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변혁적 리더십과 적응수행 간의 관계에 대한 개인-환경 적합성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son-environment fi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adaptive performance원문보기
최근 급변하는 경영 및 기술 환경에 처해 있는 많은 기업조직들의 입장에서 구성원들에게 무엇보다 필요한 요소가 ‘변화와 불확실한 상황에 대한 효과적인 적응능력’이라는 인식하에, 이러한 변화 적응능력 또는 행동을 의미하는 구성개념인 ‘적응수행’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적응수행은 변화에 대한 적응, 그 자체로 끝나는 것이 아니고 직무와 관련된 과업수행으로 이어져 결국은 조직의 유효성에 기여하게 됨이 강조되고 있으며, 특히 오늘날 기업조직에 있어 경영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고 있는 ‘변화와 혁신’과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지는 것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적응수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선행요인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여러 가지가 거론되어 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팀 중심의 성과를 크게 중시하는 최근 조직경영의 관점을 고려하여, 팀 내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부하들의 적응수행에 미칠 수 있는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변혁적 리더십은 조직구성원들로 하여금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구상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이러한 아이디어를 활용하여 특정 상황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독려하는 리더십의 유형으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에 적응수행과의 밀접한 관련성이 예측되고 있다. 이와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변혁적 리더십과 적응수행 간의 관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상황변수로 개인과 집단 및 조직을 아우를 수 있는 변수인 ‘개인-환경 적합성(개인-조직 적합성, 개인-직무 적합성, 개인-상사 적합성)’을 선정하여 독립변수와 ...
최근 급변하는 경영 및 기술 환경에 처해 있는 많은 기업조직들의 입장에서 구성원들에게 무엇보다 필요한 요소가 ‘변화와 불확실한 상황에 대한 효과적인 적응능력’이라는 인식하에, 이러한 변화 적응능력 또는 행동을 의미하는 구성개념인 ‘적응수행’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적응수행은 변화에 대한 적응, 그 자체로 끝나는 것이 아니고 직무와 관련된 과업수행으로 이어져 결국은 조직의 유효성에 기여하게 됨이 강조되고 있으며, 특히 오늘날 기업조직에 있어 경영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고 있는 ‘변화와 혁신’과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지는 것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적응수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선행요인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여러 가지가 거론되어 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팀 중심의 성과를 크게 중시하는 최근 조직경영의 관점을 고려하여, 팀 내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부하들의 적응수행에 미칠 수 있는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변혁적 리더십은 조직구성원들로 하여금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구상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이러한 아이디어를 활용하여 특정 상황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독려하는 리더십의 유형으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에 적응수행과의 밀접한 관련성이 예측되고 있다. 이와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변혁적 리더십과 적응수행 간의 관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상황변수로 개인과 집단 및 조직을 아우를 수 있는 변수인 ‘개인-환경 적합성(개인-조직 적합성, 개인-직무 적합성, 개인-상사 적합성)’을 선정하여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관계에 대한 조절효과성을 검증하였는데, 이 부분이 본 연구의 중심적인 부분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조절변수가 개인-조직 적합성, 개인-직무 적합성, 개인-상사 적합성 등 다수인 점을 고려하여 하나의 조절변수 각각이 독립변수와 이원 상호작용하여 나타내는 조절효과를 검증함과 동시에, ‘개인-조직 적합성과 개인-직무 적합성’, ‘개인-직무 적합성과 개인-상사 적합성’, ‘개인-조직 적합성과 개인-상사 적합성’ 각각의 조합이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삼원 상호작용하여 나타내는 조절효과까지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변혁적 리더십과 적응수행 간의 관계에 대하여 실증 분석한 결과,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부하의 적응수행 향상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조직 적합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하의 개인-조직 적합성은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부하의 적응수행 간 관계에 대해 정(+)의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개인-직무 적합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하의 개인-직무 적합성도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부하의 적응수행 간 관계에 대해 정(+)의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개인-상사 적합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하의 개인-상사 적합성 역시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부하의 적응수행 간 관계에 대해 정(+)의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당초 예측했던 바와 같이 개인-조직 적합성이나 개인-직무 적합성 보다 확연히 높은 정(+)의 조절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다섯째, ‘개인-조직 적합성과 개인-직무 적합성’ 및 ‘개인-직무 적합성과 개인-상사 적합성’의 각 조합이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삼원 상호작용하여 나타내는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이 두 적합성 조합은 모두 정(+)의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섯째, 개인-조직 적합성과 개인-상사 적합성이 동시에 상사 변혁적 리더십과 삼원 상호작용하여 나타내는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이는 이원 상호작용에 의한 조절효과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매우 큰 정(+)의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추론해 볼 때 개인-조직 적합성과 개인-상사 적합성은 상당히 관련성이 있는 변수인 것으로 보여 지며, 따라서 이 두 적합성을 모두 높이는 것이 구성원들의 적응수행을 향상시킴으로써 조직성과 증진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 진다. 첫째, 개인-환경 적합성의 정(+)적인 조절효과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주로 독립변수로서의 역할 검증에 치중해 있던 지금까지의 적합성 연구경향을 확장하여 개인-환경 적합성이 조절변수로서도 큰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둘째, 조직 실무 차원에서도 구성원들의 개인-환경 적합성이 조직성과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는 것을 일깨워 줌으로써, 조직 현장에서 구성원들의 개인-환경 적합성을 높일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려는 노력이 절실히 필요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최근 급변하는 경영 및 기술 환경에 처해 있는 많은 기업조직들의 입장에서 구성원들에게 무엇보다 필요한 요소가 ‘변화와 불확실한 상황에 대한 효과적인 적응능력’이라는 인식하에, 이러한 변화 적응능력 또는 행동을 의미하는 구성개념인 ‘적응수행’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적응수행은 변화에 대한 적응, 그 자체로 끝나는 것이 아니고 직무와 관련된 과업수행으로 이어져 결국은 조직의 유효성에 기여하게 됨이 강조되고 있으며, 특히 오늘날 기업조직에 있어 경영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고 있는 ‘변화와 혁신’과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지는 것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적응수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선행요인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여러 가지가 거론되어 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팀 중심의 성과를 크게 중시하는 최근 조직경영의 관점을 고려하여, 팀 내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부하들의 적응수행에 미칠 수 있는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변혁적 리더십은 조직구성원들로 하여금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구상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이러한 아이디어를 활용하여 특정 상황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독려하는 리더십의 유형으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에 적응수행과의 밀접한 관련성이 예측되고 있다. 이와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변혁적 리더십과 적응수행 간의 관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상황변수로 개인과 집단 및 조직을 아우를 수 있는 변수인 ‘개인-환경 적합성(개인-조직 적합성, 개인-직무 적합성, 개인-상사 적합성)’을 선정하여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관계에 대한 조절효과성을 검증하였는데, 이 부분이 본 연구의 중심적인 부분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조절변수가 개인-조직 적합성, 개인-직무 적합성, 개인-상사 적합성 등 다수인 점을 고려하여 하나의 조절변수 각각이 독립변수와 이원 상호작용하여 나타내는 조절효과를 검증함과 동시에, ‘개인-조직 적합성과 개인-직무 적합성’, ‘개인-직무 적합성과 개인-상사 적합성’, ‘개인-조직 적합성과 개인-상사 적합성’ 각각의 조합이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삼원 상호작용하여 나타내는 조절효과까지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변혁적 리더십과 적응수행 간의 관계에 대하여 실증 분석한 결과,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부하의 적응수행 향상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조직 적합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하의 개인-조직 적합성은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부하의 적응수행 간 관계에 대해 정(+)의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개인-직무 적합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하의 개인-직무 적합성도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부하의 적응수행 간 관계에 대해 정(+)의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개인-상사 적합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하의 개인-상사 적합성 역시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부하의 적응수행 간 관계에 대해 정(+)의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당초 예측했던 바와 같이 개인-조직 적합성이나 개인-직무 적합성 보다 확연히 높은 정(+)의 조절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다섯째, ‘개인-조직 적합성과 개인-직무 적합성’ 및 ‘개인-직무 적합성과 개인-상사 적합성’의 각 조합이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삼원 상호작용하여 나타내는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이 두 적합성 조합은 모두 정(+)의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섯째, 개인-조직 적합성과 개인-상사 적합성이 동시에 상사 변혁적 리더십과 삼원 상호작용하여 나타내는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이는 이원 상호작용에 의한 조절효과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매우 큰 정(+)의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추론해 볼 때 개인-조직 적합성과 개인-상사 적합성은 상당히 관련성이 있는 변수인 것으로 보여 지며, 따라서 이 두 적합성을 모두 높이는 것이 구성원들의 적응수행을 향상시킴으로써 조직성과 증진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 진다. 첫째, 개인-환경 적합성의 정(+)적인 조절효과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주로 독립변수로서의 역할 검증에 치중해 있던 지금까지의 적합성 연구경향을 확장하여 개인-환경 적합성이 조절변수로서도 큰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둘째, 조직 실무 차원에서도 구성원들의 개인-환경 적합성이 조직성과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는 것을 일깨워 줌으로써, 조직 현장에서 구성원들의 개인-환경 적합성을 높일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려는 노력이 절실히 필요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Many enterprises are under the rapidly changing managerial and technological environments lately. In this circumstance, employees in the companies are requested to effectively adapt to the change and uncertain situation. There has been recently growing interest in ‘adaptive performance’ which is mea...
Many enterprises are under the rapidly changing managerial and technological environments lately. In this circumstance, employees in the companies are requested to effectively adapt to the change and uncertain situation. There has been recently growing interest in ‘adaptive performance’ which is meaning adaptive capability or adaptive behaviour to the change. Not only does the adaptive performance adapt themselves to the change, but also it contributes to raise the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 The change and innovation which have settled down as a management paradime of the today's enterprise, have closely relation with the adaptive performance. And the studies on the preceding causes which can be influenced on the adaptive performance have been made in these days. However, it was attempted to verify in this thesis how the supervis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an be influenced on the adaptive performance of subordinates while considering the recent organizational management with team-centric performance.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encourages the employees to create new ideas which are able to coped with the change and also encourages them to solve the specific circumstances using the new ideas. Therefore, it is predicted that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re closely related to the adaptive performance. In addition, the core part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dependent variable while choosing ‘person-environment fit’ (person-organization fit: P-O fit, person-job fit: P-J fit, person- supervisor fit: P-S fit) which are involving situational variable with person, group and organization. Particularly, in this study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s among two moderating variables and independent variable was also conducted not only that two-way interaction effects between moderating variable and independent variable. The hypothesis testing results in this empirical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on the practical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adaptive performance, it was showed that the supervis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gave positive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subordinate's adaptive performance.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P-O fit, it was confirmed that P-O fit of subordinate has positive moderating effect between the supervis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ubordinate's adaptive performance. Third, when looking into the moderating effects of P-J fit, it was revealed that relationship of subordinate's adaptive performance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positive moderating effect. This means that, when subordinate’s P-J fit is higher he is thankful to supervisor’s consideration, and this gratitude very helpful to raise supervis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Fourth, when the moderating effects of P-S fit were looked into, it was found out that the P-S fit of subordinate has also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s transfor- mational leadership and subordinate's adaptive performance. Specially, the P-S fit of subordinate is shown much higher than the P-O fit or P-J fit.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satisfaction and identification to supervisor and effectiveness of the LMX make synergy with supervisor's leadership and make double the effectiveness of leadership. Fifth, when looking into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s among P-O fit, P-J fit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t was revealed that the combination of P-O fit and P-J fit has not positive moderating effect, and that the combination of P-J fit and P-S fit also has not positive moderating effect. Finally, the verification of moderating effect by three-way interaction among P-O fit, P-S fit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dicates the very higher moderating effect than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two-way interaction. This proved to be clearly through graph analysis. It was concluded that P-O fit and P-S fit are to be very closely correlated each other. And therefore, it was recognized that elevating these two fits is very conduciv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organization. It appears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the following two main implications. First, with the empirical verification of positive moderating effects of the P-E fit, this P-E fit study trend, which has so far been focused on the verification of the role as an independent variable, could expand scope of study to its important role as a moderating variable. Second, with the verification of the fact that individuals' P-E fit plays a critical role in the improvement of organization's performance, this study implies that efforts for establishing a system which enhances individuals' P-E fit in the field of organization is urgently needed for better performance.
Many enterprises are under the rapidly changing managerial and technological environments lately. In this circumstance, employees in the companies are requested to effectively adapt to the change and uncertain situation. There has been recently growing interest in ‘adaptive performance’ which is meaning adaptive capability or adaptive behaviour to the change. Not only does the adaptive performance adapt themselves to the change, but also it contributes to raise the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 The change and innovation which have settled down as a management paradime of the today's enterprise, have closely relation with the adaptive performance. And the studies on the preceding causes which can be influenced on the adaptive performance have been made in these days. However, it was attempted to verify in this thesis how the supervis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an be influenced on the adaptive performance of subordinates while considering the recent organizational management with team-centric performance.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encourages the employees to create new ideas which are able to coped with the change and also encourages them to solve the specific circumstances using the new ideas. Therefore, it is predicted that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re closely related to the adaptive performance. In addition, the core part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dependent variable while choosing ‘person-environment fit’ (person-organization fit: P-O fit, person-job fit: P-J fit, person- supervisor fit: P-S fit) which are involving situational variable with person, group and organization. Particularly, in this study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s among two moderating variables and independent variable was also conducted not only that two-way interaction effects between moderating variable and independent variable. The hypothesis testing results in this empirical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on the practical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adaptive performance, it was showed that the supervis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gave positive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subordinate's adaptive performance.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P-O fit, it was confirmed that P-O fit of subordinate has positive moderating effect between the supervis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ubordinate's adaptive performance. Third, when looking into the moderating effects of P-J fit, it was revealed that relationship of subordinate's adaptive performance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positive moderating effect. This means that, when subordinate’s P-J fit is higher he is thankful to supervisor’s consideration, and this gratitude very helpful to raise supervis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Fourth, when the moderating effects of P-S fit were looked into, it was found out that the P-S fit of subordinate has also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s transfor- mational leadership and subordinate's adaptive performance. Specially, the P-S fit of subordinate is shown much higher than the P-O fit or P-J fit.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satisfaction and identification to supervisor and effectiveness of the LMX make synergy with supervisor's leadership and make double the effectiveness of leadership. Fifth, when looking into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s among P-O fit, P-J fit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t was revealed that the combination of P-O fit and P-J fit has not positive moderating effect, and that the combination of P-J fit and P-S fit also has not positive moderating effect. Finally, the verification of moderating effect by three-way interaction among P-O fit, P-S fit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dicates the very higher moderating effect than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two-way interaction. This proved to be clearly through graph analysis. It was concluded that P-O fit and P-S fit are to be very closely correlated each other. And therefore, it was recognized that elevating these two fits is very conduciv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organization. It appears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the following two main implications. First, with the empirical verification of positive moderating effects of the P-E fit, this P-E fit study trend, which has so far been focused on the verification of the role as an independent variable, could expand scope of study to its important role as a moderating variable. Second, with the verification of the fact that individuals' P-E fit plays a critical role in the improvement of organization's performance, this study implies that efforts for establishing a system which enhances individuals' P-E fit in the field of organization is urgently needed for better performanc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