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Peterson과 Wilson의 문화-일-건강 모델(Culture-Work–Health Model, CWHM)에 근거하여 임상간호사의 직장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며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는 연구이다. CWHM의 간호조직문화, 관리시스템, 근로자의 건강, 조직의 건강 그리고 직장 삶의 질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병원에서 근무하는 임상간호사에게 구조화된 설문지 600부를 배부하였다. CWHM의 요인 중 관리시스템은 ...
본 연구는 Peterson과 Wilson의 문화-일-건강 모델(Culture-Work–Health Model, CWHM)에 근거하여 임상간호사의 직장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며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는 연구이다. CWHM의 간호조직문화, 관리시스템, 근로자의 건강, 조직의 건강 그리고 직장 삶의 질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병원에서 근무하는 임상간호사에게 구조화된 설문지 600부를 배부하였다. CWHM의 요인 중 관리시스템은 사회적지지로, 근로자의 건강은 지각된 건강상태로, 조직의 건강은 프리젠티즘으로 인한 생산성 손실로 측정하였다. 배부된 설문지 중 553부를 수거하였으며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를 제외한 523부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과 AMOS 21.0을 이용하여 가설적 모형을 검증하고 직장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직/간접 경로계수를 산출하였다. 최종 모형의 적합도는 =586.031, /df=4.186, GFI=.889, AGFI=.850, CFI= .914, TLI=.895, PCFI=.749, RMSEA=.080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적 모형에서 구축한 10개의 경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확인되었다. 최종모형에서 임상간호사의 직장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조직문화, 사회적지지 그리고 조직의 건강 및 근로자의 건강으로 나타났는데, 조직문화, 사회적지지와 근로자의 건강은 직장 삶의 질에 양의 영향을 미쳤고 조직의 건강은 음의 영향을 미쳤다. 또한 조직문화, 사회적지지, 근로자의 건강은 조직의 건강에 음의 영향을 주는 변수로 나타났고 조직문화와 사회적지지는 근로자의 건강에 양의 영향을 주는 변수로 나타났다. 최종모형의 효과 분석 결과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직장 삶의 질은 조직문화, 사회적지지 그리고 근로자의 건강과 조직의 건강에 의해 69% 설명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임상간호사의 직장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긍정적인 조직문화를 형성하고 간호사의 건강과 조직의 건강이 균형을 이룰 수 있는 적절한 조직적인 지원과 중재가 이루어야 한다. 병원에서의 상사나 동료의 지원뿐만 아니라 간호사 개개인의 건강관리를 할 수 있도록 복지 정책을 마련하여 프리젠티즘으로 인한 생산력 손실을 낮추는 조직적 차원에서의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추후 한국간호조직의 업무 환경적 요소 및 직무스트레스, 소진 등의 변수를 포함하여 직장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확인 할 수 있는 반복 및 확대 연구가 요구된다. 주요어: 직장 삶의 질, 조직문화, 사회적지지, 지각된 건강 상태, 프리젠티즘, 간호사
본 연구는 Peterson과 Wilson의 문화-일-건강 모델(Culture-Work–Health Model, CWHM)에 근거하여 임상간호사의 직장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며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는 연구이다. CWHM의 간호조직문화, 관리시스템, 근로자의 건강, 조직의 건강 그리고 직장 삶의 질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병원에서 근무하는 임상간호사에게 구조화된 설문지 600부를 배부하였다. CWHM의 요인 중 관리시스템은 사회적지지로, 근로자의 건강은 지각된 건강상태로, 조직의 건강은 프리젠티즘으로 인한 생산성 손실로 측정하였다. 배부된 설문지 중 553부를 수거하였으며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를 제외한 523부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과 AMOS 21.0을 이용하여 가설적 모형을 검증하고 직장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직/간접 경로계수를 산출하였다. 최종 모형의 적합도는 =586.031, /df=4.186, GFI=.889, AGFI=.850, CFI= .914, TLI=.895, PCFI=.749, RMSEA=.080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적 모형에서 구축한 10개의 경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확인되었다. 최종모형에서 임상간호사의 직장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조직문화, 사회적지지 그리고 조직의 건강 및 근로자의 건강으로 나타났는데, 조직문화, 사회적지지와 근로자의 건강은 직장 삶의 질에 양의 영향을 미쳤고 조직의 건강은 음의 영향을 미쳤다. 또한 조직문화, 사회적지지, 근로자의 건강은 조직의 건강에 음의 영향을 주는 변수로 나타났고 조직문화와 사회적지지는 근로자의 건강에 양의 영향을 주는 변수로 나타났다. 최종모형의 효과 분석 결과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직장 삶의 질은 조직문화, 사회적지지 그리고 근로자의 건강과 조직의 건강에 의해 69% 설명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임상간호사의 직장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긍정적인 조직문화를 형성하고 간호사의 건강과 조직의 건강이 균형을 이룰 수 있는 적절한 조직적인 지원과 중재가 이루어야 한다. 병원에서의 상사나 동료의 지원뿐만 아니라 간호사 개개인의 건강관리를 할 수 있도록 복지 정책을 마련하여 프리젠티즘으로 인한 생산력 손실을 낮추는 조직적 차원에서의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추후 한국간호조직의 업무 환경적 요소 및 직무스트레스, 소진 등의 변수를 포함하여 직장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확인 할 수 있는 반복 및 확대 연구가 요구된다. 주요어: 직장 삶의 질, 조직문화, 사회적지지, 지각된 건강 상태, 프리젠티즘, 간호사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nd test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quality of work life for clinical nurses based on Peterson and Wilsonʼs Culture-Work-Health model(CWHM).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given to 600 clinical nurses working in general hospitals to analyze the re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nd test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quality of work life for clinical nurses based on Peterson and Wilsonʼs Culture-Work-Health model(CWHM).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given to 600 clinical nurses working in general hospital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concepts of CWHM-organizational culture, management system, employee health, organizational health, and quality of work life. Among these conceptual variables of CWHM, management system was measured by social support, employee health was measured by perceived health status, and organizational health was measured by presenteeism. A total of 553 nurses completed the survey, and, after excluding surveys with insufficient responses, 523 survey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SPSS 21.0 and AMOS 21.0 programs were used to analyze the efficiency of the hypothesis model and calculat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work life among clinical nurses. The following are the goodness-of-fit statistics of the final modified hypothetical model: =593.051, /df=4.236, GFI=.888, AGFI=.848, CFI=.910, TLI= .891, PCFI=.745, and RMSEA=.081. Ten hypothetical paths were established in the study, and all ten path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effects. The factors affecting the clinical nursesʼ quality of work life were confirmed as organizational culture, social support, organizational health, and employee health. While organizational culture, social support, and employee health had a positive effect on quality of work life, organizational health had a negative effect. Additionally, organizational culture, social support and employee health negatively affected organizational health. Organizational culture and social support positively affected employee health. The results revealed that organizational culture, social support, organizational health, and employee health accounted for 69% of clinical nursesʼ quality of work lif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it is essential to create a positive organizational culture and provide adequate organizational support to maintain a balance between the heath of clinical nurses and the organization. Moreover, in dealing with nurses' presenteeism, it is crucial to provide support from supervisors and co-workers at the unit level and also provide hospital welfare programs to manage nursesʼ health at the organizational level. Further repeated and expanded studies are needed to explore the multidimensional aspects of clinical nursesʼ quality of work life in Korea, including various factors, such as work environment, work stress, and burnout. Key words: quality of work life, organizational culture, social support, perceived health status, presenteeism, nur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nd test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quality of work life for clinical nurses based on Peterson and Wilsonʼs Culture-Work-Health model(CWHM).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given to 600 clinical nurses working in general hospital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concepts of CWHM-organizational culture, management system, employee health, organizational health, and quality of work life. Among these conceptual variables of CWHM, management system was measured by social support, employee health was measured by perceived health status, and organizational health was measured by presenteeism. A total of 553 nurses completed the survey, and, after excluding surveys with insufficient responses, 523 survey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SPSS 21.0 and AMOS 21.0 programs were used to analyze the efficiency of the hypothesis model and calculat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work life among clinical nurses. The following are the goodness-of-fit statistics of the final modified hypothetical model: =593.051, /df=4.236, GFI=.888, AGFI=.848, CFI=.910, TLI= .891, PCFI=.745, and RMSEA=.081. Ten hypothetical paths were established in the study, and all ten path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effects. The factors affecting the clinical nursesʼ quality of work life were confirmed as organizational culture, social support, organizational health, and employee health. While organizational culture, social support, and employee health had a positive effect on quality of work life, organizational health had a negative effect. Additionally, organizational culture, social support and employee health negatively affected organizational health. Organizational culture and social support positively affected employee health. The results revealed that organizational culture, social support, organizational health, and employee health accounted for 69% of clinical nursesʼ quality of work lif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it is essential to create a positive organizational culture and provide adequate organizational support to maintain a balance between the heath of clinical nurses and the organization. Moreover, in dealing with nurses' presenteeism, it is crucial to provide support from supervisors and co-workers at the unit level and also provide hospital welfare programs to manage nursesʼ health at the organizational level. Further repeated and expanded studies are needed to explore the multidimensional aspects of clinical nursesʼ quality of work life in Korea, including various factors, such as work environment, work stress, and burnout. Key words: quality of work life, organizational culture, social support, perceived health status, presenteeism, nurs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