션이 가진 이야기의 서술방식 즉 서사성을 떼어내고 그 자체의 고유한 존재방식인 ‘운동-이미지movement-image’로 인식하면서 꾸준히 전개되어 왔다. ‘운동-이미지’로부터 출발함으로써 재현 대상이 부재하는 순수 ‘움직이는 이미지’ 자체의 문제로 다시 회귀할 수 있었다. 그림의 문제로부터 실재의 운동의 모방이 아닌 그림에서만 가능한 새로운 운동의 구성이라는 방향을 제시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애니메이션과 회화의 경계에서 그림의 문제로부터 다시 문제를 제기가능하게 되었다.
운동-이미지로서의 애니메이션이 일상 속에 혼재된 모니터를 통해 나타남으로써, 작품은 우리의 삶 속에서 마주하는 하나의 대상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모니터는 삶 속에 다른 세계를 편입시키면서, 주체 앞에서 하나의 대상으로 나타난다. 일상 속에서 무수히 지나치는 모니터는 내부의 작품과 더불어, 모더니즘의 결론인 대상성objecthood과 동일한 지점에서 만난다.
이러한 작품의 특성으로서의 대상을 베르그송Bergson과 들뢰즈Deleuze의 이론에 입각해, 이미지로서의 대상, 사건으로서의 대상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상을 물체의 관점에서, 운동의 관점에서, 시간의 관점에서 분석했다. 운동-이미지로부터 출발해서, 운동-이미지를 넘어서 직접적인 시간-이미지 time-image로 이행가능한 새로운 시청각적 대상을 창출을 목표로 연구해보고자 한다.
애니메이션 기법을 통해 작품이라는 대상을 새롭게 산출해내지 못했다면, 원인은 애니메이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기된 문제들이 원인이 아닌, 다른 매체들의 사용법을 단순 차용한데서 발생한 것일 것이다. 연구자들은 애니메이션이 가진 이야기의 서술방식 즉 서사성을 떼어내고 그 자체의 고유한 존재방식인 ‘운동-이미지movement-image’로 인식하면서 꾸준히 전개되어 왔다. ‘운동-이미지’로부터 출발함으로써 재현 대상이 부재하는 순수 ‘움직이는 이미지’ 자체의 문제로 다시 회귀할 수 있었다. 그림의 문제로부터 실재의 운동의 모방이 아닌 그림에서만 가능한 새로운 운동의 구성이라는 방향을 제시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애니메이션과 회화의 경계에서 그림의 문제로부터 다시 문제를 제기가능하게 되었다.
운동-이미지로서의 애니메이션이 일상 속에 혼재된 모니터를 통해 나타남으로써, 작품은 우리의 삶 속에서 마주하는 하나의 대상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모니터는 삶 속에 다른 세계를 편입시키면서, 주체 앞에서 하나의 대상으로 나타난다. 일상 속에서 무수히 지나치는 모니터는 내부의 작품과 더불어, 모더니즘의 결론인 대상성objecthood과 동일한 지점에서 만난다.
이러한 작품의 특성으로서의 대상을 베르그송Bergson과 들뢰즈Deleuze의 이론에 입각해, 이미지로서의 대상, 사건으로서의 대상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상을 물체의 관점에서, 운동의 관점에서, 시간의 관점에서 분석했다. 운동-이미지로부터 출발해서, 운동-이미지를 넘어서 직접적인 시간-이미지 time-image로 이행가능한 새로운 시청각적 대상을 창출을 목표로 연구해보고자 한다.
If the object of a work was not newly produced through the animation technique, it may not result from the issues raised to solve the problem of animation but result from simple borrowing of the usage of other media. Removing the story narrative way of animation, that is, narrativity and recognizing...
If the object of a work was not newly produced through the animation technique, it may not result from the issues raised to solve the problem of animation but result from simple borrowing of the usage of other media. Removing the story narrative way of animation, that is, narrativity and recognizing it as ‘movement-image’, its own unique existence style, researchers have steadily expanded it. By starting from 'movement-image', they could return to the problem of pure 'moving image' itself in which the reproduced object is absent. From the problem of pictures, they could present the direc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new movement which is possible only in pictures not the imitation of actual movement. As a result, a problem could be raised again from the problem of pictures at the boundary of animation and pictures.
As animation as movement-image appears through the monitor mixed in everyday life, a work can be regarded as one object encountered in our lives. Incorporating another world into the life, the monitor appears as one object in front of the subject. With interior works, countless monitors we pass by in our daily life meet at the same point as objecthood, the conclusion of modernism.
Based on the theory of Bergson and Deleuze, the object as the characteristics of this work was understood against the object as an image, object as an event and the object was analyzed in view of the object, in view of movement, in view of time based on this. By starting from movement-image, we are to study for the purpose of creating a new audiovisual object that can be transferred to direct time-image beyond movement-image.
If the object of a work was not newly produced through the animation technique, it may not result from the issues raised to solve the problem of animation but result from simple borrowing of the usage of other media. Removing the story narrative way of animation, that is, narrativity and recognizing it as ‘movement-image’, its own unique existence style, researchers have steadily expanded it. By starting from 'movement-image', they could return to the problem of pure 'moving image' itself in which the reproduced object is absent. From the problem of pictures, they could present the direc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new movement which is possible only in pictures not the imitation of actual movement. As a result, a problem could be raised again from the problem of pictures at the boundary of animation and pictures.
As animation as movement-image appears through the monitor mixed in everyday life, a work can be regarded as one object encountered in our lives. Incorporating another world into the life, the monitor appears as one object in front of the subject. With interior works, countless monitors we pass by in our daily life meet at the same point as objecthood, the conclusion of modernism.
Based on the theory of Bergson and Deleuze, the object as the characteristics of this work was understood against the object as an image, object as an event and the object was analyzed in view of the object, in view of movement, in view of time based on this. By starting from movement-image, we are to study for the purpose of creating a new audiovisual object that can be transferred to direct time-image beyond movement-imag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